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7 06:55:58

로맨싱 사가 2 리벤지 오브 더 세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게임의 원작에 대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SaGa_25th.jpg
사가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오리지널 시리즈
마계탑사 사가 사가 2 비보전설 사가 3 시공의 패자
로맨싱 사가 시리즈
로맨싱 사가 로맨싱 사가 2
(리마스터)
로맨싱 사가 3
(리마스터)
사가 프론티어 시리즈
사가 프론티어 사가 프론티어 2
리메이크
사가 2 비보전설 -Goddess of Destiny- 사가 3 시공의 패자 -Shadow & Light-
로맨싱 사가 -민스트럴 송- 로맨싱 사가 2 리벤지 오브 더 세븐
사가 新 컬러 시리즈
사가 스칼렛 그레이스 사가 에메랄드 비욘드
그 외
언리미티드 사가
웹 게임 및 PC, 모바일 게임
엠퍼러즈 사가 임페리얼 사가
로맨싱 사가 Re; Universe 임페리얼 사가 이클립스
}}}}}}}}} ||
로맨싱 사가 2 리벤지 오브 더 세븐
ロマンシング サガ2 リベンジオブザセブン
Romancing SaGa 2: Revenge of the Seven
파일:RS2_logo_EN_on_white.png
<colbgcolor=#e23900><colcolor=#ffffff> 개발 스퀘어 에닉스 | xeen[1]
유통 스퀘어 에닉스
플랫폼 PS4 | PS5 | NSW
Windows
ESD PS Store | 닌텐도 e숍 | Steam
장르 RPG
출시 PS4, PS5, NSW, Windows
2024년 10월 24일
Steam
2024년 10월 25일
엔진 언리얼 엔진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항4. 게임 관련 정보5. 원작과의 차이점6. 공략 및 팁7. 평가8. 기타

[clearfix]

1. 개요


캡션


1993년 슈퍼 패미컴으로 발매되었던 JRPG 게임 로맨싱 사가 2리메이크한 작품.

2. 발매 전 정보

2024년 6월 18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첫 공개되었다. 공개와 동시에 예약 주문을 받기 시작했다.

타츠케 신이치 프로듀서의 인터뷰를 통해 공개된 바에 따르면 본작은 성검전설 3 TRIALS of MANA의 개발진이 제작한 게임으로 개발 기간은 약 3년이라고 한다. 성검전설 3 TRIALS of MANA의 출시 이후 스퀘어 에닉스의 프로듀서인 타츠케 신이치는 xeen과 함께 다음에는 무슨 게임을 개발할지 고민하고 있었는데 사가 시리즈의 총괄 프로듀서인 카와즈 아키토시로맨싱 사가 2를 리메이크해보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해 본작의 개발에 착수했다고 한다.

작곡가는 이토 켄지로 원작과 동일하다.

2024년 9월 19일 체험판이 공개되었다. 체험판을 플레이해본 유저들의 평가는 매우 좋은 편으로, 특히 어레인지된 BGM과 캐릭터의 미형 모델링이 큰 호평을 받고 있다.[2] 필드와 던전을 탐색하는 느낌은 성검전설 3 TRIALS of MANA와 상당히 비슷하며, 점프가 추가되어 지형을 뛰어넘을 수 있게 되었다. 도입부에서 갑자기 황제 레온과 제라르 둘만으로 시작해 조금 당황할 수 있는데, 봉인의 동굴을 조금 더 들어가면 다른 동료와 합류해 원작처럼 임페리얼 크로스 진형을 취해 싸운다.

3.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Windows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프로세서 AMD Ryzen 3 1200 / Intel® Core™ i3-6100
메모리 8 GB
그래픽 카드 AMD Radeon™ RX 460 / NVIDIA® GeForce® GTX 950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30 GB

4. 게임 관련 정보

각 하위 문서는 원작, 리마스터, 리메이크의 내용이 한 문서에 합쳐져 쓰여있으므로 주의. 리메이크에서 조건이나 사양이 달라진 부분이 많다.

4.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기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기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술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술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지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진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진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등장인물 및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olding 성우진 정보 펼치기 / 접기 (스포일러 주의) 캐릭터 이름 일본어 성우 영어 성우
오리지널 황제
제라르 코바야시 유스케 알렉스 리
레온 호리우치 켄유 제이크 에벌리
최종황제(남) 우메하라 유이치로 스티븐 푸
최종황제(여) Lynn 셰러미 리
칠영웅
와그너스 나카무라 유이치 랜던 맥도널드
노엘 타케우치 슌스케 데이비드 머트랭가
크진시 코바야시 치아키 잰더 모버스
로크부케 하야미 사오리 수지 영
스비에 이시카와 카이토 대니얼 월턴
보크온 스기타 토모카즈 숀 칩록
단타그 미야케 켄타 밥 카터
파티 캐릭터
베어(제국 중장보병) 마츠다 켄이치로 패트릭 사이츠
제임스(제국 경장보병(남)) 무라타 타이시 클리퍼드 체이핀
라이자(제국 경장보병(여)) 카와이다 나츠미 로런 랜다
테레즈(제국 엽병(여)) 카쿠마 아이 키라 버클랜드
헨리(제국 엽병(남)) 시미즈 마사노리 루시언 도지
에메랄드(궁정 마술사(여)) 시라이시 하루카 아나이리스 키뇨네스
아리에스(궁정 마술사(남)) 스즈키 료타 크리스 해크니
헥터(프리 파이터(남)) 야시로 타쿠 브라이스 패픈브룩
안드로마케(프리 파이터(여)) 쿠와하라 유우키 앰버 리 코너스
(시티 시프(여)) 이나가와 에리 크리스티나 발렌주엘라
스패로(시티 시프(남)) 우치다 슈이치 토드 하버콘
카를(격투가) 마에다 유우 케이지 탕
소피아(홀리 오더(여)) 이와미 마나카 에리카 멘데즈
게오르그(홀리 오더(남)) 코바야시 치카히로 A.J. 베클스
엔리케(무장 상선단) 호시노 타카노리 벤 발마세다
에이리크(사이고족) 타마이 유우키 이마리 윌리엄스
알탄(노마드(남)) 시미즈 마사노리 라이언 콜트 리비
파티마(노마드(여)) 카와이다 나츠미 -
사원(군사) 카라스마 유이치 조던 레이놀즈
레굴루스(프리 메이지(남)) 마츠시게 신 브렌트 무카이
로즈(프리 메이지(여)) 히가시우치 마리코 아리아나 니콜 조지
발렌슈타인(임페리얼 가드(남)) 에가시라 히로야 크리스 터글리아페라
미네르바(임페리얼 가드(여)) 히가시우치 마리코 던 M. 베넷
샤르칸(데저트 가드) 이시이 타카유키 후세인 모하메드
주베이(이스트 가드) 시미즈 마사노리 믹 라우어
(아마조네스) 안지 마도카 티아나 카마초
코펠리아 쿠와하라 유우키 리사 레이몰드
함바(헌터) 오카모토 코스케 루카 제이비어
나탈리(해녀) 나가세 안나 데닌 멜로디
켈루트(샐러맨더) 에치고야 코스케 프랭크 토다로
시에로(몰) 에치고야 코스케 브라이언 비콕
테티스(네레이드) 노노야마 에리 리베카 데이비스
윈디(이리스) 스즈시로 사유미 아만다 리
아자미(닌자) 스즈시로 사유미 리사 메이
세이메이(음양사) 오키츠 카즈유키 앨런 리
리코리스(무희) 코키도 시호 잰시 후인
프로스티(제국 대장장이) 하세가와 이쿠미 세라 윌리엄스
기타 등장인물
오아이브 파이루즈 아이 안잘리 쿠나파네니
빅토르 오키츠 카즈유키 하워드 웡
토마 아베 나츠코 샤라 커비
해럴드 타마이 유우키 마이클 소리치
사이프리트 모리야마 치히로 크리스 웨이 루이스
히라가 XX세 에치고야 코스케 조 헤르난데즈
콤룬 섬의 마도사 이시게 쇼야 헨리 메이슨
바이커 에가시라 히로야 더그 어홀츠
가론 타마이 유우키 제이슨 마노카
바다의 주인 아라이 쇼코 샤라 커비
아토 왕 우에다 요우지 W. T. 팔크
세키슈사이 타마이 유우키 폴 세인트 피터
사그자 스즈키 료타 조너선 하
대신관 야마구치 사토시 제이슨 마노카
노노야마 에리 라리사 갤러거
수룡 - 존 에릭 벤틀리
스프리건 야마네 마사시 -
시인 오키츠 카즈유키 영이 창
}}} ||

5. 원작과의 차이점

}}}

6. 공략 및 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맨싱 사가 2 리벤지 오브 더 세븐/공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4-11-21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romancing-saga-2-revenge-of-the-seven/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romancing-saga-2-revenge-of-the-seven/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4-11-21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평론가 평점
81 / 100
평론가 추천도
86%
유저 평점
XX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4-12-15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45564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45564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평론가 점수는 그다지 높지 않지만 스팀 평가는 출시 이래 꾸준히 압긍을 유지하면서 큰 호응을 얻었다. 리메이크로서 굉장히 수작이고 좋은 정석을 보여주었다는 평.

제작진이 원작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애정이 깊다고 평가 받을 정도로 본래의 맛을 잘 살리면서도 현대에 맞는 편의성 요소를 다수 도입하였다. 리메이크 작품에서 호불호가 갈리기 쉬운 BGM 편곡도 불호가 거의 없을 정도로 훌륭하게 리메이크되었고, 암베 요시로가 새롭게 정립한 캐릭터 디자인 또한 매력적이라는 평이 많다.[14]

유일하게 지적되는 단점은 전투 중 카메라 시점. 조작 캐릭터의 숄더뷰 시점으로 보여주고 카메라가 수평으로 깔려있어 진형을 알아보기가 굉장히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아군 진형은 본인이 지정하기 때문에 떠올리기 쉽지만, 상대편은 어떤 진형으로 서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8. 기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원작은 세계를 유린하던 칠영웅을 격퇴하고 제국도 공화국으로 변화하며 완전한 평화를 되찾는다. '다른 세계로 떠나버린 고대인' 설정은 이 당시에도 존재했기 때문에 다소의 불안요소는 남아있었지만, 이것이 리메이크에서 권력욕에 가득찬 '대신관'으로 구체화되면서 왜 만악의 근원은 끝까지 징벌할 수 없는지 찜찜함을 남긴다. 더군다나 엔딩 후 찾아갈 수 있는 드레드 퀸은 먼 미래에 탐(흰개미)이 돌아올 것을 선언하면서 더이상 황제가 없는 인류가 어떻게 맞서 싸울 수 있을지 불안함을 한층 더한다. 즉, 리메이크는 다른 세계를 돌아다니며 균형을 무너뜨리는 대신관과 먼 미래에 무리를 이뤄 인류를 습격할 드레드 퀸의 군세라는 두 가지 불안요소를 더해놓고 아무런 대책없이 끝나버리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본 현지에서도 최소한 대신관 격파 DLC는 내달라는 의견이 제법 있는 편인데, 제작진이 DLC 계획이 없다는 인터뷰를 한 바 있어 상황은 불투명하다.}}}


[1] 성검전설 3 TRIALS of MANA의 개발사.[2] 다만, 스팀 체험판의 경우 일부 엑스박스 호환 컨트롤러의 왼쪽 아날로그 스틱이 아예 먹통이 되는 버그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듀얼센스나 프로콘으로 패드를 바꾸거나 콘솔 게임기에서 게임을 실행해야 한다.[3] 개발진의 전작인 성검전설 3 TRIALS of MANA와 마찬가지로 AAA 게임급 그래픽은 아니고 전작을 생각하면 연출적인 측면에서도 우려가 많아 아쉽다는 의견이 나오지만 근래의 사가 시리즈는 바로 몇 달 전에 발매된 완전 신작인 사가 에메랄드 비욘드를 비롯해 오랜 기간 대놓고 저예산인 처참한 그래픽을 보여줬기 때문에 본작의 그래픽은 근래의 사가 시리즈치고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괜찮은 수준에 속한다.[4] 또한 본작은 닌텐도 스위치에서도 로딩 이슈 없이 빠릿하고 준수한 퍼포먼스로 구동되는데, 이를 생각하면 무작정 고성능 콘솔/PC만 바라보고 그래픽을 높이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실제로도 일본에서 패미통 기준 첫 주 패키지 판매량이 스위치판이 플스판보다 2배 이상 높게 나오면서 스위치를 타겟팅한 전략이 옳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5] 리마스터판의 추가 던전에서 볼 수 있던 신규 대사들도 이와 비슷한 방식이었던 적이 있다.[6] 이 부분은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데 기존 게임의 컨셉이었던 황제로서 최선의 수와 조합을 찾아서 전략을 짠다는 느낌이 줄었다는 평, 또한 전투 중 카메라 구도가 차라리 SFC 시절이 낫다고 할 정도로 가시성이 좋지 않다는 비판점에 더해 계속 매 캐릭터의 공격마다 정신없이 위치와 시점이 바뀌기 때문에 전투 때마다 지나치게 눈이 피로하고 난잡하다는 평이 있다.[7] 문제는 인게임에서 게임 시스템에 대한 안내를 거의 해주지 않아 위키 사이트나 공략집을 참조하지 않는 이상 게임 시스템을 이해하는 게 거의 불가능했다. 편의성도 부족해 각 능력치의 의미를 게임상으로는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고, 장비품의 능력치와 효과도 게임 내에서는 표시되지 않는 숨겨진 데이터가 굉장히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정점에 달했던 작품이 사가 시리즈 최악의 문제작이라는 평을 받는 언리미티드 사가다.[8] 로맨싱 사가 2 리마스터의 경우 '강하게 뉴 게임' 시스템과 강한 신규 직업인 닌자, 경험치와 아이템 파밍이 가능한 신규 던전이 추가되어 어느 정도 완화되었지만 게임 시스템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점은 동일했고, 시스템에 대한 안내를 거의 해주지 않거나 장비품의 능력치도 제대로 알려주지 않는 등 부족한 편의성도 여전해 근본적으로 게임이 쉬워지지는 않았었다.[9] 로맨싱 사가 2는 편의성에서부터 많은 문제가 있던 작품이었지만 그하고는 별개로 사가 시리즈 자체가 난이도가 상당히 높고 굉장한 노가다를 요구하는 게임 시리즈인데 본작은 난이도를 낮출 경우 기존의 사가 시리즈와 비교하면 노가다량이 상당히 적을 가능성이 생겼다고 할 수 있다.[10] 오리지널 난이도의 경우 초중반부는 원작보다는 조금 더 어렵다는 평. 특히 첫 토벌 대상인 크진시가 튜토리얼 보스라 사실상 미믹 미만이라고 평가받던 원작에 비해 새로운 패턴이 추가되고 사실상 타임 어택에 가까운 패턴까지 있는 데다가 오리지널 난이도의 경우 상당히 높은 대미지를 주다 보니 카마이타치 한번에 줄줄이 파티원이 쓸려나가는 상황이 벌어져 원작만 생각하고 갔던 유저들이 계속 전멸했다는 보고가 다수 있다. 그래도 중반부를 넘어가면 각종 능력이나 어빌리티 등이 해금되다 보니 원작과 비슷한 느낌의 난이도가 된다. 그래서 고난이도를 원한다 해도 조금씩 변한 시스템과 난이도에 적응될 때 까지는 노멀로 하는 걸 추천하기도 한다.[11] 베리 하드는 새게임+로 2회차를 플레이할 경우 1회차 오리지널보다 훨씬 쉽다. 스퀘어 에닉스의 다른 작품에서 새게임+에 레벨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아 모두 한방컷이 나버리는 일이 발생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난이도라 생각하면 된다.[12] 일행을 대동하고 나오는 보스의 경우 일행이 쓰러지면 1턴2회행동으로 변경되는 등[13] 리마스터판까지는 해방 이후 노엘을 쓰러뜨려도 자막처리가 되진 않는다.[14] 디자이너 본인의 트위터에서 설정화와 뒷 얘기를 꾸준히 공개하고 있다. 아예 새롭게 디자인한 것은 리메이크 신규 클래스인 제국 대장장이 뿐이고 다른 캐릭터는 원작 일러스트, 필드 도트, 전투 도트를 참고해 디자인했다고 한다. 전투화면에서 초상화로 쓰이기 때문에 전 클래스의 전 배리에이션 일러스트를 모두 그렸다고 한다.[15] 칠영웅의 목적이 복수라는 것은 중후반부가 되어서야 드러나는 사실이기 때문에 사실 스포일러성이 있는 부제라고 할 수 있다. 원작의 유저들이 "대체 칠영웅들은 어째서 악행을 저지르는 걸까?"라는 의문점을 가진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했다면 본작의 유저들은 "대체 칠영웅들은 대체 누구에게, 어째서 복수를 하려는 걸까?"라는 의문점을 가진 상태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로맨싱 사가 2 무대판의 부제는 '칠영웅의 귀환'이라 스포일러가 없었다. 만약 제작진이 스포일러를 피하고자 했다면 본작의 부제는 '리턴 오브 더 세븐'이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6] 사실 부제의 스포일러는 애교 수준인 것이, 게임 상점 페이지에 적혀 있는 게임 소개문은 훨씬 더 심각하다. 놀랍게도 상점 페이지의 시나리오 소개문에 본작의 중후반부에서야 밝혀지는 칠영웅의 과거가 대놓고 적혀 있다. 게임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 게임 소개문을 읽는 순간 본작의 핵심 스포일러인 칠영웅의 과거사와 목적을 바로 알아버리게 된다는 것이다. 게임을 클리어하지 않은 유저라면 눈치챌 수 없지만 본작의 핵심적인 세계관 설정도 그 옆에 은근슬쩍 함께 적혀있는 것은 덤. 비슷한 시기에 발매되는 드래곤 퀘스트 III HD-2D Remake도 해당 작품의 최중요 스포일러를 대놓고 마케팅 요소로 내세우고 있는 것을 보면 스퀘어 에닉스 측은 고전 게임의 스포일러를 별로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스포일러를 마케팅 요소로 내세울 수 있는 드래곤 퀘스트 3과는 달리 로맨싱 사가 2의 스포일러는 딱히 마케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만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이는 리메이크로 로맨싱 사가 2를 입문하는 유저들의 플레이 경험을 떨어뜨리는 악영향만 끼칠 가능성이 있다. 원작의 경우 전 세계에서 악행을 저지르고 있던 악당들의 사연이 중후반부에 드러나 평가가 반전되는 구조였는데 본작은 게임 시작 시점부터 이미 메타 시점을 통해 악당들의 사연이 뭔지도, 그들이 복수귀라는 것도 알게 된 상태에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되는 것이기에 평가가 반전될 일이 없다. PV 영상도 잘 보면 게임 후반부에서야 나오는 오아이브의 대사를 통해 칠영웅의 과거사를 암시하고 있다. 부제도 그렇고 시나리오 소개문도 그렇고 대체 왜 굳이 불필요한 스포일러를 노출시키자는 방침을 세운 것인지는 불명.[17] 제작진이 스토리에 대한 스포일러를 대놓고 하는 이유를 굳이 추측해보자면, 본작은 애초에 로맨싱 사가 2를 플레이해본 적이 없는 신규 유저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제작된 게 아니라 과거에 로맨싱 사가 2를 플레이해봤거나 사가 모바일 시리즈의 유저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제작된 작품일 가능성이 있다. 특히 사가 모바일 시리즈의 유저들은 칠영웅과 관련된 설정이라면 로맨싱 사가 2 원작을 플레이해본 유저들보다도 더 상세하게 알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포일러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18] 잡학왕이 빠르게 해금되는데, 어떤 지역을 제압했는지와 관련없이 풀리기 때문에 진행하지 않은 지역에 관한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19] 실제로 카와즈 아키토시가 직접 시나리오 제작에 참여한 로맨싱 사가 2 무대판에서도 모바일 시리즈의 스토리와 신규 설정이 대량으로 활용된 바 있다. 로맨싱 사가 2의 무대판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러닝 타임에서 로맨싱 사가 2 원작의 내용이 약 60%, 사가 모바일 시리즈의 로맨싱 사가 2 파트 스토리가 약 40%였을 정도.[20] 물론 적절한 의역도 있다. 몇 가지 예시로, '환체전사법'은 의미 전달이 안 되니 '환영전사법'으로 수정되었다. '다 죽어라 화살'의 경우 원문은 칸사이벤의 어미를 이용한 말장난인데, 이를 살리려면 '다 죽어브로우' 같은 식으로 무리수를 둬야 하므로 깔끔하게 포기하고 의미 전달에 충실했다 볼 수 있다. '활살화석충', '활살수신충'의 경우는 충(衝)자의 의미 전달을 의식했는지 '활살 화석 임팩트'와 '활살 수신 임팩트'라는 다소 해괴한 네임이 되었다.[21] 때문에 노마드의 대사 중 '우리가 약을 만드는데 써야할 약초를 빼앗아가 약을 만들고 있다' 같은 식의 이상한 대사가 있다.[22]
그림자 화살(影矢) → 섀도 애로우
리바이브 → 부활
열풍 → 히트 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