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3:55:45

러시아(라이즈 오브 네이션즈)

<colbgcolor=#c0c0c0,#1f2023>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 등장하는 국가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륙 오리지널 확장팩
아메리카 마야 아즈텍 잉카 라코타 미국 이로쿼이
아시아 몽골 일본 중국 터키 한국 인도 페르시아
아프리카 누비아 반투 이집트
유럽 그리스 독일 러시아 로마 스페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 세계정복 캠페인(신대륙 발견) 전용 플레이 가능 국가.
}}}}}}}}} ||


1. 개요2. 특성3. 특수 유닛4. 추천 불가사의5. 추천 정부6. 도시 목록7. AI 플레이어 이름 목록

1. 개요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 등장하는 러시아에 관해 서술한 문서.

2. 특성

동토의 힘.

표트르 대제 당시 러시아가 영토를 동쪽으로 확장하고, 나폴레옹의 군대와 나치 독일군이 러시아를 침공했으나 러시아군의 끈질긴 저항과 러시아의 맹추위에 힘을 잃고, 냉전 당시 KGB 같은 첩보 기관을 활용했던 것이 설정 배경이다. 또한 러시아의 주된 돈줄인 석유천연가스가 국가 특성에 반영되었다.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 최강의 방어형 국가. 러시아의 사기적인 특성인 '자국 영토 내의 적에게 입히는 추가 데미지' 하나만으로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 추가 데미지 특성이 얼마나 대단하냐면, 적군의 보급 차량만 골라서 처치할 경우 러시아에 쳐들어온 적은 무조건 후퇴해야 한다. 원래 침공군이 러시아 외의 다른 나라를 쳐들어갈 때에도 보급 차량이 없으면 적잖은 피해를 입지만, 러시아에선 그 두 배의 피해를 입기 때문에 침공군이 적지에서 제대로 싸우기도 전에 이동하다 전멸할 수 있다. 만약 러시아가 불가사의 콜로세움, 크렘린을 건설하면 추가 데미지가 총 150% 늘어나기 때문에 적에게 대재앙을 안겨줄 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러시아를 침공할 때엔 보급 차량을 상당히 많이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상술한 것처럼 러시아의 기동 유닛(기병, 기마 궁사, 기총병, 장갑차, 전차)들은 적 보급 및 포병 유닛에게 데미지를 25% 더 입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침공군은 기동 유닛을 저지할 유닛들을 많이 운용해야 한다. 러시아 영토 내에서 보급 유닛을 제대로 보호하지 않으면 나폴레옹러시아 원정히틀러독소전쟁을 재현할 수 있다(...).

이 추가 데미지에 저항력을 가진 러시아의 적수는 몽골프랑스, 터키, 이집트, 인도다. 몽골은 유닛이 입는 추가 데미지가 50% 감소되고 그래도 추가 데미지가 여전히 +50%란 게 함정 콜로세움 지었다면 여전히 +100%, 프랑스는 보급 차량 내의 유닛들이 치료되고, 터키는 강력한 공성 능력으로 적 도시를 빠르게 합병할 수 있고[1], 이집트는 자기 영토에 불가사의를 도배해서 템빨로(...) 이길 수 있기 때문이고[2], 인도는 요새와 불가사의 상승 가격이 절반이라 불가사의를 도배하거나 아예 요새를 막 지어서 맞 영토 싸움으로 끌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어느 나라든지 불가사의 '자유의 여신상'을 지으면 러시아의 추가 데미지가 무용지물이 되므로(적에서 받는 추가 데미지 100% 감소) 적이 자유의 여신상을 선점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청야전술이 반영된 국가이기도 하다. 통상적으로 적의 건물을 파괴하면 소량의 자원을 획득할 수 있는데, 러시아의 경우 적이 자기 건물을 파괴해도 자원을 받는다. 적은 당연히 자원을 일절 얻지 못한다. 쑤어 주기

이외에도 스파이의 양성 비용이 타국보다 50% 적기 때문에 스파이를 대량으로 양성해서 적군을 교란하는 전술을 펼칠 수도 있다.

다만, 러시아는 다른 방어형 국가와 마찬가지로 경제적 강점 없이 방어만 하면 상대가 그냥 확장해서 더 커지면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러시아는 도시 기술1과 후반에 나오는 석유 보너스 말고는 경제 보너스가 없는 만큼 이 방어적 강점을 활용하지 못하면 체급에서 밀리는 만큼 방어적 이점을 공격적으로 쓰는게 강요된다. 그렇기에 러시아는 방어적 능력을 공격적으로 사용해야된더. 도시 기술 올릴 때마다 영토가 1씩 추가로 늘어나기 때문에 영토를 넓혀서 맵을 장악해야되며, 영토 데미지가 높은 점을 이용해 요새와 탑을 국경에 배치해서 적을 영토로 압박할 수도 있다. 상대와 비슷하게 후반까지 간다면 러시아의 도시들을 괭장한 영토를 가지며, 본격적으로 강력한 특수유닛들이 하나씩 등장한다. 석유 보너스도 힘을 낸다.

수동적인 전술과 약한 초반을 갖는 만큼 약한 국가이지만 후반 잠재력이 높아서 버틴다면 동장군의 힘을 보여줄 수 있다.

3. 특수 유닛

러시아의 3~5시대 경기병은 더 싸고 피해를 더 주지만 경기병이 쓸모 없는 시대에 나와서 애매하다. 현대시대 공성무기는 정보화시대의 미사일 포병의 장점을 한 시대 빨리 가져와서 강력하다. 현대와 정보화시대 경보병과 정보화 시대 탱크는 더 저렴하다.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특수 유닛 참조.

4. 추천 불가사의



5. 추천 정부

공화제-군주제-사회주의

군주제는 당장은 큰 시너지 없지만 T-80이 나오면 말도안되게 저렴하게 만들어준다.

6. 도시 목록

★는 최초의 도시이자 수도를 의미한다[3]. 도시 이름은 가나다순.

도시의 이름은 플레이어를 불문하고 중복되지 않는다. 위 목록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도시가 생기면 해당 도시의 이름은 국가명+숫자다(예: 러시아40).

특이하게도 러시아 주변국의 도시도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다. 아무래도 러시아 제국 및 소련 시절에 동유럽과 중앙아시아를 쌈싸먹었던 것을 고려한 듯.

7. AI 플레이어 이름 목록



[1] 적 도시를 합병함으로써 추가 데미지를 입지 않을 수 있다.[2] 다만 승리 조건에 불가사의가 포함되지 않는 게임이라면 불가사의를 아무리 많이 지어도 소용없다.[3] 단, 한 게임에 같은 국가가 둘 이상 있으면 하나의 플레이어만 이에 해당된다. 도시 이름은 중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머지 국가는 무작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