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북아메리카 | |||||
부기맨 · 슬렌더맨 · 섀도 맨 · 천둥새 · 폴 버니언&베이브 더 블루 옥스 · 스킨워커 · 시울프 · 아케리 · 웬디고 · 아물룩 · 아나예 · 챔프 · 피아사 · 사스콰치 · 빅풋 · 리자드맨 · 모스맨 · 무시무시한 동물(글라와커스 · 검버루 · 공꼬리 고양이 · 아르고펠타 · 액스핸들 하운드 · 저지 데블 · 재칼로프 · 하이드 비하인드 · 스낼리개스터 · 고리 뱀 · 털복숭이 송어 · 러브랜드 개구리) · 데블 몽키 · 도버 데몬 · 더블린 호수의 괴물 · 마네기쉬 · 업-아일랜드의 거미 · 론 파인 산의 악마 · 반 미터의 방문객 · 베어 호수의 괴물 · 스컹크 유인원 · 슬라임 · 아이오와 드래곤 · 악마 호수의 괴물 · 오클라호마 민물 문어 · 캐디 · 패트릿지 크릭의 야수 · 프레즈노 나이트크롤러 · 플랫우즈의 몬스터 · 화이트 강의 괴물 · 아-미-쿡 · 아즈-아이-우-굼-키-무크 · 아쿨트 · 오고포고 · 보보 · 아마록 · 무지개 까마귀 · 아포탐킨 · 미쉬페슈 · 예하수리 · 쿠시타카 · 구푸스 · 아크루트 · 티제루크 · 아들렛 · 투필락 · 시아츠 · 친디 · 세이타아드 · 가센디에타 · 로우 헤드 앤 블러디 본 · 테일리포 | ||||||
중앙아메리카 | ||||||
코아틀 · 케찰코아틀 · 시팍틀리 · 아위소틀 · 요왈테포스틀리 · 트랄텍트리 · 칸헬 · 카마소츠 · 쇼치토날 · 마큇코아틀(아즈텍의 쌍두사) · 나구알 · 차네크 · 아토톨린 · 훈 바츠 · 훈 초웬 · 쿠쿠마츠 · 툰쿠루추 · 지파크나 · 틀라우엘푸치 · 위휜 · 알리칸테 · 카데호 · 온자 · 시후아나바 · 시시미토 · 부쿱 카킥스 · 시파크나 · 카브라칸 | ||||||
카리브 | ||||||
좀비 · 칙차니 · 루스카 · 시구아파 · 도우엔 · 후피아 · 라가후 · 악어인간 · 마미 와타 · 파파 보이스 · 아난시 · 로아(더피 · 바론 사메디) · 마드레 데 아과스 · 마마 들로 · 소코얀트 | ||||||
남아메리카 | ||||||
자이언트 아나콘다 · 야쿠마마 · 저주받은 자식들(자스자데레 · 아오 아오 · 루이썬 · 몬냐이 · 대주자와 · 보이뚜이 · 구루삐) · 촌촌 · 쿠카 · 알리칸토 · 카벙클 · 아마루 · 엘 쿠에로 · 나후엘리토 · 마핑구아리 · 스토아 · 아마루 · 무키 · 출라차키 · 아칼리카 · 아구아라 · 폼베로 · 베스타페라 · 카펠로보 · 보이우나 · 타피레 야와라 · 볼레푸에고 · 홈브레 가토 · 모노 그란데 · 파구아 호수의 괴물 · 토타 호수의 괴물 · 파타곤 · 파타솔라 · 칠로에의 바실리스크 · 칠로에의 세이렌 · 카마후에토 · 페우체 · 머리 없는 노새 · 엘 실본 · 마입 · 구알리추 | ||||||
기타 | ||||||
추파카브라 · 페리톤 · 스프링힐드 잭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clearfix]
1. 개요
Dover Demon
미국에서 나타났다고 알려진 크립티드. 1977년 4월 21일 미국의 매사추세츠주의 노퍽 카운티 도버 마을[1] 팜 스트리트(Farm Street) 도버 농장 주변에서 17세의 빌 바틀렛(Bill Bartlett)이라는 소년이 친구들과 함께 차를 타고 어두운 밤길을 지나고 있었을 때, 헤드라이트의 앞쪽으로 지구상에 있는 동물들과 생긴 모습이 전혀 다른 무언가가 움직이는 것을 목격하며 매우 놀랐다고 신고했다. 또 같은 날 밤 밀러 힐 로드(Miller Hill Road)에서 여자친구의 집에 갔다가 돌아가던 15세의 존 박스터(John Baxtor)라는 청소년이 비슷한 생물을 목격했다고 주장했으며, 다음 날 밤에는 15세의 애비 브라밤(Abby Brabham)이라는 여학생이 남자친구의 차를 타고 가다가 스프링데일 애비뉴(Springdale Avenue)에서 비슷한 생물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세 목격자는 일면식도 없는 사이였고, 목격 위치는 직선거리로 2마일 이내에 걸쳐져 있었다.
이후 목격자들은 이 믿을 수 없는 괴생명체에 대해 스케치했고 "도버 지역의 악마"라는 뜻의 도버 데몬이란 이름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된다.
21일 오후 10시 30분에 괴생명체를 목격한 빌 바틀렛은 친구 마이크 마조카(Mike Mazzocca), 앤디 브로디(Andy Brodie)와 함께 차를 타고 가고 있었으나 그들이 타고 있던 폭스바겐 승용차에서 그 괴생명체를 목격한 인물은 바틀렛 한 명 밖에 없었다. 바틀렛은 그 생물이 헤드라이트에 비춰지는 순간 목격했는데, 얇은 목 꼭대기에 있는 수박 모양의 머리는 몸 전체의 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컸고 가늘고 긴 팔과 다리, 큰 손과 발을 가지고 있으며 눈은 주황색으로 빚난데다 털이 없는 복숭아색의 피부는 상어의 피부 또는 젖은 사포와 유사했다고 증언했다.
21일 자정 무렵 괴생명체를 목격한 존 박스터는 여자친구 캐시 크로닌(Cathy Cronin)의 집을 나와 1마일 정도 걸었을 때 괴생명체와 조우했고 그것을 자신의 지인이라고 생각한 박스터가 한 걸음 앞으로 다가가자 그 생물은 왼쪽으로 급히 달려가 얕은 숲이 우거진 도랑을 따라 달려가 반대편 강둑으로 올라갔다고 한다. 그 생물을 쫓아간 박스터는 약 30피트 떨어진 곳까지 그 생물에게 접근했는데, 큰 머리와 다르게 얇은 몸, 그리고 빚나는 두 개의 주황색 눈을 가진 괴생명체라는 것을 알아차리자 급히 그 장소를 빠져나와 지나가던 차를 얻어타고서 집에 도착할 수 있었다고 증언했다.
22일 자정 무렵에 괴생명체를 목격한 애비 브라밤은 남자친구의 차를 타고 집에 가던 길에 그 생물과 마주쳤다. 헤드라이트가 비친 도로 왼쪽에 있던 괴생명체는 몸은 가늘고 원숭이 같지만 머리는 크고 코, 귀, 입이 없었으며 털이 없고 피부색은 황갈색 또는 베이지색인데다 눈이 녹색으로 빚났다고 증언했다.[2]
2. 특징
머리털이 없는 달걀 같은 큰 머리[3]에 길다랗고 얇은 팔과 다리, 혐오감과 공포심을 주는 듯한 커다랗고 붉은 눈, 코와 입은 없었다고 한다. 전체적인 외형이 그레이 형 외계인과 유사한게 특징. 다른 지역에 유사한 외형을 묘사한 목격담도 존재한다. 한국 산간지대에 출몰하는 장산범과도 좀 비슷하다.당시 사건을 수사한 경찰은 아이들이 거짓말을 한 것이라 일축했지만, 마약이나 술을 하지 않은 상태의 일면식도 없던 세 목격자가 각각 다른 장소에서 거의 동시기에 비슷한 형상의 무언가를 목격했다고 주장한 이상 조작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동물학자들은 엘크 사슴의 새끼를 잘못 본 것이라고 주장한다.[4]
3. 기타
- 비슷한 생김새인 마네기쉬와 은근히 비슷하다.
- 로스트 테이프에서 등장했다.
- 미국 만화 시리즈 Proof의 캐릭터로 등장한다. 여기서 도버 데몬은 미래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 요괴와 외계인이 같이 나오는 일본 만화 단다단에서도 등장한다. 다만 이쪽에선 외계인으로 취급되며 생김새도 게나 갯가재 같은 갑각류를 연상케 하는 피부를 하고 있다. 해당 도버 데몬 개체도 아예 작중에서 '갯가재'라 칭할 정도이다.
참고로 주인공 중 한 명인 아야세 모모의 할머니인 아야세 세이코는 영매사라는 직업 때문인지 도버 데몬을 눈 앞에 두고도[5] 외계인의 존재를 믿질 않아서 그를 보고 캇파로 취급하는데, 당작의 도버 데몬 특유의 원반 같은 머리 형상이 캇파의 '접시'라 불리는 정수리 형태와 공통점이 있다는 게 절묘한 부분이다.
[1] 여담으로, 2020년 인구 조사 당시 도버의 총 인구는 5,923명으로 많은 편이 아니었지만 개인 평균 소득이 25만 달러 이상인 매사추세츠 주에서 가장 부유한 마을이다.[2] 이것은 21일 오후 10시 30분에 이것과 마주친 빌 바틀렛의 증언 중 "주황색 눈" 부분과 상충한다.[3] 얼굴이 8자 모양이라는 말도 있다.[4] 다만 도버 데몬을 실제로 목격한 이들의 말에 따르면, 그것은 절대 사슴일리가 없다고 단언한다.[5] 앞서 모모를 비롯한 3인방과의 전투로 인해 지쳐 쓰러진 것을 모모 일행이 집으로 데려와 치료해 주었던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