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3:24:15

단다단


[[단다단|
파일:단다단 애니플러스 로고.png
]]


'''{{{+1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top, #700100, #700100, #ec1c22)"
<nopad> 파일:단다단 1권(한).jpg
<colbgcolor=#fff001,#fff001><colcolor=#700100,#700100> 장르 오컬트[1], 퇴마, 다크 판타지, 배틀, 액션,
SF, 러브 코미디, 소년만화
작가 타츠 유키노부
번역가 허윤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슈에이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씨아이, DCW[E북]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 소년 점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코믹 챔프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점프 코믹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챔프 코믹스
연재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21. 04. 06. ~ 연재 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6호 ~ 연재 중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8권 (2025. 01. 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5권 (2025. 01. 21.)

1. 개요2. 줄거리3. 발매 현황
3.1. 표지 인물 일람
4. 등장인물5. 설정6. 평가7. 수상8. 미디어 믹스9. 기타
9.1. 인기투표
10.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귀신과 외계인을 소재로 한 일본의 코믹, 오컬트액션 만화. 작가는 타츠 유키노부.[3]

빠르고 거침없는 전개, 막가는 것 같으면서도 어느 정도 소년만화적인 선을 지키는 수위, 생동감이 넘치는 뛰어난 작화를 바탕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스파이 패밀리, 괴수 8호에 이어 소년 점프+의 간판 작품이 되었다.

2. 줄거리

속도감 넘치는 오컬틱 청춘 스토리가 시작된다!

유령이 있다고 믿는 여고생 아야세 모모와 외계인이 있다고 믿는 오컬트 오타쿠 오카룽.

서로가 부정하는 유령과 UFO의 증거를 보여주기 위해 모모는 UFO 출몰지인 폐병원에, 오카룽은 심령 스폿이라는 터널로 가게 되는데… 갑작스레 운명의 사랑이 시작된다?!

오컬틱 괴기 배틀 개막!

3. 발매 현황

||<-6><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010101,#010101><table bgcolor=#fff,#2d2f34><table color=#212529,#e0e0e0><bgcolor=#fff001,#010101> 단다단 ||
<rowcolor=#010101> 01권 02권 03권
파일:단다단 1권(한).jpg 파일:단다단 2권(한).jpg 파일:단다단 3권(한).jpg
<rowcolor=#010101>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1권.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2권.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3권.png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08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10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12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0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2월 2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5월 25일
파일:e북.svg 2022년 03월 17일 파일:e북.svg 2022년 03월 17일 파일:e북.svg 2022년 07월 21일
<rowcolor=#010101> 04권 05권 06권
파일:단다단 4권(한).jpg 파일:단다단 5권(한).jpg 파일:단다단 6권(한).jpg
<rowcolor=#010101>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4권.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5권.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6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3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5월 0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08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8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1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3월 06일
파일:e북.svg 2022년 10월 20일 파일:e북.svg 2022년 12월 22일 파일:e북.svg 2023년 04월 27일
<rowcolor=#010101> 07권 08권 09권
파일:단다단7.jpg 파일:단다단8.jpg 파일:단다단9.jpg
<rowcolor=#010101>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7권.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8권.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 9권.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10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1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3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7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09월 2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0월 20일
파일:e북.svg 2023년 09월 27일 파일:e북.svg 2023년 10월 26일 파일:e북.svg 2023년 11월 23일
<rowcolor=#010101> 10권 11권 12권
파일:단다단10권.jpg 파일:단다단11권.jpg 파일:단다단12권.jpg
<rowcolor=#010101>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0권JP.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1권JP.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2권JP.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5월 0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8월 1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12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1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1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4월 25일
파일:e북.svg 2023년 12월 14일 파일:e북.svg 2024년 02월 15일 파일:e북.svg 2024년 05월 30일
<rowcolor=#010101> 13권 14권 15권
파일:단다단13권.jpg 파일:단다단14권.jpg 파일:단다단15권.jpg
<rowcolor=#010101>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3권JP.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4권JP.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5권JP.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01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04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07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07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10월 2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01월 21일
파일:e북.svg 2024년 08월 29일 파일:e북.svg 2024년 12월 26일 파일:e북.svg 미정
<rowcolor=#010101> 16권 17권 18권
<nopad> 파일:단다단16권JP.jpg 파일:단다단17권JP.jpg 파일:단다단18권JP.jpg
<rowcolor=#010101>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6권JP.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7권JP.jpg
[ 원서 표지 ]
파일:단다단18권JP.jpg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10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11월 0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년 0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파일:e북.svg 미정

3.1. 표지 인물 일람

대체적으로 두 명이 나오며, 앞쪽에 나온 인물은 다음 권에서는 뒤에 위치해 있다.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다단/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단다단|
파일:단다단 애니플러스 로고.png
]]
'''[[단다단/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9em; letter-spacing:-.3px"
파일:모모_3×4.png파일:오카룽_3×4.png파일:아이라_3×4.png파일:지지_3×4.png파일:세이코_3×4.png
[[아야세 모모|
아야세 모모
]]
[[타카쿠라 켄(단다단)|
[ruby(타카쿠라 켄, ruby=오카룽)]
]]
[[시라토리 아이라(단다단)|
시라토리 아이라
]]
[[엔조지 진|
[ruby(엔조지 진, ruby=지지)]
]]
[[아야세 세이코|
아야세 세이코
]]
파일:사카타_3×4.png파일:바모라_3×4.png파일:사와키_3×4.png파일:즈마_3×4.png파일:터보_3×4.png
[[사카타 킨타|
사카타 킨타
]]
[[바모라|
바모라
]]
[[사와키 린|
사와키 린
]]
[[즈마 운지|
즈마 운지
]]
[[터보 할멈(단다단)|
터보 할멈
]]
}}}}}}}}} ||

5. 설정

6. 평가

7. 수상

8. 미디어 믹스

8.1.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다단/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9.1. 인기투표

제1회 인기투표 결과
파일:단다단 1회 인기투표 일러스트.jpg
순위 캐릭터 득표수
1 타카쿠라 켄 38,699표
2 아야세 모모 25,763표
3 터보 할멈 22,920표
4 엔조지 진 18,499표
5 시라토리 아이라 14,271표
6 아야세 세이코 12,821표
7 즈마 운지 11,935표
8 바모라 11,464표
9 로쿠로 10,549표
10 사카타 킨타 9,760표
11 갯가재 성인 7,648표
12 카시마 레이코 4,015표
13 치키티타 3,234표
14 베가 마사미치 3,023표
15 반가 2,819표
16 상 제르망 2,408표
17 사와키 린 1,987표
18 금색으로 빛나는 구슬 1,892표
19 아크로바틱 찰랑찰랑 1,826표
20 즈마의 동료(안경) 1,808표

10. 외부 링크


[1] 만화의 초반부는 오컬트 장르에 가까웠으나, 만화가 진행되면서, 배틀물로 점차 전환되었다.[E북] [3] 1985년생. 후지모토 타츠키의 《파이어 펀치》, 《체인소 맨》, 카쿠 유지의 《지옥락》의 메인 어시스턴트로 활동한 경력이 있으며, 본 작품이 데뷔작은 아니다. 어시 활동 이전에 이미 월간 소년 매거진에서 《正義の禄号》, 《FIRE BALL!》 등을 연재한 적이 있다.[4] 이는 애니메이션 방영 단 2개월 만에 이뤄낸 기록으로, 무려 2개월 만에 본래 누계 부수인 400만부를 단 2개월 만에 2배로 추가한 것이다.[5] 옆에 마네키네코에 빙의된 터보 할멈이 있으며, 터보 할멈까지 포함하면 세 명이 나왔다.[6] 최초로 표지에 단독으로 등장한 캐릭터. 더불어 그림체도 거의 실사체에 가깝게 묘사되어 있다.[7] 터보 할멈이 말하길 '하이퍼 영감'.[8] 이들을 통틀어 괴이라고도 한다.[9] 사안은 타카쿠라와의 놀이로, 카시마 레이코는 사랑에 대한 관심으로 살의를 억누르는 모습이 나온다.[10] 사실 대부분의 귀신과 요괴들이 외계인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들이 외계인들로부터 지구를 지켜 왔다고 보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작중 지구의 귀신들이 지닌 초자연적인 힘과 능력이 외계인들의 과학 기술과 맞먹거나 개체에 따라서는 아예 능가할 정도로 고점이 강력한 데다가, 이런 귀신과 악마에 대한 전승은 일본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곳곳에 수도 없이 많기 때문에, 이런 것들이 실존하는 단다단 세계관 속에서 외계인들이 함부로 지구를 건드리지 못 하게 하는 억제력으로 작용한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11] 주인공 일행도 그렇지만 117화에서 카시마 레이코가 지구 침략하러 온 외계인 선발함대를 전부 거울에 가둔 뒤 거울 속으로 주먹을 연속으로 날려서 전멸시키는 모습이 나온다.[스포일러] 실제로 모종의 사유로 작중 등장인물이 생명 에너지를 소실하자, 어느 귀신이 자신의 오라를 제공하여 소생시키기도 했다.[13] 예를 들어서, 오카룽의 그거 같은[14] 신체변화 과정에서 오러의 원주인이던 귀신의 흔적이 마스크와 같은 의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때 변신하면서 본래 성격에서 반전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15] 여기서 1화의 경우에는 애니메이션 방영 이후로 알려진 사실로 첫 화의 자극적이면서 아슬아슬한 수위와 거침없는 전개를 호평하는 독자 및 시청자들도 많았지만, 이것이 너무 강해서 불편하다는 지적도 꽤 있었다.[16] 이러한 주간 연재 작품임에도 주간 연재 작품 중에서도 현 세대에서 가장 높은 작화 퀄리티로 평가받는데, 여기서 더 호평받는 것이 크게 휴재를 한 경우가 없다는 것이 작품 내외적으로 호평받는 이유 중 하나이다.[17] 하지만 아쉽게도 애니메이션 방영 중 한번 휴재를 진행하더니 해를 넘긴 2025년 1월에는 아예 한달 장기 휴재를 소식으로 2월 25일부터 연재 재게라는 소식이 나오면서, 휴재한 기록이 적어 호평 받던 본 작의 장점중 하나가 아쉽게도 희석되었다.[18] 특히 초반 아크로바틱 찰랑찰랑의 과거사 에피소드와 액션씬의 고점인 사안 편 이후 나오는 즈마 운지의 에피소드는 본 작에서 가장 큰 인기와 완성도를 평가받는 명 에피소드로 뽑힌다.[19] 물론 저점으로 평가받는 에피소드도 있었는데 사와키 린의 에피소드는 루즈했다는 반응이 꽤 나오면서 주연임에도 인기투표에서 인기가 저조한 아쉬운 결점도 있다. 이후 즈마 운지 에피소드도 처음에는 다소 복잡한 룰과 갑작스러운 전개가 반응이 엇갈렸으나, 이후 즈마의 과거사와 능력씬이 확실히 조명되면서 본 작의 명 에피소드가 나오며, 이러한 전세를 완전히 뒤집으며, 다시 화제성을 올렸다.[20] 본 작의 경우에도 탄탄한 팬덤과 어느 정도의 화제성이 있었으나, 단행본 판매 부수는 타 인기몰이 중인 작품들에 비해 저조한 경향이 있었는데, 애니화 이후 방영 2달 만에 누계 부수의 2배를 넘길 정도로 흥행했다.[21] 여담으로 언급된 스파이 패밀리, 체인소 맨, 지옥락, 단다단은 모두 편집자가 점프+의 부편집장인 린 시헤이로 동일하다.[22] 여기서는 본 작의 주연들이 대부분 참여하며, 에피소드에 관여되지 않는 주연들도 합류하는 경우도 꽤 있다.[23] 그래서인지 애니판 오프닝에서도 사다코와 카야코가 언급된다.[24] 오카룽이 종종 타카쿠라 켄의 영화 명대사를 말해서 아야세 모모가 반하게 된다.[25] 왕따 문제는 주요인물들인 오카룽사카타 킨타가 대두되었고, 주요인물들 중 아야세 모모는 편조(부)모 집안에서 생활하며, 시라토리 아이라의 경우는 사별로 인한 편부 가정, 사와키 린은 편모가정이며, 즈마 운지의 경우에도 아버지의 과로사로 인한 편모가정이었다가 이후 일가족 전원이 사망하면서 불량청소년으로써 완전히 삐뚤어지게 된다.[26] 해당 매장에 방문한 다음주 연재된 176화에서 카와고에점이 배경으로 등장한것으로 보아 답사 차원에서 방문했던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