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16:24:54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단대부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16418e>
파일:강남구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개포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 국립국악고등학교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서울로봇고등학교
서울세종고등학교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압구정고등학교
영동고등학교 은광여자고등학교 중동고등학교 중산고등학교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진선여자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풍문고등학교
현대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단대부고 전경.jpg
단대부고 전경
<colbgcolor=#045195>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檀國大學校 師範大學 附屬高等學校
Dan-Kook High School
파일:단대부고로고.jpg
<nopad>
교육 이념 구국ㆍ자주ㆍ자립
교훈 나를 알며, 참에 살고, 공부하며 일하자
개교 1983년 12월 26일
유형 일반고등학교
성별 남자고등학교
운영 형태 사립
교목 느티나무
교화 철쭉
명예교장 장준성
교장 제9대 배철호
교감 황재호
학교법인 학교법인 단국대학
학생 수 1,170명(2025학년도)
교원 수 82명(2025학년도)
관할청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 64길 21 (대치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훈3.2. 교가3.3. 교복
4. 학교 시설5. 학교 생활
5.1. 시간표
6. 학교 특징7. 출신 인물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8.2. 지하철
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강남 8학군 일반 고등학교이자 남자 고등학교.

1980년대 초 단국중학교과 단국공업고등학교를 현재의 부지로 이전할 때 단국중학교의 교명을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로 바꾸고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를 추가로 세웠다.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와 붙어있다.

2. 학교 연혁

3. 학교 상징

3.1. 교훈

  1. 나를 알며
    [학생으로서, 한국인으로서, 세계인으로서의 나 (가치관 확립)]
  2. 참에 살고
    [정의 존중, 충효심 앙양, 인류애 발휘 (진리추구)]
  3. 공부하며 일하자
    [학업충실, 일인일기 습득, 실천봉공(보은 보국)]

3.2. 교가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고등학교,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단국대학교 이 네 개의 학교 교가가 모두 같다.
파일: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교가.jpg

영기찬 백두산의 정기를 받고

한양성 배움터에 모여든 학도

젊은피 끓는 가슴 부둥켜 안고

찬연한 앞을 향해 뛰어 나간다

받들라 혜당여사 높은 그 뜻을

빛내라 단국학원[1] 우리의 모교

받들라 법정선생 굳센 그 뜻을

빛내라 단국학원 우리의 모교
음원

3.3. 교복

원래 무난한 디자인의 교복이었으나 2012년 3월부터 생활교복 열풍에 편승해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녹색, 적색, 남색 학년별로 3색인데, 재학생들은 불만족해 한다. 그나마 남색이 가장 무난하다. 2025년 기준 1학년이 남색, 2학년이 녹색, 3학년이 적색이다. 녹색은 시금치, 적색은 고구마, 남색은 가지. 아래 사진 참고.
파일:단대부고하복1.jpg 파일:단대부고하복2.jpg 파일:단대부고하복3.jpg
하복1 하복2 하복3
파일:단대부고춘추동복1.png 파일:단대부고춘추동복2.png 파일:단대부고춘추동복3.png
동복•춘추복1 동복•춘추복2 동복•춘추복3

4. 학교 시설

지하 2층 : 음악실A, B, 교지편집부실
지하 1층 : 급식실
1층 : 체육관, 학생회실

5. 학교 생활

전 학년이 등교시간이 같다.
학급 등교시간은 반 별로 차이가 있지만 빠르게는 7시 50분인 반부터 일부 반은 없기도 하며, 학교 등교시간은 8시까지이다.[3][4]
체육관이 있는 건물 지하에 있는 급식실에서 중식과 석식을 제공한다. 점심시간은 12시 20분부터 1시 10분[5][6]까지인데, 3학년부터 1년까지 12시 20분부터 10분 간격으로 차례대로 급식을 먹는다.[7]
석식은 신청인원이 일정 수 이상이 되어야 신청을 받는다.
[2025년에는 석식을 제공 하지 않는다]

* 반편성
각 학년당 13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 3학년의 경우 과학탐구 선택자로 구성된 반이 많다.
2024년 입학생[8]까지는 1학년때 물리학1을 필수로 하고, 2학년때 사회/과학 탐구과목 3개, 3학년때 탐구과목 2개를 선택하는것이 특징이다.
2학년때 수학 과목으로는 공통적으로 수학1, 수학2를 이수하며, 이공계열 학생들은 기하[9]를 이수한다. 제2 외국어로는 스페인어 선택자가 절반 이상으로 매우 많은 편이고, 그 다음으로 일본어가 많다. 반면 한문은 선택자 수가 매우 적어, 2025년에는 성취도가 절대평가로 산출된다.[10] 국어 과목으로는 1학기때 문학을, 2학기때 독수를 이수하며,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다루는 정보 또한 2학년때 이수한다.
3학년때는 이공계열 학생들은 확률과 통계, 미적분, 과학탐구 2과목, 사회 과목을 1개 이수한다.[11] 국어과 선택과목으로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심화 국어 이수는 강제하는 편이다.
2025년 입학생[12]부터는 1학년때 과학과목을 이수하지는 않는다.

5.1. 시간표

시간표
등교 8시 00분[13]
학급 조회 8시 00분 ~ 8시 30분
1교시 8시 30분 ~ 9시 20분
2교시 9시 30분 ~ 10시 20분
3교시 10시 30분 ~ 11시 20분
4교시 11시 30분 ~ 12시 20분
점심시간 12시 20분 ~ 13시 10분[14]
5교시 13시 10분 ~ 14시
6교시 14시 10분 ~ 15시
7교시 15시 10분 ~ 16시
학급 종례 16시 ~[15]

6. 학교 특징

7. 출신 인물

「단대부고에 재학한 사실이 있는 자」 한정으로 출신(出身) 인물에 기재할 수 있다. 단, 졸업·자퇴·제적・전학 등 학적변동 여부를 명시한다.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
단대부고.대치아이파크아파트(23-221)
도곡렉슬아파트정문 (23-332)
242, 472, 2415, 3414, 3426, 4432, 4435
한티역3번출구(2번출구).서울강남고용노동지청 (23-222, 23-265) 333, 340, 361, 420, 461, 2415, 4312

8.2. 지하철

9. 기타

10.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휘장 White.svg 강남 8학군 소속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 강남구 개포고등학교경기고등학교경기여자고등학교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서울세종고등학교숙명여자고등학교압구정고등학교영동고등학교은광여자고등학교중동고등학교중산고등학교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진선여자고등학교청담고등학교풍문고등학교현대고등학교휘문고등학교
서초구 동덕여자고등학교반포고등학교상문고등학교서문여자고등학교서울고등학교서초고등학교세화고등학교세화여자고등학교양재고등학교언남고등학교
}}}}}}}}} ||

파일:단국대학교 시그니처 좌우조합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학교법인 단국대학 산하 기관
캠퍼스
{{{#!wiki style="margin: -16px -11px" 죽전캠퍼스 천안캠퍼스 舊 서울캠퍼스 }}}
학교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재단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
학생 정보
학사 제도 출신 인물 고시반 동아리
사건 사고 기숙사 학내 언론 총학생회
부속 기관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33.3%>
천호지
||<width=33.3%>
석주선기념박물관
||<width=33.3%>
야구부
||
}}}}}}}}}}}} ||
[1] 단국대학교에서는 이 부분을 단국학원→단국대학으로 바꿔부른다.[2] 어항이 있는 출입구 방향이다. 어항쪽은 1, 2학년 출입구이고 중앙은 3학년 출입구이다.[3] 즉 학급 등교시간을 넘어서 등교하면 청소 등 벌칙으로 끝이고, 8시를 넘어서 등교하면 생기부에 남는다.[4] 학급 등교시간은 담임선생님 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5] 점심시간이 끝나기 5분 전에 예비종이 한번 울린다.[6] 가끔 맛있는 급식이 나오는 날에는 학생들이 몰려들어 급식시간이 5분 연장되기도 한다. 이 날에는 5교시 수업이 5분 줄어든다.[7] 급식실 또한 단대부중, 단국소프트웨어고등학교와 같이 쓰기 때문에 단국소프트웨어고등학교학생 들은 3교시를 마치고 먹는다.[8] 2008년생, 2015 개정 교육과정[9] 석차등급이 산출되지 않고 성취도만 산출되는 절대평가 과목이다.[10] 선택자 수가 12명 이하면 4%가 0.48명 이하가 되어 반올림 시 1등급이 없어지기 때문에 절대평가로 전환된다.[11] 1학년때 물리학1을 이수했으므로 2학년때 탐구 과목을 3개만 선택하며, 이로 인해 1학년 통합사회 이수 단위가 3단위에 불과하여 1학년 과목만으로는 사회과 졸업 요건 충족이 되지 않는다.[12] 2009년생, 2022 개정 교육과정[13] 학급 지각 시각은 반마다 다르며, 8시 정각을 넘으면 미인정 지각이다.[14] 3학년부터 차례로 먹는다.[15] 월요일~수요일은 6교시 수업으로 3시 종례이다.[16] 큰 언덕이란 뜻이다[17] 950회 선후배 특집에서 우승.[18] 댓글을 보면 한국교육을 비판하는 댓글이 많다. 다큐멘터리 내용도 한국의 입시교육을 비판하는 분위기.[19] 굿모닝! 티처에 등장하는 학교축제 "일출제"가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작가의 출신고인 단대부고의 1990년대초 단웅제를 모티브로 했다. 작중에서도 "연예인들도 온다는데?"라고 언급.[20] 다만 단대부고는 작중 등장하는 여러 학교가 남녀공학인 데 반해, 실제로는 남학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