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22:12:10

닛산 맥시마

파일:닛산 로고.svg
파일:nissan maxima 2019.webp
MAXIMA

1. 개요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G910, 1980~1984)2.2. 2세대 (PU11, 1984~1988)2.3. 3세대 (J30, 1988~1994)2.4. 4세대 (A32, 1994~1999)2.5. 5세대 (A33, 1999~2003)2.6. 6세대 (A34, 2003~2008)2.7. 7세대 (A35, 2008~2014)2.8. 8세대 (A36, 2015~2023)2.9. 향후 계획
3. 미디어에서4. 논란5. 둘러보기


Nissan Maxima
日産・マキシマ

1. 개요

닛산에서 1980년부터 2023년까지 생산했던 전륜구동 방식의 준대형 세단이다.

중형차인 알티마와 플랫폼을 공용하며,[1] 알티마와 함께 A34부터 미국 테네시 주 스머나 현지 공장에서 생산했다.[2][3] 경쟁 모델이었던 아슬란, 그랜저아발론, K7 등은 조용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주행 성능을 보여주는 패밀리 세단을 지향하는데, 맥시마의 경우 준대형 모델인데도 불구하고 스포티한 느낌의 주행 성능을 우선시 한 스포츠성을 어느정도 띠고 있는 세단이다.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2세대가 블루버드 맥시마로, 3세대가 맥시마로, 4세대와 5세대가 닛산 세피로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4세대인 A32형 모델이 SM5의 원판이다.

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G910, 1980~198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st-Nissan-Maxima.jpg
1983년식 모델
1980년에 810계 블루버드의 수출형인 닷선 810의 후속으로 내놓았고, 6세대 블루버드를 베이스[4]로 해서 미국에 판매했다. 초창기에는 닷선 810의 2세대 모델로 판매되었고, 1981년부터 닷선 맥시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910계 블루버드를 따라 후륜구동 방식이 채택되었고, 직렬 6기통 2.4L L24E형 가솔린과 2.8L LD28형 디젤엔진이 제공되었는데, 디젤엔진 사양은 북미 시장에서 1981년부터 1983년까지 판매되었다. 변속기는 5단 수동과 자트코제 4단 자동이 있었다. 차체 형식은 세단과 왜건이 있었다.

1983년부터는 닛산 맥시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이 때 판매된 1984년형은 차체 후면에 닷선과 닛산 뱃지가 같이 붙었다.

2.2. 2세대 (PU11, 1984~1988)

파일:맥시마2-1.jpg
파일:맥시마2-2.jpg
<rowcolor=#000> 세단 하드탑
1984년 7월부터 생산이 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블루버드 맥시마로 출시되었다. 전륜구동으로 변경된 이때부터 연료 주입구와 머플러는 각각 좌측, 우측으로 바뀌었다. 북미 시장에는 V6 3.0L VG30E 엔진만 제공했다.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2.0L 사양인 VG20E와 그 터보 사양인 VG20ET도 제공되었고, 4도어 하드탑도 라인업에 존재했다. 나머지 시장에서는 4도어 세단과 5도어 왜건이 존재했다. 변속기는 5단 수동과 4단 자동이 존재했다.

1986년에 출시된 1987년형은 마이너체인지를 거친 후기형 모델로, 안전 및 편의장비 보강과 15인치 알로이 휠을 기본으로 적용하는 등의 변경 사항이 있었다.

2.3. 3세대 (J30, 1988~1994)

파일:맥시마3-1.jpg
파일:맥시마3-2.jpg
<rowcolor=#000> 초기형 페이스리프트
1988년 8월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1989년형으로 출시되었다. 3세대부터 블루버드의 고급화 트림에서 벗어난 독자적인 라인업으로 거듭나게 위해 차체 형식도 4도어 세단만 남겼으며, 닛산에서 최초로 ABS를 적용했다. 일본 내수명도 블루버드를 떼어낸 닛산 맥시마로 판매되었고, 호주에서도 현지생산하던 R31계 스카이라인을 대체하기 위해 1990년 5월에 J30 맥시마를 투입했으며, 유럽 시장에서는 C32계 로렐을 대체했다.

출시 초기에는 V6 3.0L VG30E 엔진만 제공되었지만, 1991년형부터 3.0L VE30DE 엔진을 추가해 SE 트림에 제공했다. 변속기는 5단 수동과 4단 자동이 존재했다. 1992년형부터는 변속기의 개량이 이루어졌고, 1994년 3월까지 생산되었다.

1996~97년 사이에 방영된 삼성자동차 출범 광고에서 이 모델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2.4. 4세대 (A32, 1994~1999)

파일:맥시마4-1.jpg
파일:맥시마4-2.jpg
페이스리프트
1994년 2월부터 생산을 시작했고, 그 해 5월부터 1995년형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엔진은 V6 3.0L VQ30DE이 탑재되었고, 5단 수동변속기 또는 4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렸다. 일본버블경제가 꺼진 이후에 개발되었고, 이에 따라 한등급 아래의 블루버드[5]와 플랫폼을 공유하고 후륜 서스펜션으로 토션빔이 쓰이는 등의 원가절감이 이루어졌다. 1995년 1월에 미국의 모터 트렌드(Motor Trend)가 선정한 임포트 카 오브 더 이어를 수상하고 1995년과 1996년에 카앤드라이버(Car and Driver)에서 선정한 최고의 차 10선(Ten Best)에 올랐다.

1996년 10월에는 마이너체인지를 거친 1997년형이 출시되었다. 플라스틱 헤드램프 커버와 5스포크 알로이휠이 새롭게 적용되었고, GLE 트림에는 크롬도금 그릴이 적용되었다. 1999년형에는 SE 트림을 기반으로 16인치 알로이휠과 티타늄 장식을 추가한 리미티드 패키지가 추가되었다. 1999년 3월까지 생산되었다.

일본에서는 모델 통폐합을 거치면서 닛산 세피로의 2세대 모델로 판매되었고, 유럽을 비롯한 일부 시장에서는 맥시마 QX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북미 시장용 고급 버전으로 인피니티 I30이 있었다. 1998년에 출시된 1세대 SM5의 베이스 차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6] 자세한 것은 해당문서를 참조.

2.5. 5세대 (A33, 1999~2003)

파일:맥시마5-1.jpg
파일:맥시마5-2.jpg
<rowcolor=#000> 초기형 (국제시장용) 페이스리프트 (북미형)
1999년 4월부터 생산되어, 그 해 5월에 출시되었다. V6 3.0L VQ30DE 엔진의 출력이 상승했고, 변속기는 기존의 5단 수동과 4단 자동이 쓰였다. 북미형 모델과 그 외 시장용 모델은 전후면 디자인이 달랐다. 2002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엔진이 V6 3.0L에서 V6 3.5L VQ35DE로 변경되었고, 6단 수동변속기가 추가되었으며, HID 로우빔 헤드램프가 적용되었다.

인피니티 I30도 대를 이어갔고, 페이스리프트 이후 엔진이 변경됨에 따라 I35로 이름을 바꾸었다. 일본에서는 세피로의 3세대로 판매되었고, 유럽에서는 맥시마 QX라는 이름으로 팔렸으며 이 세대를 끝으로 맥시마의 유럽 판매는 중단되었다. 호주에서도 A33이 맥시마로 팔렸고, A33의 후속 모델로 A34형 대신 J31형 티아나를 도입해 맥시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2008년에 나온 J32형 티아나도 맥시마로 팔렸다.

2.6. 6세대 (A34, 2003~2008)

파일:맥시마6-1.jpg
파일:맥시마6-2.jpg
<rowcolor=#000> 초기형 페이스리프트
2003년 1월 북미국제오토쇼에서 공개됐으며, 2004년형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세피로의 북미 버전이었던 4/5세대와 달리, 이때부터 미국 테네시 주 스머나 현지공장에서 생산하는 북아메리카 전용 모델로 탈바꿈했다.

플랫폼은 알티마부터 적용하기 시작한 FF-L 플랫폼이 탑재되었고 V6 3.5L VQ35DE 엔진과 6단 수동 또는 4단/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트림 체계는 SE와 SL 두 개로 이루어져 있었다. SE는 스포티 트림으로 18인치 알로이휠, 리어 스포일러와 6단 수동변속기 옵션을 제공했고, SL은 럭셔리 트림으로 17인치 알로이휠과 우드 트림, 6CD 체인저, BOSE 오디오 시스템, 가죽시트 및 앞좌석 열선시트, HID 헤드램프 등의 장비가 적용되었다.

2007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서 라디에이터 그릴과 헤드램프의 디자인의 변경되었고, 6단 수동 및 4단/5단 자동변속기 모델은 완전히 단종되어 엑스트로닉 CVT만 장착되었다. 2008년 4월까지 생산되었다.

2.7. 7세대 (A35, 2008~2014)

파일:맥시마7-1.jpg
파일:맥시마7-2.jpg
<rowcolor=#000> 초기형 페이스리프트
2008년 뉴욕모터쇼에서 공개되었고, 2008년 5월 27일부터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그 해 6월 말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알티마 L32, 르노삼성 SM5와 같은 D 플랫폼이 적용되었고, 핸들링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전고는 낮고, 전폭은 넓고, 전장은 짧아졌다.

위 모델부터 닛산이 맥시마를 프리미엄급 세단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는데, 이를 위해 닛산은 290마력(hp)을 내는 V6 3.5L VQ35DE 엔진과 엑스트로닉 CVT가 조합된 단일 파워트레인을 적용시켰고, 패들쉬프트와 버튼식 시동장치도 적용되었다.

2012년에는 약간의 마이너체인지를 거쳐 휠 크기를 18인치에서 19인치로 키웠고, 그릴과 테일램프 디자인의 변경도 이루어졌다. 이후 편의장비 옵션을 제공한 밸류 패키지를 추가하면서 계속 생산되다가 2014년에 단종되었고, 2015년 새 모델의 출시 전 까지, 2014년식의 재고떨이가 이루어졌다. 그래도 할인폭이 미국 준대형차들보다 낮았다.

2.8. 8세대 (A36, 2015~2023)

파일:맥시마8-1.jpg
파일:external/nseavoice.com/nissan-maxima-midnigh-600x400.jpg
일반 모델 미드나이트 에디션[7]
초기형
파일:nissanmaxima2019f.jpg
파일:nissanmaxima2019r.jpg
전면부 후면부
페이스리프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닛산 맥시마/8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9. 향후 계획

2026년경에 2019년 공개했던 IMS 컨셉카를 베이스로 한 전동화 모델로 거듭난다고 닛산 사장 우치다 마코토가 직접 언급했다. 이 모델은 미국 미시시피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이며, 인피니티 모델의 형제차도 출시할 예정이다.

3. 미디어에서

파일:분노의질주맥시마.jpg
파일:JK8A5939.jpg
KBS 토/일 드라마 "황금빛 내 인생"에 등장한 맥시마 8세대

4. 논란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dc143c><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dc143c>
파일:닛산 로고.svg파일:닛산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373a3c,#ddd><rowcolor=#373a3c,#ddd>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경차 데이즈 · 데이즈 하이웨이 스타 · 룩스, 룩스 하이웨이 스타 ·
NV100 클리퍼 · NT100 클리퍼 · 사쿠라
하이퍼미니 · 피노 · 모코 · 오티 · 킥스 · 클리퍼 리오 · 픽소
소형차 마치/마이크라 · 노트 · 티다 · 베르사 · 알메라 블루버드(1,2세대) · 서니 · Be-1 · S-카고 · 파오 · 피가로 · 마이크라 C+C · 체리 · 플래티나 · 아프리오 · 무지카 1000 · 마치 박스 ·
로렐 스피릿 · 바이올렛 · 스탄자 · 오스터 · 라티오 · 체리 캡
준중형차 센트라 · 실피 · 리프 · AD · 란니아 랭글리 · 리베르타 빌라 · 프레세아 · 서니/서니 캘리포니아 ·
블루버드 실피 · 루시노 · 알메라 클래식 · 츠루 · 오스틴 A40 소머셋 · 오스틴 A50 케임브리지 · 윙로드 · 펄사 · 서니 트럭
중형차 알티마 · 스카이라인 블루버드(3~10세대) · 핀타라 · 산타나 · 로렐 ·
세피로/세피로 왜건 · 프리메라 · 레퍼드(1,2세대) · 르네사 · 스테이지아 ·
크루 · 티아나 · 아베니르 · 엑스퍼트
준대형차 - 글로리아 · 세드릭 · 레퍼드(3,4세대) · 70형 · 푸가 · 맥시마
대형차 - 프레지던트 · 시마 · 인피니티 Q45
스포츠카 페어레이디 Z 닷선 스포츠 · 실비아(실에이티) · 180SX · 가젤 · 서니 RZ-1 · NX 쿠페 ·
오텍 자가토 스텔비오 AZ1 · 스카이라인 GT-R · EXA · 미드4
슈퍼카 GT-R R390 GT1공도용, 비매품
레이스카 - GT-R LM 니스모 · ZEOD RC · 델타윙 · R391 · R390 GT1 · 스카이라인 슈퍼 실루엣 · 사우루스 주니어 · R383 · R382 · R381 · 프린스 R380 · 스카이라인 터보 C · GTP ZX-터보 · R85V · R86V · R87E · R88C · R89C · R90CP · R90CK · R90CP · R90CK · R91CP · R91CK · R92CP · P35
소형 SUV 매그나이트 · 쥬크 · 킥스 라신 · 테라노(3세대)
준중형 SUV 캐시카이 · 로그 · 엑스트레일 · 아리야 미스트랄/테라노 II · 듀알리스
중형 SUV 무라노 · 테라 테라노(1,2세대) · 엑스테라 ·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준대형 SUV 패스파인더 테라노 레글루스
대형 SUV 패트롤 · 아르마다 -
MPV 세레나 · 엘그란드 · 리비나/그랜드 리비나/리비나 제니스 큐브 · 프레리/리버티 · 퀘스트 · 티노 · 프레사쥬 · 바사라 · 라페스타
LAV 타운스타 큐비스타
LCV / 상용밴 NV200/NV200 바네트 · NV300 · NV350/NV350 캐러밴 · NV400 호미 · 바네트 · 로코 · 아틀라스 맥스 · 프리마스타 · 인터스타 · NV1500/NV2500 HD/NV3500 HD
픽업트럭 타이탄 · 나바라/프론티어/NP300 · NP200 주니어 · 유트
트럭 아틀라스/NT450 아틀라스 · NT400 캡스타 180 · 캡올 · 호머 · C80 · 클리퍼 · 아틀레온 · NT500
버스 - 에코/시빌리언
구급차 파라메딕 -
의전차량 - 프린스 로얄
파일:닛산 NMC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피니티 로고.svg · 파일:Infiniti_IPL_Logo.jpg
닷선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모터트렌도 올해의 수입차.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파일:1990 닛산 300ZX.jpg 파일:1991 미쓰비시 3000GT.jpg 파일:1992 렉서스 SC.jpg 파일:1993 마쓰다 RX-7.jpg 파일:1994 혼다 어코드.jpg
닛산 300ZX 미쓰비시 3000GT VR-4 렉서스 SC 400 마쓰다 RX-7 혼다 어코드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파일:1995 닛산 맥시마.jpg 파일:1996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jpg 파일:1997 BMW 5시리즈.jpg 파일:1998 렉서스 GS.jpg 파일:1999 폭스바겐 뉴 비틀.jpg
닛산 맥시마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BMW 5시리즈 렉서스 GS 폭스바겐 뉴 비틀
1980년대 1990년대 폐지
}}}}}}}}} ||



[1] 현대자동차쏘나타토요타캠리의 사례처럼 알티마 역시 기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2] 그 이전 모델은 일본 가나가와현와 4세대 한정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르노삼성)에서 생산[3] 그 외 타 국가는 닛산 세피로 문서를 참고.[4] 국산차에 비유하자면 스텔라와 소나타, 쏘나타2와 마르샤, 2세대 SM5와 1세대 SM7과 비슷한 관계[5] 북아메리카에서는 알티마로 출시되었다.[6] 위의 사진을 보면 SM520의 초기형과 휠이 같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후면이 SM5 후기형과 같음을 알 수 있다.[7] 미드나이트 에디션은 맥시마 말고도 알티마, 패스파인더, 무라노, 센트라, 로그 에도 있다. 국내에 판매하지 않았다.[8] 배우 박시후가 연기했다. 참고로 이전 출연작 청담동 앨리스, 동네의 영웅에서는 인피니티를 협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