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D918><tablebgcolor=#FFD918> | 노무현 관련 문서 |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FD918,#2d2f34><colcolor=#010101,#FFCB08> 일생 | 일생 | |
발언 | 민주평통 제50차 상임위 연설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 이기야 · 응딩이) · 제가 뭐 경제 살리겠다고 말이나 했습니까 · 노무현의 시대가 오겠어요? · 이쯤 가면 막 하자는 거지요 · 야 기분 좋다 · 우흥 | ||
가족 | 아버지 노판석 · 아내 권양숙 · 형 노영현 · 형 노건평 · 아들 노건호 · 사위 곽상언 · 손녀 노서은 | ||
역대 선거 | 제16대 대통령 선거 (노풍)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 ||
사건 사고 | 부림사건 · 제5공화국 청문회 (노무현 명패 사건) ·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후보 단일화 협의회) · 검사와의 대화 ·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 · 박연차 게이트 ·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 (유서) | ||
재단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시민센터 · 노무현리더십학교 | ||
별명 · 밈 | 별명 (노짱 · 꿈과 희망의 군국주의자) · 고인드립 (MC무현) · 꽃이 진 뒤에야 봄이었음을 압니다 · MH세대 ·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 물은 셀프 · 너 노사모지 | ||
다큐멘터리 | 무현, 두 도시 이야기 · 노무현입니다 · 노무현과 바보들 · 물의 기억 · 시민 노무현 · 노무현과 바보들: 못다한 이야기 | ||
창작물 | 변호인 · 초선의원 · 고(故)노무현 前대통령 추모웹툰 | ||
기타 | 여담 · 자택 · 선거 로고송 · 노무현 갤러리 (노무현 대통령 미니 갤러리) · 노사모 · 친노 (역사 · 비판과 반론) · 비노 · 봉하마을 (부엉이바위) · 법무법인 부산 · 깨시민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참여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참여정부 참고 |
1. 개요
"그럼 국민의 비난은 누가 책임질 겁니까! 본 의원은 아직까지 풀리지 않은 의혹이 엄청나게 남아있습니다!"
노무현 의원이 제5공화국 청문회 일정 도중, 불려온 증인들이 변명으로만 일관하자 분노를 참지 못하고 일어나 일갈한 발언이다.#
노무현 의원이 제5공화국 청문회 일정 도중, 불려온 증인들이 변명으로만 일관하자 분노를 참지 못하고 일어나 일갈한 발언이다.#
"먼저 본 의원이 명패를 본 연단을 향해서 던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분명하게 확인해두고 싶은 것은 그 당시는 이미 위원장께서 정회를 선포하신 뒤였고…"
노무현, 제5공화국 청문회가 있었던 초선 의원 시절 1989년 12월 31일.#
노무현, 제5공화국 청문회가 있었던 초선 의원 시절 1989년 12월 31일.#
1989년 12월 31일 노무현 당시 통일민주당 의원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광주특위 및 5공특위 및 광주특위, 이른바 제5공화국 청문회 연석회의 도중 증인으로 출석한 전두환이 의원들의 질의에는 제대로 답변하지 않고 변명조의 일장연설만 하다가 퇴장한 이후 분노를 참지 못하고 명패를 내던져버린 사건이다.
2. 상세
1987년의 6월 항쟁으로 인한 민주화 열기 및 1988년 국회의원 선거 직후 국정이 여소야대로 개편됨으로 인해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조사 특별위원회>와 <제5공화국 비리조사 특별위원회>가 구성된 것이며 이로 인해 5공화국 인사들에 대하여 증인 심문 및 청문회를 개최한 것이 명패 사건이 일어난 계기가 되었다.일명 5공 청문회라고 불리는 이 자리에서 전두환과 그 휘하 하나회-보안사 군관들은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대처가 정당한 자위권 발동이었다면서 일장 연설을 했고[1] 청문에 참여한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등 야당의 질문에 대해서는 묵비권으로 일관했다. 이때 평민당의 이철용 의원이 전두환을 향해 달려가 "발포 쟁점부터 밝혀! 살인마 전두환!"이라고 외치다가 방호원들에게 제지당하기도 했다.#
<colbgcolor=#005ba6><colcolor=#ffffff> 그는 왜! 명패를 던졌나? (노무현 명패투척 청문회) - '5공 비리특위, 광주특위 연석 청문회' |
전두환의 증언 도중에 명패를 내던진 노무현 의원 - 광주MBC[풀제목] |
인터넷이나 뜬소문을 통해 '전두환에게 대놓고 명패를 던졌다'고도 알려졌지만 이는 와전된 것이며 본인의 면전에서 던지지는 않았다. 청문회 영상을 찾아보면 전두환 퇴장 후에 명패를 던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풀 영상에서는 명패를 던지는 장면은 나오지 않고 던지는 소리가 났으며 사태가 수습된 후 명패를 던진 사실에 대해 말함으로써 알 수 있다.
생전의 노무현 본인도 이런 루머가 "직접 던진 것이 아니다."라면서 사실이 아니라고 밝히기도 했다. 노 전 대통령의 자서전인 여보, 나 좀 도와줘에 따르면 이 행동은 전두환에 대한 분노가 아니라 자신이 속한 통일민주당의 지도부에 대해 화가 치밀었단게 이유였다고 밝혔으며 이 사건은 자신에게 회복되지 않을 이미지의 타격을 준 사건이었다고 술회했다. 그럼에도 통쾌한 사건으로 받아들여졌기에 어떤 사람은 "기왕이면 제대로 던져 머리통을 맞출 것이지"라며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노무현의 의도가 어떠했든 이 사건으로 그는 소신 있는 야당 정치인 내지는 투사라는 이미지가 부각되어 많은 지지층을 얻게 되었다. 다만 민주정의당 지지자들처럼 전직 대통령에게 무례하게 행동했다는 이유로 비판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았다고 한다.
다만 단순히 명패 사건이라는 돌발적인 사건만 가지고 노무현이 주목받았던 것은 아니었다. 청문회에 참석한 의원들 중에서 날카롭고 조리 있는 질문을 차분하게 던져서 일명 '청문회 스타'로 떠오른 의원들이 있었다.(이해찬, 이인제) 노무현은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활약을 보여줬던 초선 의원이었다. 증인 및 여당 의원의 잡아떼기 및 감싸기, 야당 의원들의 고함들이 오고 가는 난장판 속에서 청문회 스타들의 활약은 상대적으로 더욱 빛났다.
그리고 이렇게 침착하고 논리적으로 증인들을 몰아붙이던 모습이 해당 청문회의 중요성 때문에 매일 전국적으로 생방송되고 있었기 때문에 더더욱 눈에 띄었다. 즉, 노무현은 명패를 던져서 갑자기 유명해진 것이, 아니라 5공 청문회의 질의 응답 과정 내내 보인 모습으로 유명해진 것이다. 결국 명패 사건은 그 침착한 태도를 유지했던 노무현이 "그럼 국민의 비난은 누가 책임질 겁니까!! 본 의원은 풀리지 않은 의혹이 엄청나게 남아있습니다!!"라고 분노하면서 감정을 통제하지 못한 일과 더불어, 청문회 때 일어난 일종의 에피소드 중 하나였을 뿐이었다.
그런데 이때 스타 정치인이 된 노무현을 가장 먼저 주목하고 대통령 후보로 여긴 언론은 정말 아이러니하게도 이후 수십년 동안 사이가 나빴던 조선일보였다. 그들의 행태야 어쨌든 당시에는 반짝 스타일 뿐이었던 노무현을 장차 대통령에 도전할 수 있을 정도의 잠재력을 가진 인물로 높이 평가했다. 당시 노무현은 상도동계 정치인이었고 김영삼과 조선일보의 관계가 괜찮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선일보가 노무현을 싫어할 이유는 없었다.[3]
훗날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회 청문회가 정치공세의 수단이 되고 있다며 그게 바로 노무현 명패 사건에서 유래했다"고 발언하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김진태가 간과한 점이 있는데, 노무현은 청문회 내내 보였던 침착하고 논리정연하게 질의를 하는 모습 덕분에 이미 대중들의 호감을 사고 있었고, 그 와중에 한순간에 분노를 참지 못하고 보인 투사와 같은 모습이 사람들의 눈에 더욱 각인되어 청문회 스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반면 김진태는 발언마다 논란이 있는 데다, 평소 노무현을 그렇게도 싫어하였으며, 특히 박근혜를 따른 골수 친박 캐릭터이다. 또 김진태는 청문회에서 숱한 거친 정치공세를 마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발언은 김진태 본인을 셀프디스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
3. 여담
이해찬: 그때 명패를 집어 던졌잖아요.
김보협 기자: 나중에 들어보니까, 그냥 세게 내려놓았다던데요?
이해찬: 아니, 내가 옆에서 봤는데 (폭소).
김어준의 파파이스 노무현대통령 서거 8주기 특집 中[4]
김보협 기자: 나중에 들어보니까, 그냥 세게 내려놓았다던데요?
이해찬: 아니, 내가 옆에서 봤는데 (폭소).
김어준의 파파이스 노무현대통령 서거 8주기 특집 中[4]
- 나중에는 '실제로는 명패를 던지지 않았고 언론의 노무현 띄우기 일환이었을 것'이라는 일부 논객들의 뇌피셜이 잇따르기도 했는데 김어준의 파파이스 노무현 대통령 사망 8주기 특집에 출연한 이해찬 전 총리가[5] "그 사건 당시에 자신이 옆에 있었는데, 명패 확실히 던졌다."고 사실 확인을 해 주었다. 노무현의 옆에 앉아 있다가 노무현이 명패를 던지는 걸 보고 깜짝 놀란 사람이 바로 이해찬 당시 의원이었던 것.
- 이 사건 이후 노무현을 우연히 국회 본청 의원 식당에서 만난 김대중이 악수를 청하면서 건넨 말이 "잘했어요. 잘했어요."였다고 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김대중과 접점이 없었던 노무현이 그와 처음으로 대면한 것이었다. 또 김대중은 자신의 심복들에게 '노무현을 본받으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당시 김대중은 노무현과 당적의 차이는 있었으나 개인적으로는 노무현을 상당히 눈여겨 보고 있었으며, 훗날 노무현이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한 후에는 당의 부총재로 임명하여 가까이 두었고, 특히 본인의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입각시키기도 했다. 특히 김대중은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사건 이후 '내 몸의 반이 무너져 내리는 것 같다'는 기록을 일기에 남겼을 정도로 매우 비통해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김대중은 노무현이 세상을 떠난 날로부터 3개월이 흐른 8월 18일에 세상을 떠났다.
- 1988년, 인권변호사 조영래는 5공 청문회에서 맹활약하던 초선의원 노무현을 보고 '대통령감을 찾았다'는 극찬을 했다고 한다. 이후 두 사람의 인연이 이어져 민변을 만들면서 함께 의기투합했고, 15년 후 그의 말은 현실이 되었다.[6]
- 노무현이 대통령되고 난 이후인 2004년 대통령 임기 중 설에 유인태 정무수석을 보내서 세배를 한 것, 전두환 부부를 청와대에 초청해서 만찬을 대접하고, 해당 행사에 참석해준 것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한 것을 봤을 때 전직 대통령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는 해주었으며,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당시 조문은 하지 않고 "전직 대통령으로서 좀 더 버티지 왜 스스로 목숨을 끊는가." 라고 한탄하며 짧게 애도의 말을 전하며 어느정도 화해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1] 나중에 밝혀진 것이지만 전두환 측의 행동은 '미리 잘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짜여진 각본'이었다. 단순히 각본만 짠 게 아니라 2~3일 전에 청문회장과 똑같이 꾸며 놓은 호텔 방에서 시뮬레이션까지 거친 쇼였다. 실제로 당시 비디오 클립을 보면 군측 인물들이 무언가 하얀 종이를 들고 있거나 두고 있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풀제목] 1989년말 국회 청문회장에 선 전두환 | 자위권 발동을 주장하는 증인 전두환과 국회 파행 | 전두환의 증언 도중에 명패를 내던진 노무현 의원[3] 그러나 이후 노무현이 현대중공업 노조의 파업 현장에서 지지 연설을 했는데 이를 조선일보가 색깔론으로 묶어서 비난하였고 노무현은 조선일보를 권력에 기생하면서 안보 장사하는 신문이라고 공격했다. 그리고 양자 사이의 관계는 노무현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최악이다. 다만 노무현 사후에는 자연스럽게 노무현에서 그의 친구이자 후임인 문재인으로 공격 타겟이 바뀌게 된다.[4] 우연히 해당특집 녹화는 광주에서 진행됐다.[5] 이해찬이 13대 총선에서 평화민주당 소속으로 서울 관악구 을 지역구에 나가 김종인을 꺾고 당선되어 초선의원으로 활동하던 시절이다. 두 사람은 당시 비록 당적은 달랐지만 같은 5공 청문특위 위원이었을 뿐만 아니라 국회 노동위원회에서도 함께 활동하면서 매우 친하게 지냈다고 한다. 당시 '노동위원회 3총사'로 불릴 정도로 친하게 지내면서 함께 각종 성과를 내던 사람이 바로 노무현, 이해찬, 이상수 의원 셋이었는데, 이 세 사람의 인연이 훗날 참여정부 시기에 각각 대통령, 국무총리, 노동부장관으로까지 이어졌다. 참고로 당시 이해찬 의원실의 젊은 보좌관으로 일하면서, 처음 국회에서 노무현과 만나 그의 인품에 매료되었던 인물이 바로 유시민이었다.[6] 천정배의 증언이다. "그때 조 변호사가 청문회를 보더니 좋아하시면서 '아, 우리도 이제 대통령감을 갖게 됐다. 잘 키워야 한다'고 말하는 겁니다. 그렇게 좋아하는 걸 본 적이 없어요. 그 이후 노무현 의원이 조 변호사의 사무실을 찾아와 두 분이 만난 적도 있어요. 제가 노무현 대통령을 가장 먼저 지지하게 된 것도 조 변호사에게 받은 심리적 영향이 있었던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