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7:35:30

No Doubt(밴드)

노다웃에서 넘어옴
노 다웃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mmy.svgGrammy Awards
2회 수상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슈퍼볼 로고.svgSuper Bowl
슈퍼볼 하프타임쇼 헤드라이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XXV 이후 ]
연도는 경기일 기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XXV
1991
XXVI
1992
XXVII
1993
XXVIII
1994
XXIX
1995
뉴 키즈 온 더 블록 글로리아 에스테판 마이클 잭슨 클린트 블랙, 타냐 터커, 트래비스 트리트, 더 저드스 패티 라벨, 토니 베넷, 아투로 산도발, 테디 펜더그래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스티비 원더, 애슐리 저드, 리사 하트먼 블랙, 조지아 새틀라이츠, 조 네이메스, 엘리자 우드, 찰스 대니얼스
<rowcolor=#000> XXX
1996
XXXI
1997
XXXII
1998
XXXIII
1999
XXXIV
2000
다이애나 로스 블루스 브라더스, 제임스 브라운, 지지 탑 템테이션스, 스모키 로빈슨, 마사 앤 더 밴덜러스, 퀸 라티파, 보이즈 투 멘 스티비 원더, 글로리아 에스테판 필 콜린스, 토니 브랙스톤,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에드워드 제임스 올모스
빅 배드 부두 대디
<rowcolor=#000> XXXV
2001
XXXVI
2002
XXXVII
2003
XXXVIII
2004
XXXIX
2005
에어로스미스, 엔싱크 U2 샤니아 트웨인, 노 다우트, 스팅 자넷 잭슨, 퍼프 대디, 넬리, 키드락, 저스틴 팀버레이크, 제시카 심슨 폴 매카트니
브리트니 스피어스, 메리 제이 블라이즈, 넬리
<rowcolor=#000> XL
2006
XLI
2007
XLII
2008
XLIII
2009
XLIV
2010
롤링 스톤스 프린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브루스 스프링스틴 더 후
<rowcolor=#000> XLV
2011
XLVI
2012
XLVII
2013
XLVIII
2014
XLIX
2015
블랙 아이드 피스 마돈나 비욘세 브루노 마스 케이티 페리
어셔, 슬래쉬 LMFAO, 니키 미나즈, 엠아이에이, 시 로 그린 데스티니스 차일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 레니 크래비츠, 미시 엘리엇
<rowcolor=#000> 50
2016
LI
2017
LII
2018
LIII
2019
LIV
2020
콜드플레이 레이디 가가 저스틴 팀버레이크 마룬 5 샤키라, 제니퍼 로페즈
비욘세, 브루노 마스, 마크 론슨, 구스타보 두다멜 Travis Scott, Big Boi 배드 버니, J Balvin
<rowcolor=#000> LV
2021
LVI
2022
LVII
2023
LVIII
2024
LIX
2025
더 위켄드 닥터 드레, 스눕 독, 에미넴, 메리 제이 블라이즈, 켄드릭 라마 리아나 어셔 켄드릭 라마
50 센트, 앤더슨 팩 앨리샤 키스, 저메인 듀프리, H.E.R., will.i.am, 릴 존, 루다크리스 미정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256px-No_Doubt_Album_Logo.png 노 다웃
No Doubt
}}}
파일:NoDoubt-TRAGICKINGDOM-1004-01.webp
<colbgcolor=#fff><colcolor=#000>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결성 1986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애너하임
활동 1986년 ~ 2005년
2008년 ~ 2015년
2024년 ~ 현재
멤버 그웬 스테파니
톰 듀몬트
토니 카날
아드리안 영
장르 록 음악, 스카 펑크, 스카, 팝 록, 뉴웨이브, 얼터너티브 록, 팝 펑크, 레게
레이블 Trauma, Beacon Street, 인터스코프 레코드, 할리우드 레코드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인디 시절2.2. 1집의 실패2.3. 다음 음반 준비와 위기2.4. 2집과 3집의 성공2.5. 휴식기와 그웬 스테파니의 솔로 활동2.6. 활동 재개와 그 이후
3. 디스코그래피4. 멤버5. 이야깃거리

[clearfix]

1. 개요

대표곡 Don't Speak

1986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애너하임에서 결성된 미국록밴드이다. 1989년 보컬인 그웬 스테파니, 베이시스트인 토니 카날, 기타리스트인 톰 듀몬트, 그리고 드러머인 아드리안 영으로 구성된 팀이다.

2. 역사

2.1. 인디 시절

밴드는 1986년 보컬인 존 스펜스가 아이스크림 체인점 데어리 퀸에서 함께 일하던 키보디스트 에릭 스테파니와 밴드를 만들자는 얘기를 나누게 되어 시작되었다. 밴드명은 존 스펜스가 좋아하는 자신의 말버릇을 따서 지었다고 한다. 그들은 에릭 스테파니 부모님의 차고에서 연습을 하며 멤버들을 모았는데, 훗날 노다웃의 프론트우먼이 될 에릭 스테파니의 동생 그웬 스테파니를 백업 보컬로 영입했고, 기타에 제리 맥마흔, 베이스에 크리스 릴, 드럼에 크리스 웹, 트럼펫에 가브리엘 곤잘레즈와 알란 미드, 색소폰에 토니 미드를 영입하였다.
파일:tumblr_lzvnwl77zH1qbt1f5o1_1280.png
초기의 노다웃

1987년부터 공연에 나섰고, 첫 공연 후 고등학생 토니 커널이 찾아와 밴드 가입을 원하자 경력이 없는 학생임에도 흔쾌히 받아들인다. 이후 공연 모습이 VH1 채널의 Behind the Music에 실리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간다. 그러나 그해 말에 한 주차장에서 존 스펜스가 자살로 18살이라는 나이에 요절하고 만다. 헐리우드의 록시 극장에서 음반사 관계자들에게 보여줄 공연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밴드 멤버들은 그 공연 며칠 전에 존 스펜스의 사망소식을 전해들었다고 한다.
파일:john3.jpg
파일:john5.jpg
<rowcolor=#000> 1987년, 스튜디오에서 존 스펜스 No Doubt의 보컬 멤버 존 스펜스와 그웬 스테파니

망연자실한 밴드 멤버들은 록시 극장의 공연을 끝내고 얼마 되지 않아 해체를 발표한다. 몇 주 동안만 밴드를 이어나가기로 결정하여 색소폰을 연주가이자 존에 대한 곡 'Dear John'을 쓴 알란 미드를 리드 싱어로 대체했으나 얼마 뒤 밴드를 떠난다. 이로 인해 그웬 스테파니가 리드 싱어로 교체된다. 밴드 멤버들은 고민 끝에 존이라면 계속하길 원할 거라고 의견을 모아 밴드 활동을 계속 이어나가기로 결정한다.

88년도에는 헤비메탈 밴드에서 탈퇴한 기타리스트 톰 듀몬트가 헤비메탈에 염증을 느끼던 도중 노다웃 멤버가 된다. 89년도에는 노다웃의 팬인 드러머 아드리안 영이 직접 전화를 걸고 그웬이 일하는 곳에 찾아가는 등 노력해서 멤버로 가입한다. 이 시기의 노다웃은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오프닝을 섰다. 레드 핫 칠리 페퍼스플리는 노 다웃의 데모를 직접 작업해주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낮에는 일을 해서 돈을 벌어야 했다.

2.2. 1집의 실패

파일:611206eae71bb0bf0977c752fc85a0ef.jpg
데뷔 초 노다웃.
맨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에릭 스테파니, 톰 듀몬트,
아드리안 영, 그웬 스테파니, 토니 카날

90년에는 인터스코프 레코드의 직원 토니 퍼거슨이 노다웃의 공연과 팬들의 열기를 보게 된다. 91년에 인터스코프사와 음반 계약을 체결하여 데뷔 음반을 녹음했고 92년도에 셀프 타이틀 음반을 발매했지만 그런지 열풍과 완전히 다른 노선인 밝은 음악이라 외면 받아 30,000 장 정도가 판매되었고 전국 투어를 진행했지만 상업적 성과는 크게 없었다. 이 무렵 평범한 삶을 바랐던 에릭 스테파니는 밴드를 떠날 마음을 갖게 됐다고 한다. 5,000달러를 들여 "Trapped in a box"의 뮤직비디오를 찍기도 했지만 MTV에서는 그 어떤 관심도 주지 않았다.
Trapped In A Box 뮤직비디오

2.3. 다음 음반 준비와 위기

93년도부터는 훗날 대박날 음반 Tragic Kingdom을 녹음하기 시작했다.[1] 이 음반은 11개의 다른 스튜디오에서 2년 반 동안 녹음되었다. 그 무렵 트라우마 레코드사의 공동 경영자 폴 파머가 음반을 믹스하며 노다웃 멤버들의 재능을 높이 사서 레이블 이적을 제의했고 인터스코프의 동의하에 이적을 한다. 나중에 음반이 히트하자 인터스코프와 트라우마는 노다웃을 놓고 법적 공방을 하기도 한다.

음반이 완성되기 직전, 애니메이션을 전공한 에릭 스테파니는 밴드를 떠나서 부업으로 했던 심슨 가족 애니메이터로서의 작업에 전념하게 된다.[2] 에릭은 조용한 예술가 타입이라 투어를 돌 만한 대범한 성격도 아니었는데다,[3] 프로듀서에게 통제권이 넘어가 곡을 바꿔오라는 통보를 받는 등 부정적인 피드백에 많은 좌절감을 느꼈다고 한다. 에릭이 앨범포토 촬영부터 녹음까지 다 마치고 간 것이라서[4] 음반은 완성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작사 작곡을 중심적으로 다루던 밴드의 색깔과 같았던 멤버이기에 밴드는 또다시 위기를 맞는다.
파일:es.jpg
리사 심슨과 에릭 스테파니

본인들조차 음반이 나올지 모르는 상태에서 음반 작업을 계속하던 도중 그웬 스테파니는 연인이었던 토니 카날에게 이별 통보를 받게 된다.[5] 이로 인해 원래 연인에 대한 사랑을 꽤 발랄하게 노래한 곡이었던 에릭 스테파니의 곡 Don't Speak가 이별 가사와 슬픈 스타일의 곡으로 변경된다. 이외에도 Sunday Morning, Hey You, End It on This, Happy Now? 등 다수의 곡에 그웬 자신의 아픔을 담았기에 Tragic Kingdom이 개인적인 경향이 짙은 음반이라고 표현한다.
2000년 Don't Speak 오리지널 버전과 앨범 버전 라이브

이 무렵 토니는 밴드를 떠나려고 결심하였지만 그웬이 설득하여 밴드에 남게 된다. 둘은 약 7년 정도 연인 관계였고 인디 밴드였던 91년도까지는 같은 백화점에서 세일즈 직원으로 근무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워낙 어릴 때부터 만났던 사이였고 가족에게 보호받고 자랐던 그웬이었던지라 1살 어린 토니가 숙제부터 생존과 일상까지 도와주어 큰 의지가 되었다고 한다. 1년 정도는 규칙을 어기는 것 같아 둘 사이를 비밀로 했었는데[6] 그웬이 파티 후 산책 중에 키스하려고 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시했지만 토니가 밴드 때문에 거부했었다. 그웬이 토니에게 키스하려할 때 토니는 "안 돼! 밴드! 밴드!"라고 말했다고 한다. 화목한 자신의 가정을 롤모델 삼아서[7] 첫사랑인 토니와 하루빨리 아이를 갖고 가정을 이루는 것이 꿈이었던 그웬은 아이를 가질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는 Simple Kind Of Life의 뮤직비디오에서도 표현된다.[8] Tragic Kimgdom 월드 투어 활동 때는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관련된 질문이 쏟아져서 심적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어느 때는 하루에 스무번도 넘게 관련 답변을 해야 했다고 한다.
Simple Kind Of Life 뮤직비디오

역사를 보면 어려운 관계 같지만 뮤직비디오나 토크 등에서는 연인 기믹을 코믹하게 쓰기도 했다. 훗날 인터뷰에서 Don't Speak의 히트로 인해 둘 사이가 어땠는지 널리 알려졌었다며 농담 삼아 말하기도 했고, Ex-Girlfriend 뮤직비디오에서 연인 컨셉 연기를 할 때 한 세월 전에 헤어진 사이라 이상하다며 연기일 뿐이니 오해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9] 토니는 그웬의 솔로 활동 상담을 해주고 직접 곡작업에 참여하기도 했고, [10] 그웬은 직접 작사한 수록곡 Cool에서 둘의 관계가 말 그대로 쿨하다는 것을 묘사하기도 했다. 팬과 채팅이벤트를 할 때 토니가 싱글임을 어필하려고 드림걸을 아직 만나지 못했다고 말하자, 그웬은 그건 사실이 아니라고 농담하기도. 2012년에 Just a Girl 뮤직비디오를 보던 중 아드리안이 '내 전 여자친구다!' 라고 말한 것을 들은 토니는 흥미로워하더니 그웬이 나오자 '내 전 여자친구다!' 하는 드립을 날려서 모두를 폭소하게 만들기도 했다. 그웬: 방금 거 재밌었어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그 음반이 너무나 순진하게 만들어졌다는 점이에요. 9년 동안 밴드 활동을 해왔지만, 저희는 성공하려고 하지는 않았어요. 그런지라디오에서 인기 있는 장르와 반대되는 음악을 만들고 있었고, 그러는 게 좋았거든요. 그리고 개러지 밴드로서는 거대한 밴드였어요! 저희는 이미 스스로의 마음속에서 성공적이었답니다. 그래서 그 음반이 나오고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되었을 때, 그리고 사람들이 그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 마치 삶이 다 내놓아진 것만 같았어요. 너무나 강렬했죠. 그 이후 저는 작곡을 정말 진지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었어요. 하지만 저는 그 당시의 제가 어떻게 해낸 건지는 전혀 모르고 있었답니다. 시도한다고 해서 나오는 간단한 일이 아니었으니까요.

2.4. 2집과 3집의 성공

1995년 초에는 멤버들이 자비를 들여 초기 시절 괜찮은 곡들을 모은 Beacon Street Collection을 발매한다. 이때는 3배 정도로 괜찮게 팔렸다. 이 앨범에는 인디 시절부터 함께 공연하고 곡을 냈던 서브라임과 함께한 Total Hate!가 수록되어있다.[11] 이때 직접 차고에 동명의 스튜디오를 만들고 녹음을 진행해서 그들의 독립성이 인터스코프 임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한다. 그래서 여러 LA의 스튜디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 주었다고 한다.

1995년 10월 밴드의 첫 히트 음반이자 그래미 어워드 후보 지명, 천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Tragic Kingdom이 발매된다. 하지만 명성에 비해 처음에는 관심을 별로 받지 못했다고 한다. 오히려 그웬 스테파니가 '아무도 안 들어줄 거라고 생각하며' 만든 곡 Just a Girl이 방송을 타면서 발매 몇달 뒤에 음반은 빌보드 200에 175위, Just a Girl은 10위에 올랐다.#
Just a Girl 뮤직비디오

Just a Girl은 그웬 스테파니가 밴드의 작곡, 작사 중심이었던 오빠 에릭 없이 처음으로 단독 작사한 곡이다. 집이 엄격하여 20대 중반을 넘어서까지 부모님 댁에서 지냈고 귀가 시간으로 인한 마찰로 답답함을 느꼈던 때, 그러한 사회적 억압으로 인해 '어쩌면 사람들은 나를 여자라는 이유로 다르게 볼 수 있겠구나'라는 충격으로 시작된 생각을 표현하는 가사를 써내려갔고 다른 누가 들을 거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다고 한다. 뮤직비디오 역시 그웬의 아이디어로 짜여졌다고 한다.

그웬은 한 방송에서 Just a Girl을 소개할 때 인디 시절 오렌지 카운티 지역의 유일한 여성 락 뮤지션으로서 차별 받았던 경험을 말하기도 했다. 공연장에 가면 남자를 억지로 쫓아다니는 누군가의 여자친구, 저속한 여자애 취급을 받았던 경험이나 남자 밴드와 경쟁을 벌여야만 해서 목소리를 바꾸려고 노력했다가 실패한 경험 등으로, Just a Girl이 히트하던 시기의 그웬 스테파니는 인터뷰에서 "맙소사, 이 세계 남자들은 나를 자신들과 동등하다고 생각이나 할까, 하는 엿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종종 있어요." 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런 세계와는 다르게 그웬의 가족과 지인에 뿌리를 둔 노 다웃의 멤버들은 그웬을 항상 보호했고, 그웬의 창의성과 모든 의견을 수용하는 리스펙이 있었는데, 덕분에 데뷔 초기의 관객이나 외부인의 무례한 말들을 어떻게 해서든 반드시 이겨내고야 말것이라고 믿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 어떤 일이 생기기 전까지는 결코 무대를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다짐과 열정이 그웬의 마음 속에 있었다고 한다.

2.5. 휴식기와 그웬 스테파니의 솔로 활동

이후 노다웃은 Return of Saturn, Rock Steady 음반을 발매했다. 자메이카의 댄스홀 음악가 바운티 킬러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Rock Steady의 첫 싱글 "Hey Baby", 앨범의 두번째 싱글 "Hella Good", 자메이카의 댄스홀 음악가 레이디 쏘우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세번째 싱글 "Underneath It All"이 모두 크게 히트했고 그래미 어워드에서 두번째 상을 받았다.

또한 1999년에는 그웬 스테파니가 프린스의 노래 So far, So Pleased에 피쳐링을 했고, 이후 프린스는 Rock Steady 앨범에 Waiting Room이라는 곡으로 참여한다. 2000년에는 내한 공연을 하기도 했다. 2002년에는 그웬 스테파니가 피처링한 이브의 Let Me Blow Ya Mind가 베스트 랩/노래 콜라보레이션 부문 그래미 상을 받았다.
휴식기 직전 정규 앨범 Rcok Steady의 마지막 싱글
Running 뮤직비디오

2003년은 노 다웃이 스팅과 함께 슈퍼볼에 선 해였지만, 싱글 모음 앨범 'The Singles 1992–2003'의 홍보 활동 직후 잠정적으로 활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쉴새없이 달려오느라 지친 멤버가 많았고,[12] 아드리안 영의 경우 아이가 태어나서 휴식기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 무렵 그웬 스테파니는 음악계에서 자신이 끝나가는 상태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리고 훌쩍 세월이 지난 뒤에 그시절을 떠올릴 때 울컥할 정도로 가족과도 같은 밴드 멤버들이 흩어진 것이 힘들었다고도 한다. 그런 상태였기에 자신의 패션 브랜드를 준비하게 되었고, 이 시기에 준비한 솔로 앨범과 패션 브랜드 이름이 같을 정도다. 실제로 솔로 음반도 토니와의 상의 후 진행되었고, 잘 되긴 했지만 초반부터 대박을 치지는 않았다고 한다. 수록곡인 What You Waiting For? 가사에 미래에 대한 불안함, 솔로로서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 등이 드러나 있다.[13] 이러한 고민을 들은 What You Waiting For?의 작곡가 린다 페리가 바로 다음날 '뭘 주저하는 거야, 그웬 스테파니?'라며 해당 곡을 써왔다고 한다.
그웬 스테파니의 솔로 투어에 깜짝 등장한 No Doubt 멤버들

이후 그웬의 솔로 음반은 기록을 세우고 연이어 성공을 거뒀지만 컨디션 때문에 힘든 시기였다고 한다. 첫 번째 투어 때 임신으로 인해 입덧이 심각하여 노래하다 구토감을 느낄 정도였다고 한다. 입덧의 구토증상 때문에 매일 눈물을 흘렸고 거기에다 발목 부상까지 있었는데, 이후 음반 준비 중 둘째 임신 등이 겹쳐서 그웬은 가정에 전념하기로 하고 솔로 활동에 오랜 휴지 기간을 두기도 했다.

2.6. 활동 재개와 그 이후

활동 재개 전, 그웬은 학교 기금 모금 행사 때 톰과 어쿠스틱 공연을 하기로 논의했는데, 3년 동안 함께 연주해본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둘만 하려고 했었다고 한다. 그러다 다 같이 해보자는 얘기가 나왔고, 모두 같이 와서 공연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2012년 컴백 첫 싱글 Settle Down 뮤직비디오

2012년 노다웃은 새로운 음반 Push and Shove를 발매하게 된다. 2007년 그웬 스테파니의 두 번째 솔로 투어 때 멤버들이 고향에서 즉흥적으로 서프라이즈 이벤트를 하려고 앙코르 무대에 올라갔을 때 사람들이 열광하는 걸 보고 '아, 다시 같이 하자'라는 생각을 했다고. 활동 재개 무렵 인터뷰에서 그웬은 솔로 기간의 자신의 모습이 어떤 면에서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짜 버전 같은' 캐릭터를 연기하는 것이었고 노다웃 안에서의 자신이 진짜 모습이라고 인터뷰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은 짧은데 레이블에서 재촉하는 스트레스 많은 상황에서 만든 앨범이라 아쉬움이 많았다고 하며, 2015년 마지막 공연 후 약 9년이라는 오랜 공백을 가지게 된다.

노다웃의 활동은 오래 없었지만, 2020년에 그웬 스테파니가 신곡 Let Me Reintroduce Myself을 냈는데, 그동안의 모습들을 셀프 코스프레한 모습들이 나온다. Just a Girl과 Don't Speak 뮤직비디오 속 모습, 레드카펫에서 파란머리를 했던 모습, Return of Saturn 앨범 시절 분홍색 머리와 스타일 등 노다웃 시절의 모습들도 다시 볼 수 있다. 노래 자체도 노다웃 스타일의 신나는 스카, 레게 기반 곡인데, 악기 연주에 노다웃의 멤버였던 에릭 스테파니와 가브리얼 맥네어가 참여했다고 한다.
<rowcolor=#000> 2024년 코첼라
Just a Girl 라이브
코첼라 마지막 곡
Spiderwebs 라이브

2024년 4월, 노다웃이 좌중을 휘어잡는 코첼라 무대를 통해 화려한 복귀를 했다. # 첫날 그웬의 팬인 올리비아 로드리고가 자신의 최애 18곡중 하나로 뽑았던 Bathwater에 등장해 함께 노래하기도 했다. # 초창기 멤버였던 알란 미드도 코첼라에 와서 반갑게 인사했다는 비하인드가 전해졌다. #

코첼라 라인업 발표 때부터 노 다웃의 재결합에 대한 열광이 이어졌고, 그웬 스테파니는 피플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팬들의 반응 그 자체가 영감이 되었고 축복 같았다며 감사 인사를 했다. 또한 "그냥 멋질 거예요. 저희 스스로도 예상치 못했던 놀라운 커리어를 가지게 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리기 위해서, 무대에 올라가서 우리가 언제나 하던 노 다웃의 음악을 연주하고 관객 여러분과 연결되는 것 자체가요. 여러분 기억해주세요, 노다웃의 노래 '저스트 어 걸'이 라디오에서 흐르기까지만 저희가 9년 동안 노다웃에 몸 담았던 것을요. 저희가 이루어내려고 해오지도 않았는데도요."라는 메시지를 남기기도 했다. 또한 나일론과의 인터뷰에서 노 다웃의 코첼라 이후 투어나 신곡 같은 것은 어떻냐는 질문에 미래를 알 수는 없는 것이지만 '어떤 것에든 열려있다'고 답했다.

3. 디스코그래피

4. 멤버

그웬 스테파니 – 백업 보컬 (1986–1987), 리드 보컬 (1987-)
토니 카날 – 베이스, 키보드 (1987–)
톰 듀몬트 – 기타, 키보드 (1988–)
아드리안 영 – 드럼, 타악기 (1989–)
가브리얼 맥네어 – 키보드, 트롬본, 타악기, 백업 보컬 (1993–)
스티븐 브레들리 –키보드, 트롬본, 타악기, 백업 보컬 (1995–)
에릭 스테파니 – 키보드, 피아노, 기타 (1986–1995)
존 스펜스 – 리드 보컬 (1986–1987)
크리스 릴 – 베이스 (1986–1987)
가브리엘 곤잘레즈 – 트럼펫 (1986–1990)
알란 미드 – 트럼펫, 백업 보컬 및 리드 보컬 (1986–1988)
토니 미드 – 색소폰 (1986–1988)
제리 맥마흔 – 리드 기타 (1986–1988)
크리스 웹 – 드럼, 타악기 (1986–1989)
폴 카셀리 – 트롬본 (1987–1989)
에릭 카펜터 – 색소폰 (1988–1994)
제라드 부아제 – 색소폰 (1994–1995)
돈 하머슈테트 – 트럼펫 (1990–1992)
알렉스 헨더슨 – 트롬본 (1991–1993)
필 조단 – 트럼펫 (1992–1995)

5. 이야깃거리



[1] Tragic Kingdom은 그들의 고향 애너하임의 디즈니 랜드에 있는 '매직 킹덤'의 별명이라고 한다.[2] 에릭은 이후 노다웃의 고향인 애너하임에서 열린 Tragic Kingdom 투어 콘서트 앙코르 때 노다웃 지인들과 등장해서 신나게 공연을 했고, Return of Saturn 앨범 발매 후 TV 공연에서 몇 곡 연주를 하기도 했다. 2020년에는 그웬의 솔로 신곡에 세션으로 참여했다.[3] 첫 투어를 했을 때 멤버들은 성패를 신경 쓰지 않고 즐겼는데, 에릭은 벤 맨 뒤쪽에 가있거나 조용히 사라졌다고 한다. 다른 멤버들이 연습 후 쉴 때 밤새 수준높은 곡을 써오는 전형적인 예술가였다고 한다.[4] Tragic Kingdom 앨범 포토에 에릭의 모습이 그대로 실려 있다.[5] 그웬은 당시 토니가 밀실 공포증을 앓기 시작했던 것 같다고 인터뷰했다.[6] 토니는 할로윈에 "니가 그웬이랑 데이트 하고 있다는 게 밝혀지면 넌 죽는다"라는 쪽지를 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7] 부모님 사이가 각별한데 고등학교 때 만나서 계속 함께하고 있다고 한다.[8] Simple Kind Of Life가 발매 된 것은 오랜 후이지만, 23살 때 그웬이 두 번째로 단독 작사한 노래였다. 그웬이 직접 기타를 치며 작곡한 뒤 토니를 불러 밤 12시까지 함께 하루종일 만든 곡이다. 토니는 다른 Tragic Kingdom 곡 작업 때도 가사가 어떻든 그웬의 창작을 격려하고 북돋아 주었다고 한다.[9] Ex-Girlfriend는 토니가 아닌 그 이후의 연인, 당시에 잠시 결별했던 개빈에 대한 곡이다.[10] 솔로 음반에 토니가 작곡가 및 프로듀서로 참여한 대표적인 곡은 첫 솔로음반의 Luxurious, 그 다음 음반의 4 in the morning이다. 두곡 다 그웬과 공동으로 작곡했다.[11] 두 밴드가 오랜 기간의 활동 중지를 깨고 활동한 시기가 겹치는 우연이 있어서 모두 2024년 코첼라에 참여하기도 했다.[12] 노 다웃이 Tragic Kingdom 투어를 나선 뒤 집에 돌아온 것이 약 2년 반만이라고 한다.[13] 얼마나 멋진 때와 가족이었나, 시간이 언제 이렇게 지나갔지? 이젠 나 혼자일 뿐이네 / 사람들이 너를 출세에 환장한 사람이라고 말하면 어쩌지? / 원래 난 혼자있을 때 걱정을 해 / 피기 위해 태어나 지기 위해 피어나지(2000년 발매된 노다웃의 Beauty Contest에서도 썼던 가사), 삶은 너의 성 염색체 때문에 말라버릴거야, 이 사회의 머리속에 든 것들이 얼마나 쓰레기인지 나도 알아.[14] 위의 Two-tone 레이블을 만든 사람은 The Specials의 제리 댐머스다.[15] 유명 밴드, 가수들의 뮤직비디오를 작업한 대단한 감독이다. 큐어, 비요크, 가비지, 마룬 파이브, 비욘세, 샤키라, 비욘세 홀, 지저스 앤 메리 체인, 콜드플레이, 블러, 셀레나 고메즈, 핑크, 카일리 미노그, 벡 등인데, 그것도 보통 한 해에 뮤직비디오 7편~10편 이상씩을 내놓으며 80년대부터 지금까지 소처럼 일하고 있다. 작업한 뮤직비디오만 300개 가 넘는다고 한다.[16] 소피 뮬러의 노다웃 뮤직비디오는 Don't Speak, Excuse Me Mr., Sunday Morning, Oi to the World, Simple Kind of Life, Bathwater, Underneath It All, Settle Down, Push and shove 등이며 그웬 스테파니의 뮤직비디오는 Cool, Luxurious, Crash, Wind It Up, 4 in the Morning, Early Winter, Baby Don't Lie, Spark the Fire, Used to Love You, Make Me Like You, Misery, You Make It Feel Like Christmas, Nobody But You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