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게임 용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공통 | <colcolor=#000,#fff>궁극기 · 겜안분 · 너프 · 노다이 클리어 · 넷코드 · 닥돌 · 대리랭 · 딜찍누 · 딸피 · 랜덤 인카운터 · 랭크 · 버프 · 스피드런 · 어그로 · 입○○ · 잔기 · 잡몹 · 즉사기 · 전체판정기 · 캠핑 · 차지샷 · 티밍 · 티배깅 · 팀킬 · 파밍 · 플레이어형 보스&플레이어형 잡몹 · 하이스코어 · 히트박스 · 히트스캔 · CPU 보정 · GG | |
FPS & TPS | 개돌 · 버니합 · 베이스레이프 · 스폰킬 · 퀵 스코프 · 똥싸개 | ||
스포츠 | 축구 | 호즐메 | |
종/횡스크롤 슈팅 게임 | 기합회피 · 봄 배리어 · 시누가요이 · 안전지대 · 입슈팅 · 와인더 · 위험행위권장 슈팅게임 · 탄막 게임 · 폭탄 · 피탄 판정 · CAVE 5대천왕 | ||
아케이드 게임 | 노미스 클리어 · 원코인 클리어 · 코인 러시 | ||
스코어링 관련 | 틀:하이스코어 |
気合い避け
슈팅 게임 용어. 하지만 슈팅이 아닌 다른 장르의 게임에서도 간혹 쓰인다.
요는 그냥 보고 피하기.
실수로 패턴화에 실패하여 예상치 못한 돌발상황에 처하거나, 애초에 패턴화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서[1] 오로지 자신의 동체시력과 반사신경 및 집중력, 그리고 운에만 의지하여 상황을 타개하는 것을 칭한다.
"보고 피한다"는, 슈팅게임에서는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간단한 공략이지만 실제로 해내기는 가장 어렵기 때문에 수많은 슈팅게임 고수들이 기합회피에 울고 웃는다.
비슷한 개념으로 0봄 회피, 노 잔기회피 등이 있다.
서술하기엔 매우 편리한 공략법이라 90년대 초 게임 공략을 보면 난이도가 매우 어려운 곳은 여기는
대전 격투 게임에선 구석에 몰렸을 때 상대의 심리를 역으로 이용할 때 사용. 상 중 하단의 공격을 모두 막아내고 기술의 후딜레이를 잡아 콤보 한 세트를 먹인다.
메탈슬러그 3의 보스 솔 데 로카의 패턴 중 하나가 완전 랜덤 탄막이라 무조건 기합으로 회피해야 한다. 난이도 상승의 주범.
긴가포스에서의 예시[2]
메이플스토리 보스 몬스터들의 경우 각 패턴별 공략법이 존재하지만 하드 매그너스 같이 수없이 떨어지는 운석과 분신 내려찍기, 수면가스로 인한 전혀 예측할 수 없는 패턴들의 경우 기합회피를 하는 편이다.
[1] 예를 들면 보석을 기점으로 하단 90도 사이에서 탄을 무작위로 뿌려대는 솔 데 로카의 노란 광탄, 동방 프로젝트에서 순호의 순부 「순수한 탄막 지옥」 등의 랜덤 패턴이 대표적이다.[2] 이쪽은 정말 처절하게 싸운다. 게다가 전투 중의 대사도 전부 기합 뿐이다. 영상의 경우에는 초고수의 플레이라서 쉬워보이지만, 막상 해보면 정말 기합회피해야 할 정도로 어려움을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