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1번함 USS Gleaves (DD-423)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벤슨급 구축함의 후계 함급으로 건조된 미합중국 해군의 구축함. 후계함이라고 하나 자료에 따라 벤슨급의 하위함급 혹은 동일함급으로 분류될 정도로 벤슨급과 큰 차이가 없다.계획 및 승인단계에서는 벤슨급을 베들레헴과 깁스&콕스 이 두개의 조선소에서 건조하기로 했으나 베들레헴 조선소에서 자신들이 건조하는 물량에 대해 감속기어 부분에서의 설계변경을 하였고, 이에 건조가 더 늦은 깁스&콕스 조선소의 물량이 글리브즈급으로 재명명되었다.
기관부 일부 외에는 무장, 선체 등 대부분이 벤슨급과 동일하며, 외형 면에서는 연돌의 기단부 보강구조물(벤슨급은 각진 형상, 글레이브즈급은 반원형)을 제외하면 완전히 동일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2. 제원
이전급 벤슨급 |
다음급 플레처급 |
배수량: 1,630톤, 만재시 2,395톤 전장: 106.15 m 전폭: 11.00 m 흘수선: 4.0 m (일반), 5.8 m (만재시) 엔진: 밥콕 & 윌콕스 보일러 4대, 2 웨스팅하우스 기어 스팀 터빈(50,000 shp (37,000 kW)) 추진 방식: 2축 최대 속도: 37.4 노트(69.0 km/h)/만재시 32.9 노트(61.0 km/h) 항속거리: 12노트(22 km/h; 14 mph)로 6,500해상마일 (12,000 km; 7,500 mi) 승조원: 192명(전시 260명) |
3. 상세
참조4. 운용사
총 66척이 1938년부터 1942년까지 건조된 후 운용되었으며 이 중 14척이 전쟁 중 손실되었다. 종전 이후에는 그리스, 일본, 이탈리아, 타이완, 터키등에 생존 함선들이 양도되기도 하였다.한국 전쟁에 동원되기도 했다.
5. 함선 목록
함번 | 함명 | 함명 유래 | 취역일자 | 퇴역일자 | 최후 |
DD-423 | USS 글리브스(USS Gleaves) | 알버트 글리브스 | 1940/6/14 | 1946/5/8 | ? |
DD-424 | USS 니블랙(USS Niblack) | 알버트 P. 니블랙 | 1940/8/1 | 1947/6/? | 해군 시설 실험용으로 사용됨 1973년 매각 및 스크랩 |
DD-429 | USS 리버모어(USS Livermore) | 새뮤얼 리버모어[1] | 1940/10/7 | 1947/1/24 | 1961년 매각 및 스크랩 |
DD-430 | USS 에버를(USS Eberle) | 에드워드 W. 에버를 | 1940/12/4 | 1946/6/3 | 그리스에 양도되어 니키(Νίκη)로 활동 ? |
DD-431 | USS 플런켓(USS Plunkett) | 찰스 P. 플런켓 | 1940/7/17 | 1946/5/3 |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난양(南陽)으로 활동 ? |
DD-432 | USS 키어니(USS Kearny) | 로렌스 키어니 | 1940/9/13 | 1946/3/7 | ? |
DD-433 | USS 그윈(USS Gwin) | 윌리엄 그윈 | 1941/1/15 | 1943년 콜롬방가라 해전에서 뇌격으로 대파 자침 | |
DD-434 | USS 메레디스(USS Meredith) | 조너선 메레디스[2] | 1941/3/1 | 1942년 화물선 호위 중 즈이카쿠의 공격으로 격침 | |
DD-435 | USS 그레이슨(USS Grayson) | 게리 T. 그레이슨 | 1941/2/14 | 1947/2/4 | ? |
DD-436 | USS 몬센(USS Monssen) | 몬스 몬센[3] | 1941/3/14 | 1942년 과달카날 해전에서 포격으로 격침 | |
DD-437 | USS 울시(USS Woolsey) | 멜란히톤 T. 울시 | 1941/5/7 | 1947/2/6 | 1974년 매각 및 스크랩 |
DD-438 | USS 러들로(USS Ludlow) | 어거스투스 C. 러들로[4] | 1941/3/5 1950/6/6 | 1946/5/20 1951/1/21 | 1950년 예비역으로 재취역 그리스에 양도되어 도자(Δόξα)로 활동 ? |
DD-439 | USS 에디슨(USS Edison) | 토머스 A. 에디슨 | 1941/1/31 | 1946/5/18 | ? |
DD-440 | USS 에릭슨(USS Ericsson) | 존 에릭슨[5] | 1941/3/13 | 1946/3/15 | ? |
DD-441 | USS 윌크스(USS Wilkes) | 찰스 윌크스 | 1941/4/22 | 1946/3/4 | 1972년 매각 및 스크랩 |
DD-442 | USS 니콜슨(USS Nicholson) | 니콜슨 가문 | 1941/6/3 1950/7/17 | 1946/2/26 1951/1/15 | 1950년 훈련함으로 재취역 이탈리아에 양도되어 아비에레(Aviere)로 활동 ? |
DD-443 | USS 스완슨(USS Swanson) | 클로드 A. 스완슨 | 1941/5/29 | 1945/12/10 | ? |
DD-444 | USS 잉그레이엄(USS Ingraham) | 던컨 N. 잉그레이엄 | 1941/7/17 | 1942년 미국 유조선 셔멍과의 충돌로 침몰 | |
DD-453 | USS 브리스톨(USS Bristol) | 마크 L. 브리스톨 | 1941/10/22 | 1943년 상선 호위 도중 U-371의 뇌격으로 격침 | |
DD-454 | USS 엘리슨(USS Ellyson) | 시어도어 G. 엘리슨[6] | 1941/11/28 | 1954/10/19 | 일본에 양도되어 아사카제(あさかぜ)로 활동 ? |
DD-455 | USS 햄블턴(USS Hambleton) | 새뮤얼 햄블턴 | 1941/12/22 | 1955/1/15 | ? |
DD-456 | USS 로드먼(USS Rodman) | 휴 로드먼 | 1942/1/27 | 1955/7/28 | 1955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센양(咸陽)으로 활동 1976년 영화 촬영용으로 소모 |
DD-457 | USS 에먼스(USS Emmons) | 조지 F. 에먼스 | 1941/12/5 | 1944년 소해 및 피켓 중 카미카제 공격으로 대파 자침 | |
DD-458 | USS 맥콤(USS Macomb) | 윌리엄 H. 맥콤 데이비드 B. 맥콤 | 1942/1/26 | 1954/10/19 | 1954년 일본에 양도되어 하타카제(はたかぜ)로 활동 1970년 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센양(咸陽)으로 활동[7] |
DD-461 | USS 포레스트(USS Forrest) | 듈래니 포레스트 | 1942/1/13 | 1945/11/30 | 1946년 매각 및 스크랩 |
DD-462 | USS 피치(USS Fitch) | 리로이 피치 | 1942/2/3 | 1956/2/24 | ? |
DD-463 | USS 코리(USS Corry) | 윌리엄 M. 코리 주니어[8] | 1941/12/18 |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기뢰로 인해 침몰 | |
DD-464 | USS 홉슨(USS Hobson) | 리치몬드 P. 홉슨 | 1942/1/22 | 1952년 미국 항공모함 USS 와스프(CV-18)와의 충돌로 침몰 | |
DD-483 | USS 아론 워드(USS Aaron Ward) | 아론 워드 | 1942/3/4 | 1943년 수송선 호위 중 일본 항공기의 폭격으로 격침 | |
DD-484 | USS 뷰캐넌(USS Buchanan) | 프랭클린 뷰캐넌 | 1942/3/21 | 1946/5/21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겔리볼루(Gelibolu)로 활동 ? |
DD-485 | USS 던컨(USS Duncan) | 사일러스 M. 던컨 | 1942/4/16 | 1942년 에스페란스 곶 해전에서 포격으로 격침 | |
DD-486 | USS 랜스다운(USS Lansdowne) | 재커리 랜스다운[9] | 1942/4/29 | 1946/1/17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가지안테프(Gaziantep)로 활동 ? |
DD-487 | USS 라드너(USS Lardner) | 제임스 L. 라드너 | 1942/5/13 | 1946/5/16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겜릭(Gemlik)으로 활동 ? |
DD-488 | USS 맥칼라(USS McCalla) | 보우먼 H. 맥칼라 | 1942/5/27 | 1946/5/17 | 1949년 터키에 양도되어 기레순(Giresun)으로 활동 ? |
DD-489 | USS 머빈(USS Mervine) | 윌리엄 머빈 | 1942/6/17 | 1949/5/27 | 1969년 매각 및 스크랩 |
DD-490 | USS 퀵(USS Quick) | 존 H. 퀵[10] | 1942/7/3 | 1949/5/28 | ? |
DD-493 | USS 카믹(USS Carmick) | 대니얼 카믹 | 1942/12/28 | 1954/2/13 | ? |
DD-494 | USS 도일(USS Doyle) | 리처드 도일[11] | 1943/1/27 | 1955/5/19 | ? |
DD-495 | USS 엔디콧(USS Endicott) | 새뮤얼 엔디콧[12] | 1943/2/25 | 1954/8/17 | ? |
DD-496 | USS 맥쿡(USS McCook) | 로데릭 S. 맥쿡 | 1943/3/15 | 1949/5/27 | ? |
DD-497 | USS 프랭크포드(USS Frankford) | 존 프랭크포드[13] | 1943/3/31 | 1946/3/4 | ? |
DD-618 | USS 데이비슨(USS Davison) | 그레고리 C. 데이비슨 | 1942/9/11 | 1949/6/24 | ? |
DD-619 | USS 에드워즈(USS Edwards) | 윌리엄 A. 에드워즈[14] | 1942/9/18 | 1946/4/11 | ? |
DD-620 | USS 글레넌(USS Glennon) | 제임스 H. 글레넌 | 1942/10/8 |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기뢰로 인해 대파 독일 해안포에 의해 격침 | |
DD-621 | USS 제퍼스(USS Jeffers) | 윌리엄 N. 제퍼스 | 1942/11/5 | 1955/5/23 | ? |
DD-622 | USS 매독스(USS Maddox) | 윌리엄 A. T. 매독스 | 1942/10/31 | 1943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에서 독일 폭격기의 폭격으로 격침 | |
DD-623 | USS 넬슨(USS Nelson) | 찰스 P. 넬슨 | 1942/11/26 | 1947/1/? | ? |
DD-624 | USS 볼드윈(USS Baldwin) | 찰스 H. 볼드윈 | 1943/4/30 | 1946/6/20 | 1961년 몬토크 포인트에 좌초 자침 |
DD-625 | USS 하딩(USS Harding) | 세스 하딩 | 1943/5/25 | 1945/11/2 | 1947년 매각 및 스크랩 |
DD-626 | USS 새터리(USS Satterlee) | 찰스 새터리 | 1943/7/1 | 1946/3/16 | ? |
DD-627 | USS 톰슨(USS Thompson) | 리처드 W. 톰슨 로버트 M. 톰슨 | 1943/7/10 | 1954/5/18 | 1972년 매각 및 스크랩 |
DD-628 | USS 웰스(USS Welles) | 기드온 웰스 | 1943/8/16 | 1946/2/4 | 1969년 매각 및 스크랩 |
DD-632 | USS 코위(USS Cowie) | 토머스 J. 코위 | 1942/6/1 | 1947/4/21 | ? |
DD-633 | USS 나이트(USS Knight) | 오스틴 M. 나이트 | 1942/6/23 | 1947/3/19 | 1967년 표적함으로 소모 |
DD-634 | USS 도란(USS Doran) | 존 J. 도란 | 1942/8/4 | 1947/1/29 | ? |
DD-635 | USS 얼(USS Earle) | 랄프 얼 | 1942/9/1 | 1947/5/17 | ? |
DD-636 | USS 버틀러(USS Butler) | 스메들리 D. 버틀러 | 1942/8/15 | 1945/12/8 | 1948년 매각 및 스크랩 |
DD-637 | USS 게라르디(USS Gherardi) | 밴크로프트 게라르디 | 1942/9/15 | 1955/12/17 | ? |
DD-638 | USS 헌든(USS Herndon) | 윌리엄 L. 헌든 | 1942/12/20 | 1946/5/8 | ? |
DD-639 | USS 슈브릭(USS Shubrick) | 윌리엄 B. 슈브릭 | 1943/2/7 | 1945/11/16 | 1947년 매각 및 스크랩 |
DD-640 | USS 비티(USS Beatty) | 프랭크 E. 비티 | 1942/5/7 | 1943년 수송선 호위 중 독일 항공기의 뇌격으로 격침 | |
DD-641 | USS 틸먼(USS Tillman) | 벤자민 R. 틸먼 | 1942/6/4 | 1947/2/6 | ? |
DD-645 | USS 스티븐슨(USS Stevenson) | 존 H. 스티븐슨 | 1942/12/15 | 1946/4/27 | ? |
DD-646 | USS 스탁턴(USS Stockton) | 로버트 F. 스탁턴 | 1943/1/11 | 1946/5/16 | ? |
DD-647 | USS 쏜(USS Thorn) | 조너선 쏜 | 1943/4/1 | 1946/5/6 | 1977년 항공모함 USS 아메리카(CVA-66)의 표적함으로 소모 |
DD-648 | USS 터너(USS Turner) | 대니얼 터너 | 1943/4/15 | 1944년 폭발 |
6. 매체에서의 등장
- 월드 오브 워쉽에서 중화민국(대만)에 넘어간 형식인 셴양이 범아시아 8티어 정규 구축함으로 나왔다.
- 험프리 보가트 주연의 1954년작 영화 '케인호의 반란(The Caine Mutiny)'에서 USS 로드먼(DD-456)[15]이 가공의 소해함인 USS 케인으로 등장한다. 원작 소설의 배경은 구축함에서 소해함으로 재분류된 클렘슨급 구축함이지만, 촬영 당시 클렘슨급이 전량 퇴역한 상태라 역시 소해함으로 재분류된 글리브스급은 USS 로드먼을 사용했다.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 |||
어뢰정 |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 ||||
고속정 |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 ||||
미사일 고속정 | 스파르비에로급R | ||||
원양초계함 |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 ||||
초계함 |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 ||||
호위구축함 | 알데바란급R | ||||
호위함 | 경호위함 | 루포급 | |||
대잠호위함 |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 ||||
방공호위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FREMM EVO} | ||||
구축함 | 구축함 |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 |||
방공구축함 |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 ||||
순양함 |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 ||||
상륙정 |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 ||||
상륙함 | LPH |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 |||
LST |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 ||||
소해함 | 레리치급, 가에타급 | ||||
수송함 | 폰자급, 고르고나급 | ||||
군수지원함 |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 ||||
훈련함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3f87> 잠수함 | 포세이돈급, 글라브코스급, 오케아노스급, 파파니콜리스급 | ||
어뢰정 | 에스페로스급R, 에스테렐급 | |||
고속정 | 아이올로스급R, 아이올로스급R, 톨미급, 루센급, 보트시스급, 카발로디스급, 라스코스급, {사펠로급} | |||
초계함 | 아포스톨리스급R, 오스프리 55급, HSY-55급, HSY-56A급 | |||
호위함 | 에피루스급R, 엘리급, 히드라급, {키몬급(3대)} | |||
구축함 | 아이가이온R, 니키급R, 미아울리스R, 키몬급R, 키몬급(2대)R, 테미스토클리스급R | |||
상륙정 | 세리포스급, 케팔로니아급 | |||
상륙함 | <colbgcolor=#003f87> LST | 이아손급 | ||
소해함 | 피레아스급R, 안티오피급R, 에브니키급, 에우로페급 | |||
수송함 | 판도라급, 프톨레마이다급 | |||
군수지원함 | 케르키니급, 제우스급, 프로메테우스급, 악시오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미해군 최초의 군종 목사.[2]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함상 백병전 도중 중상을 입은 아군 장교를 보호하였다. 그로부터 5일 후 전사했다.[3] 20세기 초의 미해군 장교. 수병 신분이었던 1904년에 메인급 전함 USS 미주리에서 사격 훈련을 하던 중 탄약고에 화재가 발생하자 호스를 건내 받을 때까지 탄약고에 물을 끼얹었다. 이로 인해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4] 미영전쟁 당시 미해군 장교. 프리깃 체셔피크의 부선장으로 영국군 프리깃 HMS 섀넌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던 중 전사하였다.[5] 스웨덴 출신 발명가. 남북 전쟁 당시 철갑선 USS 모니터를 설계했다.[6] 최초로 비행기 조종사가 된 미해군 장교. 1928년 조종하던 비행기가 추락하며 사망했다.[7] 기존에 셴양이라는 이름으로 운용되던 USS 로드먼이 1969년 좌초 후 제적되었고, 맥콤이 함명과 페넌트 넘버를 그대로 이어받았다.[8] 20세기 초반의 미해군 장교. 1920년 자신이 타고있던 비행기가 추락하자 불타는 잔해 속으로 뛰어들어 조종사를 구조한 후 사망하였다. 이로인해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9] 20세기 초반의 해군 장교. 1919년 잉글랜드-미국 무착륙 비행을 최초로 성공해낸 영국 비행선 R-34의 승무원 중 하나였다. 이 공로로 해군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10]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의 미해병대 부사관. 아직 병사였던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엄청난 포화에도 불구하고 아군 건보트에 신호를 보낸 공로로 명예훈장을 수여받았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독일군의 포격이 갈아엎은 길을 헤치며 탄약을 운반한 공로로 수훈십자장을 수여받았다.[11] 1차 바르바리 전쟁 당시 해군 수병. 바르바리 해적들에게 나포되어 트리폴리항에 정박해있는 프리깃 USS 필라델피아를 불태웠다.[12] 1차 바르바리 전쟁 당시 해군 수병. 바르바리 해적들에게 나포되어 트리폴리항에 정박해있는 프리깃 USS 필라델피아를 불태웠다.[13] 유사전쟁 당시 미국 사략선 벨데베레의 선장.[14] 미영전쟁 당시 해군 장교후보생. 1813년 영국군 브릭 슬루프 HMS 펠리컨을 상대하던 중 전사하였다.[15] 바로 위에 언급된 셴양과 같은 함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