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00><table bordercolor=#FFFFFF> | 삼국지 시리즈 · 아이돌 대전 등장 세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카나메 마도카 | 츠키노 미토 | 스나오오카미 시로코 | 카프카 | 토카이 테이오 | 아마미 하루카 |
미스미 나기사 | 재블린 | 엘렌 조 | 라피 | 파일:아이돌 대전_유키나 아이콘.png 미나토 유키나 | 하츠네 미쿠 | |
호시노 아이 | 페코린느 | 에밀리아 | 장리 | 타카라다 릿카 | 프리렌 | |
야나미 안나 | 호시미야 이치고 | 마나카 라라 | 니시키기 치사토 | 에르핀 | 고토 히토리 | |
한지우 | 히이라기 우테나 | 페어리몬 | 나카노 이치카 | 아이네 | 카야모리 루카 | |
아미야 | 시부야 카논 | 이세리 니나 | 그로자 | 메피스토 | 타치바나 히나노 |
1. 개요
2017년부터 돌풍을 이끈 소녀전선의 매력만점 전술인형들이 스스로 아이돌이라 자처하여 아이돌 세계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밀었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명일방주, 블루 아카이브 등 후발주자에 밀려 언제부턴가 잊혀졌다. 오랜 시간이 지나 2025년, 망명을 끝내고 돌아온 전술인형들은 다시 예전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돌아왔다.
아이돌 대전에 등장하는 소녀전선 시리즈 진영.
2. 특징
2.1. 개편전(2018~2019)
처음에는 WA2000를 군주로 휘하에는 스프링필드, kar98k, UMP45, UMP9, G11, HK416 등 소녀전선의 주요 인기 멤버들이 소속되었다.삼국지 11 당시에는 안정에서 시작했으며 소수정예이며 무위의 카스카베 하루와 장안의 호토 코코아를 경계해야했다.
삼국지 12 당시에는 계양에서 시작하며 11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7명으로 시작했다. 거기다 카구팔만 창병이고 나머지는 모두 궁병이라 초반 진행에 어려움이 있는데 바로 옆 영릉의 미나토 유키나는 어떻게든 먹을 수 있다쳐도 위의 장사에 위치한 토야마 카스미는 가면라이더 3총사를 재야로 데려올 수 있기에 막을 수 있다해도 공격이 어려운 상대였다. 원래 형남 4군이 거지같이 길이 이어져있어서[1] 어디로 영역을 확장하느냐가 세력의 운명을 좌우한다. 더군다나 강릉에는 치카, 더 나아가 여강에서는 최강의 프리큐어 세력이 있기 때문에 힘들게 형남4군을 평정하면 어느새 치카는 미유키에게 멸망하고 북쪽에서는 마도카가 맵의 절반을 먹어치우는 상황이 나올수도.
삼국지 13와 삼국지 14에서는 소녀전선 1의 인기가 내려가면서 짤렸다.
2.2. 개편후(2025)
2023년 소녀전선2: 망명이 출시되면서 이 세력도 부활했다. 군주는 WA2000에서 그로자로 바뀌었다.기존에는 오리지널 시나리오 무장 세력이었으나 개편후에는 원작의 제갈탄 세력이 되었다.
여남에서 시작하며 재야도 밀리아 레이지, 논논비요리 4인방[2]로 쓸만한데다 허창과 신야가 공백지이기 때문에 초반에 꿀을 빨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만 이후에는 마도카와 여강에서 강하로 진출한 시로코와 충돌하게되고[3] 보통 마도카나 시로코 상대로 반연합에 자주 가담하는 일이 많다.
3. 등장 무장
아직 정식 출시되지않았지만 현재 잠정으로 결정된 무장은 아래와 같다.등장 무장 | 원작 삼국지 시리즈에 해당되는 무장 | 비고 |
| 제갈탄 | |
그로자👑 | ||
| 관구검 | 소녀전선 1편 시절 군주 |
마키아토 | ||
| 문흠 | |
레나 | ||
| 문앙 | |
클루카이 | ||
| 문호 | |
미슈티 | ||
| 제갈정 | |
콜펜 | ||
| 관구흥 | |
스프링필드 | ||
| 관구수 | |
사브리나 | ||
| 관구전 | |
샤크리 |
[1] 계양은 장사와 영릉으로, 영릉은 무릉과 계양으로밖에 이어지지 못하고 장사에서 영릉으로 공격갈 수 없기 때문에 원군을 사용할 수 없다.[2] 미야우치 렌게(하의), 이치죠 호타루(공도), 코시가야 나츠미(유벽), 코시가야 코마리(배원소).[3] 여강에서 시작하는데도 건업으로 안가고 공백지인 시상과 강하부터 형초로 진출하는 일이 허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