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6:30:31

절맥증

구음절맥에서 넘어옴
무협 관련 용어 · 클리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a,#000>무공무공/목록 (내공,심법,기타) · 틀:무공의 경지 · 점혈 (검기점혈 ·혈도) · 논검
세력틀:무림의 세력 · 정파 (구파일방 · 무림맹) · 사파 (사도련) · 마교 (천마신교) · 황실 (동창 · 금군) · 무림세가 · 신비세력 (암중세력)
기물분류:기보 · 분류:약(무협) (독약 · 분류:영약(무협)) · · #기타
상태깨달음 · 내상 · 동귀어진 · 심마 · 절맥증 · 주화입마 · 칠공분혈 · 환골탈태 · 회광반조
칭호분류:경지 · 분류:도사 · 분류:선인 · 분류:승려 · 협객 · 검귀 · 검마 · 검성 · 검신 · 검왕 · 검존 · 검후 · 검황 · 도제 · 만병지왕 · 매화검수 · 장문인 · 사부 · 사형제 명칭 · 신투 ·영물 · 점소이 · 천마 (천마/웹소설) · 천하제일인 · 혈마 · 흑의인
기타무틀딱 · 분류:무협 용어 · 무협소설/용어
관련 틀: 무협 용어 · 분류:웹소설 장르 · 웹소설 매체 · 웹소설 용어 (헌터물 용어) · 한국의 장르 판타지 }}}}}}}}}

1. 개요2. 특징3. 성적인 코드로서의 절맥증4. 종류5. 각종 작품의 등장6. 관련 항목

1. 개요

절맥증()은 무협물에 나오는 가공의 질병이다. 절맥이라 불리는 질병은 다수 등장하나(구음절맥, 태음신맥, 구양절맥 등등) 그 특징은 대동소이하다.

2. 특징

가장 큰 특징은 선천적인 질병이며 난치병이라는 점이다. 음기가 너무 강해서 혈맥을 틀어막아 제대로 기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름시름 앓다 단명한다는 설정이 많다. 절맥을 치료하기 위해서 주로 필요한 것이 특정한 기운을 띠는 영약, 혹은 영물의 내단이다. 일례로 절맥증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구음절맥(九陰絕脈)'은 선천적으로 강렬한 음기(陰氣) 때문에 단명을 부르는 불치병인데, 태양화리(太陽火鯉)[1] 같은 강력한 양기(陽氣)를 지닌 영물의 내단을 섭취하면 나을 수 있다.

혈맥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서 약해서 특정 진기를 가진 고수가 도와주거나 특수한 방법으로만 치유할 수 있다는 설정이 붙을 때도 있으며 만약 주인공이 절맥증에 걸려있으면 절맥증을 치료하면서 과도한 음기 등이 그대로 내력으로 전환되면서 전화위복이 되기도 한다.

오래 살지 못하는 대신에 천재적인 머리를 가진다는 부가 설정도 있다.

'신무협에서는 남자도 적지 않게 절맥증에 걸리지만, 포르노적 역할을 하고 있던 구무협에서 '절맥증은 여성만이 앓는 질병이었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는 틀렸다. 구무협에서 절맥증은 주인공이 걸리고 이는 주인공의 특이한 재능 혹은 기연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로 주로 사용되었다. 천재적인 재능을 가졌지만 절맥으로 인해 그 재능을 제대로 발휘할 기회를 가질 수 없다가 이를 치료하면서 마침내 여태까지 억눌려져 있었던 재능을 폭발하듯이 발휘하는 경우가 많았다.

3. 성적인 코드로서의 절맥증

간혹 여성이 이런 절맥증에 걸려 성관계를 위한 장치로 사용되기도 했다. 과도한 음기 때문에 단명하게 만드는 구음절맥의 치료법은 양기를 보충하는 것인데, 이는 영약을 먹이는 것만이 아니라 성관계 등으로도 충당 가능하다던가 아예 영구적인 치료법인 정사라는 노골적인 설정이 지금도 간혹 보인다. 남자 주인공이 걸린 절맥증도 가끔 성적인 코드로 사용된다.이럴 때는 비슷한 정도의 절맥증에 걸린 여성과의 관계 혹은 다른 특이한 체질을 가졌거나 영약을 먹은 여성과의 성관계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았다.

4. 종류

크게 극양지기계열과 극음지기계열로 나온다.

5. 각종 작품의 등장

6. 관련 항목


[1] 양기(陽氣)를 머금고 있는 잉어다.[2] 어릴 때부터 서서히 혈맥이 막혀버려 단명하게 된다는 설정, 혹시나 영약 등을 빌어서 살아남는다 해도 일상생활도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 된다.[3] 삼음절맥의 경우에는 의료로 완치가 가능하나 구음절맥은 의료로 손대는 것이 불가능하다거나, 삼음절맥을 고생 끝에 완치한 주인공이 훗날 구음절맥을 만났을 때 더 심한 절맥증이라고 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주인공이 그 고생을 한것보다 훨씬 심한 것임을 인지시키는 등 비교대상으로 갖다대는 것으로 작품의 절망적인 전개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 일반적으로 절맥증은 남성보단 여성쪽이 앓는 경우가 클리셰화되어 있기 때문이다.[5] 태음신맥(太陰神脈)[6] 뇌령신마절맥[7] 구음절맥에 설화증[8] 구음절맥(九陰絕脈)[9] 삼음절맥(三陰絕脈)[10] 단음절맥(單陰絕脈)아래의 임소병과 함께 드문 경우. 가장 약한 수준의 절맥증으로, 절맥에 의해 건강이 나빠지는 정도가 가장 약해지는 대신, 치료 후의 성장 가능성 역시 가장 수수한 경우...였어야 했으나 삼음절맥을 치료하고 우여곡절 끝에 초인의 경지까지 다다른 시운의 솜씨와 영약 덕에, 복권 당첨보다도 희귀하다는 임독타통이 이뤄졌다.[11] 태양신맥. 정순한 양기가 무한히 생성되기에 언젠가 자신의 기운에 타 죽는다.[12] 천음구절맥은 아홉 개의 맥이 서로 간에 기운을 막고 있는 특이체질이다. 막힌 맥마다 축기가 발생하여 무한에 가까운 내공을 얻지만 기가 충돌하여 고통이 발생한다.[13] 천음구절맥(天陰九絕脈)[14] 천음절맥(天陰絕脈)[15] 천골지체과 구음절맥을 함께 타고났다.[16] 현재는 구음절맥도 치료하는 시대인데 절맥증을 치료하지 못한다고 한다.[17] 이이음 반 절맥-> 삼음하고도 한 반의반쯤 절맥-> 일음절맥[18] 하북팽가 막내아들임에도 구음절맥을 앓는 탓에 체격이 왜소했으나, 비연과 남궁세헌이 구해온 만년화리의 내단을 섭취하고 싹 나은 후에는 팽가 아들답게 체격이 건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