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20:25:17

구대성/이모저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구대성

1. 개요2. 내용

[clearfix]

1. 개요

구대성에 대한 여러가지 에피소드, 이야기거리를 별도의 문서로 분리하였다.

2. 내용

구대성이 평가하는 한/미/일 야구
* 다만 처음에만 쉬웠고, 타자들이 익숙해지고 난 뒤에는 똑같이 힘들어졌다고 말했다.

파일:external/image3.inews24.com/1459853051867_1_194510.jpg

[1] 구대성은 고등학생때 연세대와 고려대 야구부를 제외하고는 경남대 야구부 정도만 알았다고 한다. 친형이 경남대 야구부였기 때문.[2] 게다가 구대성은 폭력을 극도로 혐오하는 성격으로, 학번만 선배지 본인보다 늦게 태어난 정민태가 한양대학교 야구부의 폭력을 근절했다는 이유로 '형'이라고 부를 정도다.[3] 실제로 이순철은 1961년생이지만 고교 시절 1년 유급한 전력이 있어 빠른 1963년생인 선동열과 친구 사이다. 반대로 양상문은 1년 조기입학해서 1960년생들과 동기.[4] 실제로 박진만은 1976년생이지만 인천고 시절 부상으로 1년 유급해 1977년생들과 같이 졸업했는데, 정상적으로 졸업한 1976년생 이승엽과 말을 놓고 지낸다.[5] 그들의 고등학교 때는 다른 야구부와 달리 나이 군기를 잡는 야구부라 유급해도 동갑에게 존대말을 강요했다고 한다. 참고로 이만수가 부상으로 1년 유급한 케이스.[6] 스톡킹에 나온 이야기로는 신일고와의 연습 경기에서도 유사한 일이 있었다고 한다. 이때는 감독이 직접 올라와서 물어봤다고.[7] 발언지는 엠스플에서 자체제작한 엠스플 텔레비전.[8] 스톡킹에 나와서 해명한 영상을 보면 기본적인 데이터는 투수들도 다 보고 들어가는데 어제 직구가 좋았다고 오늘도 좋으라는 법도 없고, 본인의 컨디션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면이 더 큰 듯 하다.(상대방이 직구에 강하다고 해도 오늘 내가 직구가 더 공이 좋다면 직구 위주로 간다는 소리)[9] 마찬가지로 스톡킹에서 해명한 영상을 보면, 여름에 파카를 입고 몸을 푼 이유는 구대성이 중무리라서(...) 급하면 6회부터 애니콜로 실전투구를 해야 했기 때문에 몸을 빨리 풀기 위해서였고, 겨울에 반팔을 입은 건 원래 더위를 잘 타서.[10] 당시 인터뷰에서 한방이 있었던 선수였다고 기억했고, 바로 승부붙었다가 홈런을 얻어맞았다고 술회하였다.[11] 이후 2002년 사직구장에서 롯데 김응국이 삼성 김진웅을 상대로 9회말 2아웃에서 역전 끝내기 만루홈런을 기록한 적이 있다. 이후 KBO에서 202*년 현재까지도 9회말 2아웃 상황에서 역전 끝내기 만루홈런은 이 사례들이 유이한 기록으로 남아있다.[12] 오랫동안 1만엔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21년 스톡킹에 출연한 봉중근의 후일담에 따르면 10배 높은 10만엔으로 밝혀졌다. 봉중근이 자신이 하겠다고 했는데 구대성이 125km는 맞아도 아프지도 않다고 안된다고 했다고 한다. 당시 봉중근은 구위가 떨어져서 그날 경기에 불펜 투수로 나와서 니시오카 츠요시한테 큰 타구를 맞았으나 이진영의 다이빙캐치로 기사회생하였다. 그런데 똑같이 스톡킹에 출연한 구대성 본인은 1만엔이라고 밝히고 있다.[13] 이치로의 ‘30년 망언’ 사건(오해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 그 경기에서 한국 선수들이 몸에 맞는 공을 세 번이나 맞은 것(조인성, 이종범*2)과 관련된 일인데, 결국 배영수가 이치로에게 빈볼을 꽂아버렸다. 배영수가 '선배님,(승부도 박빙인데) 맞히면 어찌합니까'라고 하니 구대성은 '뒷처리는 내가 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당시 영상을 보면 맞추고 내려오는 배영수, 투수 교체를 위해 올라오는 선동열 투수코치, 교체되어 올라오는 구대성도 웃고 있다. 한일전에서 지고 있는데도 빈볼을 맞추고 웃고 있는 세 사람의 비범한 멘탈을 느낄 수 있다.[14] 이는 후에 본인이 빈볼지시를 내렸었다고 고백했다. 왜 빈볼 지시를 내렸냐면 전 타석에서 사인 훔치기가 의심된데다 김동수가 한양대 시절 꼬장꼬장한 선배라 얄미워서 그랬다고 한다. 정작 구대성은 안영명이 초구에 맞힐 줄 알았는데 그 공이 뒤로 빠지고, 또 다시 공이 빠지자 안 맞히겠지 하고 라커룸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그러고 나서 난리가 나자 후배를 보내서 무슨 일인지 알아보라고 시키고, 그후로 늦게 그라운드에 나왔다.[15] 이때 안영명은 김동수로부터 바로 그 전설의 싸다구를 맞았다. 이게 어느 정도로 임팩트가 컸냐면 해외 용병들도 한화 입단하기 전부터 안영명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 이미 이 영상을 봤었다고.[16] 양준혁은 진행자가 정민태를 묻자 "마 정민태는 내한테 밥이었지"라고 자신있게 웃으며 말했다.[17] 한국시리즈 연장전인데 고의로 힛바이피치를 던졌다고 보긴 어렵고, 포수의 위치를 봐서는 몸쪽 공이 미스가 난 걸로 보인다.[18] 스톡킹에서 나온 이야기에 의하면 저장된 번호가 10개 남짓이라고 한다.[19] 좋은 멤버를 갖추고도 번번이 우승 문턱에서 좌절하던 한양대가 구대성이 입학하자마자 대학야구 최강팀이 되었다. 실제로 유튜브에 업로드된 구대성의 한양대 1학년(1989년) 시절 투구영상을 보면, 이 말이 결코 허황된 상상이 아님을 느낄 수 있다.[20] 당시 선수협에 기부한 선수는 회장인 송진우, 부회장인 양준혁과 일본에 진출한 구대성, 정민철, 미국에 있던 이상훈 뿐이었다.[21] 6경기 모두 선발등판 없이 구원으로만 등판.[22] 반테린 돔 나고야.[23] 1차전 당시 일본타선은 이종범니시 토시히사에토 아키라마쓰이 히데키오가타 고이치나카무라 노리히로이시이 타쿠로마쓰이 가즈오 등으로 구성된 정예타선이었다.[24] 풀버전으로 들으면 조금 후덜덜한 일화인데, 구대성이 통역을 대동해 일본 덕아웃을 직접 찾아가 호시노 감독에게 어떤 투구버릇이 읽히는 거냐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다며 직접적으로 물어봤다고 한다. 호시노 감독은 아는 코치를 불러서 그를 통해 그 버릇에 대해 설명해 주고 돌려보냈다. 구대성을 돌려 보낸 후 일본 선수들에게 "저 선수를 봐라. 조금이라도 부족한 것이 있으니 배우려는 게 아니냐. 우리들은 이 모습을 필히 배워야 한다."라며 구대성의 자세를 극찬했다. 그리고 구대성은 호시노의 가르침을 다음 경기에서 써먹으며 호투했다.[25] 그리고 2019년 1월 19일, 질롱 코리아의 경기 중 3회에 등판해서 진짜 50세 넘어서도 현역에서 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26] 빚맞거나 선상으로 빠진 타구도 아니고, 정확한 타이밍에, 배트의 스위스스폿에 맞춰서 풀스윙으로 갈겼고, 중견수 뒤쪽 펜스까지 공이 뻗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5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