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07:33:37

토미 에드먼

곽현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A9C>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투수 7 스넬IL-15 · 11 사사키 · 18 야마모토 · 22 커쇼IL-60 · 26 곤솔린IL-15 · 28 밀러40인 · 29 그로브IL-60 · 31 글래스나우 · 35 스톤IL-60 · 38 예이츠 · 43 반다 · 45 코펙IL-15 · 48 그라테롤IL-60 · 49 트라이넨 · 51 베시아 · 57 가르시아 · 59 필립스IL-15 · 60 엔리케스IL-15 · 63 허트IL-60 · 64 소어 · 66 스캇 · 70 로블레스키40인 · 77 라이언IL-60 · 78 캐스패리우스 · 79 프라소40인 · 80 시핸IL-60 · 85 메이 · 86 드라이어 · 96 40인 · # 데이비스40인
포수 15 반스 · 16 스미스 · 67 페두시아
내야수 5 프리먼IL-10 · 6 김혜성40인 · 8 K.에르난데스 · 13 먼시 · 50 베츠 · 72 로하스
외야수 3 테일러 · 23 콘포토 · 25 에드먼 · 33 아웃맨40인 · 37 T.에르난데스 · 44 파헤스 · # 루이즈40인
투타겸업 17 오타니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브 로버츠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 레만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프라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애런 베이츠 ·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반 스코욕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우드워드 · 파일:미국 국기.svg 디노 에벨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바드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맥기니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브 실라디
파일:미국 국기.svg 밥 게런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맥대니얼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오클라호마시티 코메츠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파일:털사 드릴러스 엠블럼.svg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25번
콜튼 웡
(2023)
토미 에드먼
(2024~)
현역
파일:Tommy Edman Profile 2025.jpg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o.25
토미 에드먼
Tommy Edman
본명 토머스 현수 에드먼
Thomas Hyunsu Edman
출생 1995년 5월 9일 ([age(1995-05-09)]세)
미시간 주 폰티액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라호야 컨트리 데이 스쿨 - 스탠퍼드 대학교[1]
신체 178cm | 82kg
포지션 유틸리티 플레이어[2][3]
투타 우투양타
프로 입단 2016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96번, STL)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9~202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4~)
계약 2025 - 2029 / $74,000,000[4][option]
연봉 2025 / $5,000,000
가족 외할머니 정태후(데보라 곽)
아버지 존 에드먼
어머니 모린 에드먼(곽경아)[6],
형 조니 에드먼
여동생 엘리스 에드먼(곽현애)
아내 크리스틴 에드먼[7]
아들 일라이 잭 에드먼(2023년 10월 17일생)
종교 개신교
파일:MLB 로고.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에드먼에 대한 언사5. 수상 내역6. 여담
6.1. 한국 대표팀 관련 이야기
7. 둘러보기

1. 개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유틸리티 플레이어.[8]

2. 선수 경력

토미 에드먼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토미 에드먼/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미 에드먼/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미 에드먼/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미 에드먼/플레이 스타일#|]][[토미 에드먼/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에드먼에 대한 언사

내가 여태 같이 뛰어 본 수비수들 가운데 최고이다.
놀란 아레나도 #
멀티플레이어 능력도 있지만, 주 포지션은 2루수다. 재작년 (메이저리그)골드글러브 받은 선수다. 김하성과 함께 외국에서 뛰는 선수인 만큼 키스톤 콤비로도 잘 어울린다. 주전으로 활용할 계획.
이강철 #

5.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2024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2024)
파일:2024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로고.svg 챔피언십 시리즈 MVP (2024)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2루수 골드 글러브 (2021)

6. 여담

6.1. 한국 대표팀 관련 이야기

}}} ||

파일:에드먼_도쿄_시리즈_김밥.jpg

7. 둘러보기

파일:MLB 로고.svg 현역 한국계 미국인 메이저리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No.25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No.30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엠블럼.svg
No.55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svg
No.41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No.10
토미 에드먼 롭 레프스나이더 라일리 오브라이언 조 로스 셰이 위트컴
}}}}}}}}} ||
토미 에드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Dodgers_2024WS_Champ.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24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케텔 마르테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토미 에드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5년 수상자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1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2루수 부문 골드 글러브
콜튼 웡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토미 에드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브렌든 로저스
(콜로라도 로키스)

파일:MLB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멀티 포지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키케 에르난데스
(보스턴 레드삭스)
토미 에드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19번
카슨 켈리
(2018)
토미 에드먼
(2019~2023)
결번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이강철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고영표 · 18 정우영 · 19 고우석 · 21 박세웅
29 김광현 · 30 소형준 · 34 김원중 · 45 이용찬
46 원태인 · 48 이의리 · 54 양현종 · 57 김윤식
59 구창모 · 61 곽빈 · 65 정철원
포수 25 양의지 · 56 이지영
내야수 2 김혜성 · 7 김하성 · 10 오지환 · 11 에드먼
14 최정 · 50 강백호 · 52 박병호
외야수 17 박해민 · 22 김현수 · 37 박건우
47 나성범 · 51 이정후 · 53 최지훈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김기태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1 정현욱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0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김민호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김민재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1 배영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심재학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1] 수리컴퓨터과학 전공.[2] 내야수외야수 전 포지션을 소화 가능하며, 주로 2루수3루수, 우익수로 출전하고 있다. 2019 시즌 데뷔 당시에는 대타로 간간히 데뷔해 맷 카펜터 등이 부진할 때 3루수로 주전을 차지했고, 덱스터 파울러가 부진하자 우익수로 출전하기도 했다. 2020 시즌 후 팀에서 콜튼 웡과의 재계약을 포기한 이후 세계 최고의 3루수인 놀란 아레나도의 합류로 2021 시즌~2022 시즌 초반까지 2루수를 맡았다. 2022년 팀 내 최고의 타자 유망주 놀란 고먼과 또 다른 신예 브렌던 도노반이 2루수로 뛰게 되어 2022 시즌 중반부터 유격수로 전향했다. 2023 시즌은 라스 눗바가 부상으로 포지션을 코너 외야로 옮겨 중견수로도 출장한다.[3]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서는 2루수를 맡았다.[4] 계약금 $17,000,000 / 디퍼 $25,000,000[option] club option $13,000,000 for 2030 with buyout $3,000,000[6] 재미교포이다.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5살 때 LA로 가족과 함께 이민을 왔다.[7] 결혼 전 이름은 크리스틴 시오타니로 아버지는 일본계, 어머니는 필리핀계인 일본-필리핀계라고 한다.[8] 내야수외야수 전 포지션을 소화 가능하다.[9] 미국은 부부 동성이므로 원래 성인 정 씨가 아닌 남편, 그러니까 토미 에드먼의 외할아버지의 성인 곽 씨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10] 아시안게임, 올림픽, 프리미어12 등은 국적이 필요해서 출전할 수 없다.[11] 반대의 사례로서 타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합류한 최초의 한국인 선수로는 주권이 있다. 조선족 출신으로 중국에서 태어났으므로 '해당 연맹이 대표하는 국가 또는 지역에서 출생했으며, 그것을 출생증명서로 입증이 가능할 것'이라는 규정을 만족한다.[12] 5살까지는 한국에서 살았기 때문에 한국어를 할 줄은 아는 것으로 보인다. WBC 2023 당시 국내 인터뷰에서 짧은 한국어를 했는데, 외국인 티가 별로 나지 않는 자연스러운 발음이었다.[13] 위의 플레이 스타일에도 나와있듯, 에드먼이 작전 수행능력, 내외야를 가리지 않는 준수한 수비 실력과 클러치 능력이 있는 빠른 선수가 되었기에 잘 어울리는 이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