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00:14:32

곰고기

🥩 고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적색육
(포유류)
쇠고기(송아지고기) · 돼지고기 · 양고기 · 염소고기 · 말고기 · 사슴고기 · 개고기 · 곰고기 · 고양이고기 · 박쥐고기 · 고래고기 · 멧돼지고기 · 캥거루 고기 · 낙타고기 · 순록고기 · 바다표범고기 · 당나귀고기 · 타조고기 · 등푸른생선
백색육
(가금류)
닭고기 · 오리고기 · 꿩고기 · 거위고기 · 비둘기고기 · 칠면조고기 · 메추라기고기 · 참새고기 · 악어고기 · 거북고기 · 뱀고기 · 토끼고기 · 쥐고기 · 기니피그고기 · 뉴트리아고기 · 개구리고기 · 흰살생선
기타 기타 수산물 · 충식
대체육 배양육 · 식물성 고기
가공육 다짐육 · 패티 · 인젝션육
[예외]: 기러기타조는 포유류가 아님에도 붉은 빛을 띄고, 토끼는 가금류는 아니지만 일부 포유류의 고기와 함께 백색육에 포함된다.
미식의 영역에서 송아지고기, 어린 양 및 돼지고기를 백색육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적색육으로 분류한다.
그 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파일:곰로스.jpg
곰고기
미국에서 사냥으로 잡아 만든 아메리카흑곰 로스.

1. 개요2. 특징3. 용도4. 법적 지위
4.1. 사냥4.2. 도축, 유통
5. 미디어에서의 곰고기6. 기타

1. 개요

파일:external/pic15.nipic.com/5379583_140234569128_2.jpg
중국 전통 곰발바닥(熊掌: 슝장) 요리.

Bear meat

의 고기.

2. 특징

곰고기에 대한 평가는 고래고기처럼 굉장히 다양한데, 이는 곰의 서식지, 나이, 종류, 먹이에 따라 고기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같은 종이라도 고기를 많이 먹는 개체, 늙은 개체는 강한 노린내가 나는 반면, 고기와 식물을 골고루 먹거나 식물을 위주로 먹는 개체, 겨울잠에 들기 전 살이 오른 개체, 젊은 개체의 고기는 사슴고기와 비슷한 깊은 단맛이 난다고 한다.

참고로 곰고기는 반드시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한다. 곰은 야생동물이므로 선모충 등 온갖 기생충들의 숙주이기 때문에 날것으로 먹으면 아주 높은 확률로 선모충증 등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

3. 용도

전 세계적으로 곰고기는 식육목 최강 동물 중 하나인 곰을 사냥해야 한다는 큰 리스크를 부담해야 얻을 수 있는 고기였기에, 단순히 고기를 얻기 위해 사냥하기보다 일종의 의식으로, 또는 진미로써 소비되었다. 물론 가죽, 지방 등 사냥 후 곰에서 얻을 수 있는 각종 유용한 부산물은 덤이다.

4. 법적 지위

4.1. 사냥

캐나다 전역과 미국 28개 주에서는 매년 합법적인 곰 사냥 시즌이 존재한다. 사냥 시엔 곰 사냥 면허를 요구하며, 몇몇 주에선 대형 동물 사냥 면허를 대신 요구한다. 일부 주에서는 곰 사냥 면허와 대형 동물 사냥 면허를 같이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사냥한 곰의 고기를 요리해서 먹을 수 있다. #

4.2. 도축, 유통

전술했듯이 현행법상 한국에서 곰고기를 매매하는 것은 불법이다. 출처 단, 곰 사육은 합법이고 예외적으로 웅담만은 판매가 허용된다. 대한민국이 CITES에 가입한 이후 곰고기 매매는 불법이 되었고, 대부분의 사육곰이 중성화 수술을 받았으며 2015년 마지막 태어난 곰이 10살이 되는 2024년에 곰사육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이 입법을 예고하고 있다. #

세계 여러나라에서 곰의 도축이나 유통을 불법으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에서 은밀히 유통되고 있다고 한다.

1980년대 한국에서는 농가소득증대를 위해 곰사육을 허가했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곰의 유통은 불법화되었다. 이러다보니 1980년대부터 곰을 키우던 곰 사육농가들은 큰 피해를 보게 되었다. 곰에서 웅담을 빼내려면 10여년을 키워야 하는데다가 곰의 먹성이 보통이 아닌지라 두당 사료값만 1년에 수백만원씩 들어가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는 곰사육을 불법화하려고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현재 곰사육농가가 보유한 곰 천여마리의 가격을 보상해줘야 한다. 문제는 곰 한마리당 가격이 2~3천만원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니 사육되는 곰은 낙동강 오리알 신세이고, 정부는 곰사육농민과 국제기구의 눈치를 보며 아무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다. 그틈을 타서 현재 곰농가에서는 곰고기가 불법적으로 유통되고 있다고 한다. 보양식으로 치기 때문에 매우 비싸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은 1993년 CITES에 가입하였기에 엄연한 불법이다.

현재 곰고기를 가장 많이 도축 및 수출하는 나라는 중국이다. 특히 곰 발바닥 요리인 웅장은 샥스핀 급으로 인기가 많아 고급 식당이나 레스토랑에서 판매하고 있다. 물론 그만큼 중국 동물보호단체들의 거센 항의가 뒤따라 오기에 밀렵꾼이나 음지에서 밀수입한다고...

일본에서는 곰고기 유통, 곰 사육 모두 합법이나, 수출입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해수구제용으로 사냥한 곰을 소량 유통하고 있다.

5. 미디어에서의 곰고기

6. 기타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인 곰을 야갤에서 가끔 놀릴 때 쓰는 유형이다. 간혹가다가는 곰탕 드립도 날린다. 물론 멸칭인 만큼 모두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1] 사카키가 곰을 좋아한다고 해서 사온 거라고 한다. 물론 좋아한다는 의미가 완전히 다른지라, 사카키는 질겁을 하며 사색이 되어버렸다.[2] 홋카이도는 강과 산이 많고 기후가 한랭해서 에조불곰이 많이 서식한다.[3] 실제로 곰순대는 이북의 향토요리이며 북한의 요리사전에도 레시피가 실려있다.[4] 만화의 배경은 80년대 중반 즈음인데, 사냥꾼은 이미 50~60대 노인이었으니 대략 30년대의 일이었을 것이다. 그 당시 한반도는 1910~1920년대에 걸쳐 일제의 해수구제사업으로 어지간한 맹수는 거의 다 씨가 마른 상태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