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07:37:41

개혁신당/제2차 전당대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개혁신당/역대 전당대회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개혁신당 로고(오렌지 배경).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7210,#FF7210><colcolor=#FFFFFF> 역사 창당 이전 · 2024년 (통합 과정) · 2025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전당대회 개혁신당/역대 전당대회 (제1차(2024) · 제2차(2025))
지도부 개혁신당/지도부 (제2대 · 제3대)
선거 지지 기반
22대 총선 선거대책위원회 · 공천관리위원회 · 결과
21대 대선 선거기획단 · 선거관리위원회 · 경선 · 개혁신당 선거대책본부 · 결과
관련 단체 개혁신당 마이너 갤러리 · 개혁연구원
한국의희망 · 새로운선택 · 원칙과 상식
기타 개혁보수 · 조금박해 · 원칙과 상식 · 세 번째 권력
더불어민주당 분당 · 국민의힘 분당 · 정의당 분당 · 인재영입
개혁신당 허은아 지도부 내홍 사태(전개)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계파 분류 · 21대 국회의원 · 22대 국회의원
}}}}}}}}} ||

파일:개혁신당 로고(오렌지 배경).svg
역대 전당대회
<bg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5px;"
<rowcolor=#ffffff> 연도 전당대회 선출 대상 결과
2024년 제1차 제2대 지도부 대표 허은아
최고위원 3인
2025년 대선 후보 선거 제21대 대선 후보 후보 이준석
제2차 제3대 지도부 대표 이준석
최고위원 3인
}}}}}}}}} ||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nopad> 파일: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png
{{{#!wiki style="margin: -7px -12px" 2024년 5월 19일
제1차 전당대회
2025년 7월 27일
제2차 전당대회
2027년
제3차 전당대회
}}}
선출 대상 당대표
최고위원 3인
선출 방식 당대표 당원[대상] 찬반 투표[2]
최고위원 당원[대상] 투표 70%
일반 여론조사 30%
투표율 66.18% ▼3.86%p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아카이브]
당선인
파일: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이준석.png
당대표
이준석
<rowcolor=#fff> 수석최고위원
김성열
최고위원
주이삭
최고위원
김정철

1. 개요2. 배경 및 과정3. 일정4. 후보
4.1. 당대표
4.1.1. 이준석 (초선 국회의원)
4.2. 최고위원
4.2.1. 이유원 (원외)4.2.2. 김정철 (원외)4.2.3. 공필성 (원외)4.2.4. 김성열 (원외)4.2.5. 이혜숙 (원외)4.2.6. 주이삭 (재선 서대문구의회의원)4.2.7. 이성진 (원외)
4.3. 불출마 선언
4.3.1. 이영랑 (원외)
5. 결과
5.1. 당대표5.2. 최고위원
5.2.1. 세부 결과
6. 당선인별 수락연설7. 여담8. 관련 문서

1. 개요

<nopad> 파일:개혁신당 제3기 지도부 이준석 신임 당대표.jpg
개혁신당 당기를 흔드는 이준석 신임 당대표
오늘의 개혁
내일의 변화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에 대해 서술한 문서. 해당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지도부가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지휘한다.

2. 배경 및 과정

2024년 제1차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허은아 지도부가 2026년까지 임기를 지속할 예정이었으나, 2025년 1월 개혁신당 허은아 지도부 내홍 사태로 인해 정당 역사상 최초로 당원소환제가 실시되었다. 허은아 대표와 조대원 최고위원이 해임되어 직위가 상실되면서 제1차 전당대회를 통해 구성된 2기 지도부는 8개월 만에 끝났다. 이에 따라 천하람 권한대행 체제에서 제2차 전당대회의 조기 실시가 확정되었다. 2024년 12월 3일 12.3 비상계엄 선포와 그 여파로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만장일치로 인용됨에 따라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지게 되어 대선 이후로 전당대회가 연기되었다.

6월 12일 천하람 당대표 권한대행이 "오늘(12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를 출범시켰고, 이르면 7월 초에 전당대회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전당대회준비위원장에는 김철근 사무총장이 임명되었으며, 이경선 조직부총장[5]을 비롯한 각 시·도당위원장들이[6]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6월 12일 개혁신당이 전당대회 득표 1위가 대표최고위원을, 2위부터 4위가 최고위원에 당선되는 현재의 집단지도체제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하여 선출하는 단일지도체제로 지도체제를 전환하는 방안이 당 내에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 동아일보는 이를 전당대회에 출마할 가능성이 유력한 이준석 의원에게 표심이 쏠릴 것을 예상하여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하려는 '이준석 대표 체제'의 포석으로 보았다.

6월 30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했고, 전당대회를 7월 27일로 확정지었다. #

7월 9일, 개혁신당 선거관리위원회는 당원 온라인 투표 70%, 일반 여론조사 30%로 당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를 따로 열어 선출하기로 결정했다. # 투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K-voting으로 진행되며, 최고위원 출마자가 많아짐에 따라, 8인 이상이 출마할 시 으뜸당원 여론조사를 통해 하위 3명을 컷오프하는 방식을 새로 채택했다. 또한 대선 기간 동안에 폭증한 당원들을 위해 기존 1년간 2회 이상의 당비를 납부해야 주어졌던 으뜸당원 투표권은 1회 이상의 당비만 납부해도 투표권이 주어지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7] 당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온라인 토론회 2회, 비전발표회 1회, 정견발표회 1회로 추가 실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3. 일정

||<-3><tablealign=center><bgcolor=#FF7210,#ff7210><colcolor=#fff><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7210,#ff7210><nopad>
파일:개혁신당 로고(오렌지 배경).svg
||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일정
선거 7월 4일 ~ 7월 9일 후보자 등록 공고
7월 7일 ~ 7월 9일 17시 후보자 등록
7월 13일 14시 후보자 제1차 온라인 토론회
7월 18일 14시 후보자 비전발표회
7월 23일 10시 후보자 제2차 온라인 토론회
7월 25일 9시 ~ 7월 26일 18시 당원 온라인 투표
(당대표 찬반투표 / 최고위원 투표)
국민 여론조사
7월 27일 14시 전당대회
개혁신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3인 선출


===# 제1차 온라인 토론회 #===
파일:개혁신당 로고.svg파일:개혁신당 흰색 로고.svg '''{{{#FFF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1차 온라인 토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 후보자 비전발표회 #===
파일:개혁신당 로고.svg파일:개혁신당 흰색 로고.svg '''{{{#FFF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비전발표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 제2차 온라인 토론회 #===
파일:개혁신당 로고.svg파일:개혁신당 흰색 로고.svg '''{{{#FFF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2차 온라인 토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4. 후보

4.1. 당대표

4.1.1. 이준석 (초선 국회의원)

<colbgcolor=#FF7210,#ff7210> 1 이준석 (李俊錫)
파일:이준석포스터.jpg
출생 1985년 3월 31일 (40세)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근동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경기 화성 을)
개혁연구원 원장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대표교사
기호 1번 이준석 당대표 후보 소개 영상
무한책임
무한책임? 무한책임!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2011년, 박근혜에 의해 발탁되어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으로서 정치에 입문하였다. 이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 바른미래당 청년최고위원, 새로운보수당 창당준비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을 지내다 2021년 초대 국민의힘 대표에 당선되어, 헌정 사상 최초의 30대, 최연소 원내 교섭단체 대표라는 기록을 세웠다.[8] 이후 이준석 성접대 허위 의혹 제기 사건로 인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으로 당원권 정지 6개월의 중징계와 비대위 전환에 대한 가처분 신청이 기각되면서 국민의힘 대표직에서 자동 퇴임되었으며[9], 국민의힘에서 탈당 후 이른바 '마포참숯갈비 선언'을 통해 개혁신당의 창당을 선언하게 된다.

이후 개혁신당에서 정강정책위원장으로 당의 강령, 당헌, 당규를 만들고 개혁신당의 초대 당대표로 추대되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화성시 을에 출마하며 더불어민주당 공영운 후보와 치열한 접전 끝에 양당이 후보를 공천하고도 당선된 유일한 당선인이라는 타이틀로 국회에 입성하게 된다. 이후 제1차 전당대회를 열어 개혁신당 당대표직에서 내려와 후임자로 당선된 허은아에게 당기를 넘겨주며 4개월 간의 당대표직을 마치고 퇴임하는 듯 했으나 개혁신당 허은아 지도부 내홍 사태가 발생하게 되며 개혁신당은 사상 초유의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결국 정당 역사상 처음으로 당원소환를 실시하여 허은아를 개혁신당 대표직에서 해임했다. #

한편, 허은아 지도부 내홍 사태와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12.3 비상계엄의 여파로 이준석의 숙적이었던 윤석열탄핵됨에 따라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열리게 되고, 개혁신당에서 이의 후보를 선출하는 개혁신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선거가 열려 92.81%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다. 대선에서는 8.34%(2,917,523표)라는 다소 아쉬운 지지율로 대선에서 3위를 기록한다.

당 내에서는 제21대 대통령 선거 이후, 이준석 의원을 향한 당대표 복귀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

6월 18일, 이준석 의원이 당대표 출마 여론에 대해 "역할을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며 출마 가능성을 시사했다. #

7월 8일, 채널A와의 전화 통화에서 "대선 후 당을 추스리고 내년 지방선거를 대비하기 위해 당에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사실상 당대표 출마를 굳혔다. #

등록 결과 이준석만 단독으로 당대표 후보에 등록하여 찬반 투표로 치러지게 되었다. #

4.2. 최고위원

4.2.1. 이유원 (원외)

<colbgcolor=#FF7210,#ff7210> 1 이유원 (李有媛)
파일:1이유원포스터.jpg
출생 1967년 8월 22일 (57세)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
현직 개혁신당 동작구 을 당협위원장
아트노바 대표
개혁신당 서울특별시당 젠더(특별)위원
기호 1번 이유원 최고위원 후보 소개 영상
이유 있는 목소리, 넘버원 리더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개혁신당 동작구 을 당협위원장을 역임 중인 아나운서 출신 정치인이다.

2012년 창조한국당 부대변인과 정통민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후보직을 역임했으며, 이후 한동안은 정치 소식이 없다가 개혁신당에 입당하며 동작 을 당협위원장과 서울특별시당 젠더특별위원직을 지내고 있다.

7월 9일 페이스북을 통해 출마 선언을 하였다. #

4.2.2. 김정철 (원외)

<colbgcolor=#FF7210,#ff7210> 2 김정철 (金正澈)
파일:2김정철포스터.jpg
출생 1976년 10월 2일 (48세)
전라남도 여수시
현직 개혁신당 법률자문위원장
개혁신당 윤리위원
기호 2번 김정철 최고위원 후보 소개 영상
압도적 필승 카드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개혁신당 법률자문위원장을 역임 중인 정치인이자 20년간 형사법을 강의한 법무법인 우리의 대표 변호사.

조국 사태 이후 정치 현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개혁신당의 영입 제안을 받고 수석 대변인으로 임명되었다. 개혁신당 허은아 지도부 내홍 사태에서의 가처분에서 개혁신당 측의 변호사로 선임되어 개혁신당의 승리를 이끌어냈다.

7월 9일 13시 40분에 기자회견을 통해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하였다.

4.2.3. 공필성 (원외)

<colbgcolor=#FF7210,#ff7210> 3 공필성 (孔弼聖)
파일:3_공필성후보포스터_수정.png
출생 1988년 6월 4일 (37세)
경기도 화성군 오산읍
(現 경기도 오산시)
현직 개혁신당 화성시 병 당협위원회 사무국장
배우
공감청년 대표
AKW 전한국프로레슬링 기획 및 링아나운서
기호 3번 공필성 최고위원 후보 소개 영상
감의 정치! 사의 개혁! 공을 현실로!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오산시 출신의 연극배우로, 서철모 국회의원 예비후보 기획·수행팀장, 이준석 국회의원 후보 직계존속 수행팀장, 화성시장애인누릴인권센터 팀장, 화성시 청년정책협의체 문화예술분과장, 개혁신당 제21대 대선 선거대책본부 AI전략팀 국민소통담당관·환경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정치단체 공감청년의 대표이며 과거 중국 상하이에서 대학을 다녔으며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이다.

7월 8일, SNS를 통해 최고위원 후보 등록 소식을 알렸다. #

4.2.4. 김성열 (원외)

<colbgcolor=#FF7210,#ff7210> 4 김성열 (金成烈)
파일:2김성열포스터.jpg
출생 1982년 (43세)
서울특별시
현직 개혁신당 양천구 갑 당협위원장
개혁신당 당대표 공보특보
기호 4번 김성열 최고위원 후보 소개 영상
"짐이 아닌, 힘이 되는 사람!"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국회의원 비서 및 비서관으로 정치에 처음 입문하여 민주평화당, 민생당, 더불어민주당에서 보좌관을 지내다 개혁신당에 입당하여 조직본부장, 수석대변인과 개혁신당 제21대 대선 선거대책본부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7월 6일 페이스북을 통해 최고위원 출마와 동시에 후원을 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후 7월 8일 오전 9시 40분에 국회 소통관에서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했다.

4.2.5. 이혜숙 (원외)

<colbgcolor=#FF7210,#ff7210> 5 이혜숙 (李惠淑)
파일:5_이혜숙후보포스터.png
출생 1964년 4월 26일 (61세)
경기도 안산시
현직 개혁신당 관악구 갑 당협위원장
정치컨설팅 공론 대표
기호 5번 이혜숙 최고위원 후보 소개 영상
두번째 도약, 승리하는 정당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국민의힘 경기도당 대변인직을 지냈으며 이후 개혁신당에 입당하여 정책위부의장, 개혁신당 제21대 대선 선거대책본부 부대변인을 역임했다. 현재는 관악구 갑 당협위원장직을 지내고 있다.

7월 11일 10시에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했다.

4.2.6. 주이삭 (재선 서대문구의회의원)

<colbgcolor=#FF7210,#ff7210> 6 주이삭 (朱이삭)
파일:6주이삭포스터.jpg
출생 1988년 2월 16일 (37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직 제9대 서대문구의회 의원
개혁연구원 부원장
개혁신당 서울특별시당 정책자문위원장
이준석 국회의원 공보특보
기호 6번 주이삭 최고위원 후보 소개 영상
승리의 필수조건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안철수의 '국민과 함께 하는 새정치추진위원회'에서 서울시 청년 위원 활동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제8대와 제9대 서대문구의회 의원을 지내며 바른미래당 부대변인, 국민의당 부대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민의힘 부대변인, 개혁신당 대변인과 개혁신당 제21대 대선 선거대책본부 공보 부단장을 역임했다.

7월 5일 당 내에서 첫 번째로 최고위원 출마 소식과 이를 위한 후원회 개설을 알렸다. #

4.2.7. 이성진 (원외)

<colbgcolor=#FF7210,#ff7210> 7 이성진 (李省進)
파일:7이성진포스터.jpg
출생 1979년 9월 12일 (45세)
충청남도 천안시
현직 개혁신당 충청남도당 도당위원장
개혁신당 천안시 병 당협위원장
개혁신당 홍보위원장
기호 7번 이성진 최고위원 후보 소개 영상
지금 할 말을 하고, 지금 할 일을 하겠습니다

제2차 전당대회 슬로건
기업인 출신 정치인. 개혁신당 홍보부총장, 개혁신당 제21대 대선 선거대책본부 홍보부본부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개혁신당의 충남도당 도당위원장 직을 맡고 있으며 동시에 천안시 병 당협위원장 직무를 맡고 있다. 과거 제1차 전당대회 당시 높은 기탁금으로 인해 출마가 좌절된 적이 있다.

7월 7일 페이스북을 통해 출마 선언을 하였다.#

4.3. 불출마 선언

4.3.1. 이영랑 (원외)

<colbgcolor=#FF7210,#ff7210> 파일:개혁신당 로고.svg파일:개혁신당 흰색 로고.svg 이영랑 (李英娘)
파일:이영랑후보사진.jpg
출생 1976년 4월 9일 (49세)
경상북도 안동시
현직 강릉원주대학교 평생교육원 강사
7월 5일 페이스북을 통해 최고위원 출마 선언을 하였다. #

그러나 7월 8일, 김철근 사무총장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불출마로 뜻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이후 공필성의 후원회장이 되었다.

5. 결과

파일:개혁신당 로고.svg파일:개혁신당 흰색 로고.svg '''{{{#FFF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9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margin-top: -10px"

5.1. 당대표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당대표 선거
찬반 투표
<rowcolor=#373a3c,#dddddd> 이름 찬성수 반대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찬성율 반대율
이준석(李俊錫) 25,254 457 당선

98.22% 1.78%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38,848 투표율
66.18%
<rowcolor=#373a3c,#dddddd> 투표 수 25,711

5.2. 최고위원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
상위 득표자 3명 선출
<rowcolor=#373a3c,#dddddd> 기호 이름 득표율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colbgcolor=#FF7210,#ff7210><colcolor=#fff> 1 이유원(李有媛) 13.43% 4위

낙선
2 김정철(金正澈) 14.45% 3위

최고위원
3 공필성(孔弼聖) 8.54% 5위

낙선
4 김성열(金成烈) 34.76% 1위

수석최고위원
5 이혜숙(李惠淑) 7.10% 6위

낙선
6 주이삭(朱이삭) 16.70% 2위

최고위원
7 이성진(李省進) 5.03% 7위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38,848 투표율
66.18%
<rowcolor=#373a3c,#dddddd> 투표 수 25,711

5.2.1. 세부 결과

개혁신당 제2차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 최종 결과
분류 1 이유원 2 김정철 3 공필성 4 김성열 5 이혜숙 6 주이삭 7 이성진
으뜸당원(70%) 10.18% 14.87% 7.52% 40.61% 5.27% 17.95% 3.59%
국민 여론조사(30%) 21.01% 13.45% 10.92% 21.10% 11.37% 13.80% 8.37%
최종 결과 13.43% 14.45% 8.54% 34.76% 7.10% 16.70% 5.03%

6. 당선인별 수락연설

이준석 당대표 수락연설
김성열 최고위원 당선 인사
주이삭 최고위원 당선 인사
김정철 최고위원 당선 인사

7. 여담

8. 관련 문서


[대상] 전당대회 당일 일주일 전(7월 20일) 기준 1년간 1회 이상의 당비를 납부한 으뜸당원.[2] 이준석 의원의 단독 입후보에 따라 찬반 투표로 진행된다.[대상] [아카이브] #[5] 서울시당위원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6] 김미리 경기도당위원장, 황영헌 대구시당위원장, 이재웅 부산시당위원장, 황재선 경북도당위원장, 최현수 광주시당위원장.[7] 개혁신당 선거관리위원회 의결 이후 매일경제신문에서 으뜸당원에 대한 선거권 부여 기준이 '1년간 1회 이상에 1만원 이상의 당비를 납부한 자'라고 보도했으나, 개혁신당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인 정희윤 수원시 갑 당협위원장이 오보라고 공식 발표했다.[8] 이 기록은 김용태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지명되며 깨지게 된다.[9] 이후 이준석 추가 징계 사건으로 당원권 정지 기간이 1년으로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