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규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기타 음반 ]
- ||<-4><width=1000><bgcolor=#333><color=#fe5d36> EP||
- [ 싱글 목록 ]
- ||<-5><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333><tablecolor=#fe5d36>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레이디 가가의 노래||
<colbgcolor=#fff,#1c1d1f> Just Dance • Poker Face • LoveGame • Paparazzi Bad Romance • Telephone • Alejandro Born This Way • Judas • The Edge of Glory • Yoü And I • Marry The Night Applause Shallow • Always Remember Us This Way Rain On Me • Sour Candy Die With A Smile • Disease • Abracadabra Others Hold My Hand
- [ 출연 작품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bgcolor=#333><color=#fe5d36> 영화||
마세티 킬즈
라 카말리온
(2013)씬 시티: 다크히어로의 부활
버사
(2014)스타 이즈 본
앨리 캄파나
(2018)하우스 오브 구찌
파트리치아 레지아니
(2021)조커: 폴리 아 되
리 퀸젤
(2024)드라마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5 : 호텔 (2015)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6 : 로어노크 (2016)
- [ 관련 문서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음반 ||<width=50%> 논란 및 사건 사고 ||
레이디 가가의 음반 | ||
데뷔 | 1집 The Fame (2008) | → |
1집 확장반 The Fame Monster (2009) |
<colbgcolor=#000><colcolor=#abcad1> The 1st Studio Album The Fame | |
| |
아티스트 | 레이디 가가 |
발매일 | 2008년 8월 19일 |
장르 | 일렉트로팝, 댄스 팝 |
길이 | 50:20 |
레이블 | Streamline, KonLive, Cherrytree, Interscope |
프로듀서 | 브라이언 앤 조쉬, 레이디 가가, 롭 푸사리, 마틴 키어젠바움, 레드원, 스페이스 카우보이 |
[clearfix]
1. 개요
레이디 가가의 데뷔 앨범이자 첫 번째 정규 앨범.2. 평가
The Fame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rowcolor=#000> 2009 | 2010 | 2011 | |||||||||||||||||||||||||||||||||||||||||||||||||||||||||||||||||||||||||||||||||||||||||||||||||||||||||||||||||||||||||||||||||||||||||||||||||||||||||||||||||||||||||||||||||||||||||||||||||||||||||||||||||||||||||||||||||||||||||||||||||||||||||||||||||||||||||||||||||||||||||||||||||||||||||||||||||||||||||||||||||||||||||||||||||||||||||||||||||||||||||||
Alive 2007 Daft Punk | → | The Fame Lady Gaga | → | La Roux La Roux |
}}} ||
| |
메타스코어 71 / 100 | 유저 스코어 8.4 / 10 |
상세 내용 |
지금의 레이디 가가를 만들어준 레이디 가가의 최고 흥행작이자 팝 음악사에서도 역대급으로 뽑히는 앨범.
The Fame Monster를 시작으로 기괴하고 어두운 그로테스크 테크를 타기 시작한 그녀의 밝은 모습을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앨범이다. 그녀의 음악 스타일이 너무 어둡고 매니악해지자 이 앨범을 그리워하는 팬들이 좀 있었던 편. 동시에 걸쭉한 보컬로 유명한 가가지만 본 앨범에서는 유일하게 그녀의 청량하고 맑은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현재까지 EP앨범인 The Fame Monster를 합산하면 1600만 장, 제외하면 130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하고 있으며 빌보드 선정 가장 성공한 21세기 음반 10위를 차지했다.[1] 음반 불황기인 2008년에 솔로 여가수가 발매한 앨범임을 감안할 때 이는 굉장한 수준이다. 또한 미국에만 판매량이 편중된 것이 아닌 북미, 유럽, 아시아, 남미, 오세아니아 전 지역에서 골고루 팔려나가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발매된 지 5년 차에 벌써 롤링 스톤지 선정 가장 위대한 데뷔 앨범 100위에 올라섰고 이후 해가 지날수록 순위는 더욱 상승할 듯하다.
그만큼 앨범 The Fame의 파괴력과 영향력은 어마어마한 것이었는데 대표적으로 팝 씬의 판도를 바꾸는 것에 크게 일조했다. The Fame이 흥행하기 이전 빌보드 핫 100은 대부분 넬리, Ne-Yo, 50 센트와 같은 힙합&알앤비 장르들이 주류였던 반면 레이디 가가와 블랙 아이드 피스가 등장하고 난 뒤인 2009년부터 일렉 붐이 일기 시작했고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차트가 아예 일렉으로 도배되었던 시기이다. 활동기는 물론 레이디 가가의 활동 혹은 화제가 되던 시기에 꾸준히 빌보드 200 차트인을 기록하여 4년 동안 빌보드 200에 차트인한 앨범이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3. 성적
{{{-2 The Fame (2008)}}} | |
빌보드 200 2위 월드 판매량 : 18,000,000장 메타크리틱 : 71 | |
미국 | 6,000,000 (6x Platinum) |
영국 | 3,300,000 (10x Platinum) |
일본 | 1,000,000 (Million) |
캐나다 | 560,000 (7x Platinum) |
4. 수록곡
| ||
<rowcolor=#000> 트랙 | 타이틀 | 길이 |
1 | Just Dance(feat. Colby O'Donis) 싱글컷 | 4:02 |
2 | LoveGame 싱글컷 | 3:37 |
3 | Paparazzi 싱글컷 | 3:29 |
4 | Poker Face 싱글컷 | 3:58 |
5 | Eh, Eh (Nothing Else I Can Say) 싱글컷 | 2:56 |
6 | Beautiful, Dirty, Rich[2] 싱글컷 | 2:53 |
7 | The Fame | 3:43 |
8 | Money Honey | 2:51 |
9 | Starstruck (feat. Space Cowboy & Flo Rida) | 3:38 |
10 | Boys Boys Boys | 3:21 |
11 | Paper Gangsta | 4:24 |
12 | Brown Eyes | 4:03 |
13 | I Like It Rough | 3:23 |
14 | Summerboy | 4:14 |
15 | Disco Heaven | 3:42 |
- Just Dance, Poker Face, Eh, Eh (Nothing Else I Can Say), LoveGame, Paparazzi. 5개의 트랙이 차례로 싱글컷되었다.
4.1. Just Dance
'''Just Dance 01 4:02 ''' |
|
4.2. LoveGame
'''LoveGame 02 3:37 ''' |
|
4.3. Paparazzi
'''Paparazzi 03 3:29 ''' |
|
4.4. Poker Face
'''Poker Face 04 3:58 ''' |
|
4.5. Eh, Eh (Nothing Else I Can Say)
'''Eh, Eh (Nothing Else I Can Say) 05 2:56 ''' |
|
- 2009년 1월, Eh, Eh (Nothing Else I Can Say)가 세 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유럽, 네덜란드 한정 싱글로서 유럽 다섯 개국[3], 네덜란드[4]에서 top 10에 진입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기록하였다.
4.6. Beautiful, Dirty, Rich
'''Beautiful, Dirty, Rich 06 2:53 ''' |
|
4.7. The Fame
'''The Fame 07 3:43 ''' |
|
4.8. Money Honey
'''Money Honey 08 2:51 ''' |
|
4.9. Starstruck
'''Starstruck 09 3:38 ''' |
|
4.10. Boys Boys Boys
'''Boys Boys Boys 10 3:21 ''' |
|
4.11. Paper Gangsta
'''Paper Gangsta 11 4:24 ''' |
|
4.12. Brown Eyes
'''Brown Eyes 12 4:03 ''' |
|
4.13. I Like It Rough
'''I Like It Rough 13 3:23 ''' |
|
4.14. Summerboy
'''Summerboy 14 4:14 ''' |
|
4.15. Disco Heaven
'''Disco Heaven 15 3:42 ''' |
|
5. 여담
- 대체적으로 80년대 음악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전 곡을 레이디 가가가 직접 작사 작곡했으며 일부는 프로듀싱까지 담당했다. 사운드적으로는 중독적인 후크가 포함돼 있는 트랙들이 많고 가사로는 부와 명예, 섹스를 추구하는 트랙들이 대다수이다.
- 대체적으로 퇴폐적이고 키치하며 어두운 스타일의 음반이라고 여겨지고 있었으나 이후 레이디 가가가 발매하는 음반들에 비해선 훨씬 대중적이고 밝게 느껴진다. 대체적으로 팝 아트의 대가 앤디 워홀, 원탑 여성 팝 스타 마돈나, 글램 락의 전설 데이빗 보위를 표방한 듯한 음악이며 그런 와중에도 본인의 색깔을 뚜렷하게 지키고 있다.
- The Fame을 만들때 비틀즈의 Abbey Road를 강박적으로 들었다고 한다. 그것도 무려 6개월 동안 반복해서 들었다고 하는데, 믿을 수 없을 만큼 찬란하다며 마치 타고난 기쁨 같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