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2:55:35

Fallen(음반)


파일:Evanescence-Logo.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f 45%, #000 55%, transparent 55%); 
[ Album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9b9b9b><width=25%><nopad> 파일:FallenEvanescence.jpg ||<width=25%><nopad> 파일:tod.jpg ||<width=25%><nopad> 파일:EvanescenceSelfTitle.png ||<width=25%><nopad> 파일:The bitter Truth.png ||
'{{{-1 [[Fallen(음반)|{{{#2f5fc3 Fallen''}}}]]}}}
1집
'''
2003. 03. 04.
'{{{-1 [[The Open Door|{{{#45546b The Open Door''}}}]]}}}
2집
'''
2006. 09. 25.
'''Evanescence
3집
'''
2011. 10. 07.
'{{{-1 [[The Bitter Truth|{{{#a82e64 The Bitter Truth''}}}]]}}}
4집
'''
2021. 03. 26.

Fallen
파일:FallenEvanescence.jpg
20주년 기념반 커버 ▼
파일:Fallen 20th anniversary.jpg
<colbgcolor=#000002><colcolor=#3d66ae> 발매 2003년 3월 4일
녹음 2002년 8월 ~ 12월
장르 심포닉 메탈, 고딕 메탈, 얼터너티브 메탈
길이 48:45
곡 수 12곡
프로듀서 Dave Fortman
레이블 Wind-Up
싱글 발매곡
[ 펼치기 · 접기 ]
Bring Me To Life (2003년 1월 13일)
Going Under (2003년 8월 18일)
My Immortal (2003년 12월 8일)
Everybody's Fool (2004년 5월 4일)


1. 개요2. 성적3. 평가4. 트랙 리스트
4.1. Going Under
4.1.1. 뮤직 비디오
4.2. Bring Me to Life
4.2.1. 뮤직 비디오
4.3. Everybody's Fool
4.3.1. 뮤직 비디오
4.4. My Immortal4.5. Haunted4.6. Tourniquet4.7. Imaginary4.8. Taking Over Me4.9. Hello4.10. My Last Breath4.11. Whisper4.12. My Immortal (Band Ver)
4.12.1. 뮤직 비디오

[clearfix]

1. 개요

에반에센스 데뷔 음반.

2. 성적

Fallen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IAA|]]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
Platinum Certification
(4x Platinum)


미국 내 판매량 4,000,000 단위 이상


파일:Loudwirelogo.png 선정 50대 뉴 메탈 명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라우드와이어가 2023년 선정한 "50대 뉴 메탈 명반"의 리스트이다.
<rowcolor=#fff,#191919>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Korn_Debut_Album.jpg
파일:Toxicity.png
파일:linkin park hybrid theory.jpg
파일:external/3.bp.blogspot.com/Slipknot+-+Iowa.jpg
파일:external/www.albumoftheyear.org/white-pony.jpg
시스템 오브 어 다운 린킨 파크 슬립낫 데프톤즈
Korn Toxicity Hybrid Theory Iowa White Pony
<rowcolor=#fff,#191919>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meteora.jpg
파일:System_of_a_down.jpg
파일:81O+9O0fbjL._SL1500_.jpg
파일:disturbedthesickness.jpg
린킨 파크 슬립낫 시스템 오브 어 다운 디스터브드
Meteora Slipknot System of a Down Follow the Leader The Sickness
<rowcolor=#fff,#191919>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파일:FallenEvanescence.jpg
파일:Incubus_make_yourself.jpg
파일:external/4.bp.blogspot.com/Slipknot+-+Vol.3+The+Subliminal+Verses+%5B2004%5D.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imp_Bizkit_Significant_Other.jpg
파일:Korn-Issues-Frontal.jpg
에반에센스 인큐버스 슬립낫 림프 비즈킷
Fallen Make Yourself VOL.3: (THE SUBLIMINAL VERSES) Significant Other Issues
<rowcolor=#fff,#191919>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파일:SOAD_4집.jpg
파일:deftones-around the fur.png
파일:sepulturaroots.jpg
파일:devilwithoutacause.jpg
파일:paparoachinfest.jpg
시스템 오브 어 다운 데프톤즈 세풀투라 키드 락 파파 로치
Mesmerize Around the Fur Roots Devil without a Cause Infest
21위부터는 라우드와이어 선정 50대 뉴 메탈 명반 참조
같이 보기: 라우드와이어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롤링 스톤 선정 100대 메탈 명반
99위

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빌보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빌보드 선정 2000년대 200대 명반
19위

파일:alot-logo.png파일:alot-logo-dark.png 선정 21대 21세기 명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alot의 Ron Winkler가 2024년에 선정한 리스트이다.
파일:external/fanart.tv/21-4dc8696962468.jpg
파일:Come Away With Me.png
파일:EMTES.jpg
파일:external/digitalspyuk.cdnds.net/adele-25-cover.jpg
파일:FallenEvanescence.jpg
파일:Back to Black.webp
파일:meteora.jpg
아델 노라 존스 에미넴 아델 에반에센스 에이미 와인하우스 린킨 파크
21 Come Away With Me The Eminem Show 25 Fallen Back to Black Meteora
파일:LetGoAlbum.jpg
파일:usher-confessions.jpg
파일:The Fame.jpg
파일:external/f1.bcbits.com/a1535970238_10.jpg
파일:VanLearRose.jpg
파일:KLTPAB.jpg
파일:Born To Die.jpg
에이브릴 라빈 어셔 레이디 가가 수프얀 스티븐스 로레타 린 켄드릭 라마 라나 델 레이
Let Go Confessions The Fame Illinois Van Lear Rose To Pimp A Butterfly Born To Die
파일:Yoshimi.jpg
파일:external/factmag-images.s3.amazonaws.com/arcade.fire_.new_.art_.track_.review222236.jpg
파일:JoannaNewsomYs.jpg
파일:drive-by-truckers-decoration-day.jpg
파일:Sleater_Kinney_The_Woods.jpg
파일:external/cmsimg.mnet.com/346066.jpg
파일:Merriweather Post Pavilion.jpg
플레이밍 립스 아케이드 파이어 조애나 뉴섬 드라이브 바이 트러커즈 슬리터 키니 세인트 빈센트 애니멀 콜렉티브
Yoshimi Battles the Pink Robots The Suburbs Ys Decoration Day The Woods St. Vincent Merriweather Post Pavilion }}}}}}}}}

파일:멜론 로고.svg

}}} ||

3. 평가


파일:AllMusic_Text_Logo.svg.png파일:AllMusic 텍스트 로고 화이트.png
9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후보에 올랐고 신인상을 수상했다.

4. 트랙 리스트

트랙리스트
<rowcolor=#3d66ae> # 제목 길이
1 Going Under[1] 3:35
2 Bring Me to Life
(feat. Paul McCoy)[2][3]
3:57
3 Everybody's Fool 3:17
4 My Immortal[4] 4:23
5 Haunted 3:05
6 Tourniquet 4:38
7 Imaginary 4:17
8 Taking Over Me 3:49
9 Hello 3:41
10 My Last Breath[5] 4:08
11 Whisper 5:28
히든트랙 My Immortal (Band Ver) 4:33

4.1. Going Under

4.1.1. 뮤직 비디오

4.2. Bring Me to Life

4.2.1. 뮤직 비디오

4.3. Everybody's Fool

4.3.1. 뮤직 비디오

4.4. My Immortal

4.5. Haunted

4.6. Tourniquet

4.7. Imaginary

4.8. Taking Over Me

4.9. Hello

4.10. My Last Breath

4.11. Whisper

4.12. My Immortal (Band Ver)

4.12.1. 뮤직 비디오


[1] 영화 4인용 식탁의 OST 삽입곡이기도 하다.[2] 앨범 수록곡들 중에서 가장 성공한 싱글곡. 양덕들이 각종 애니메이션 매드무비 삽입곡으로 쓰기도 한다. 페이트 제로 매드무비.[3] WWE 노 웨이 아웃의 테마곡으로도 쓰여서 북미 레슬링 팬들 사이에서도 인지도가 있다. 한마디로 록, 프로레슬링,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며 다양한 분야의 팬들이 좋아하는 노래라는 뜻.[4] 타라 길스비(Tara Gilesbie)이 곡의 제목에서 따온, 동명의 해리 포터 시리즈 팬픽이 망작으로 유명해졌다. 에반에센스의 보컬 에이미 리가 이 팬픽을 안다. 매년 가족들이 모이는 명절에 레딧을 좋아하는 여동생이 이 팬픽을 읽어줬다. 그래도 에이미 리는 인터뷰를 하기 전까지는 다 읽지 않은 상태였고 이후에 읽은 뒤 이모(emo)가 고스(goth)로 묘사된 것에 대해 지적했다. 에반에센스 팬들도 이 팬픽이 연재된 지 오래된 시점에서는 에반에센스의 곡의 제목을 도용해서 화났다는 평보다는 웃기다는 평이 많다.[5] 프로레슬러 크리스찬TNA에서 활동할 때 테마곡으로도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