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디 가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50%>
||<color=#fe5d36,#fe5d36>레이디 가가
Lady Gaga ||
]]Lady Gaga ||
- [ 정규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1 [[The Fame|{{{#000,#abcad1 The Fame''}}}]]}}}1집'''
2008. 08. 19.'{{{-1 [[The Fame Monster|{{{#313131,#fff The Fame Monster''}}}]]}}}1집 확장반'''
2009. 11. 18.'{{{-1 [[Born This Way|{{{#000,#f0f0f0 Born This Way''}}}]]}}}3집'''
2011. 05. 23.'{{{-1 [[ARTPOP|{{{#e72798 ARTPOP''}}}]]}}}4집'''
2013. 11. 06.'{{{-1 [[Joanne|{{{#bf939c Joanne''}}}]]}}}5집'''
2016. 10. 21.'{{{-1 [[Chromatica|{{{#bf5969 Chromatica''}}}]]}}}6집'''
2020. 05. 29.'{{{-1 [[MAYHEM(레이디 가가)|{{{#fe5d36 MAYHEM''}}}]]}}}7집'''
2025. 03. 07.{{{#!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참고 사항 ]
The Fame Monster는 1집의 확장판 앨범이기 때문에 정규 앨범으로 취급되지 않으나, 공식 홈페이지에서 이를 LG2로, Born This Way와 ARTPOP을 각각 3집, 4집으로 표기한 바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기타 음반 ]
- ||<-4><width=1000><bgcolor=#333><color=#fe5d36> EP||
- [ 노래 문서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bgcolor=#fe5d36>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레이디 가가의 노래||
- [ 출연 작품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bgcolor=#333><color=#fe5d36> 영화||
마세티 킬즈
라 카말리온
(2013)씬 시티: 다크히어로의 부활
버사
(2014)스타 이즈 본
앨리 캄파나
(2018)하우스 오브 구찌
파트리치아 레지아니
(2021)조커: 폴리 아 되
리 퀸젤
(2024)드라마{{{#!wiki style="margin: -16px -11px" <nopad>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 5
엘리자베스 존슨
(2015)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시즌 6
스카하자
(2016)웬즈데이 시즌 2
로잘린 로트우드
(2025)}}}
- [ 관련 문서 ]
- ||<-2><tablebgcolor=#fff,#1c1d1f><bgcolor=#fe5d36,#fe5d36><color=#333,#333><width=1000>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음반 기타논란 및 사건 사고 }}}
레이디 가가의 싱글 | ||
← | Abracadabra (2025) | → |
'''[[MAYHEM(레이디 가가)| MAYHEM ]]Disease''' (2024) | '''[[MAYHEM(레이디 가가)| MAYHEM ]]The Dead Dance''' (2025) |
<colbgcolor=#171719,#171719><colcolor=#fff> The 2nd Single from MAYHEM Abracadabra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리믹스 커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아티스트 | 레이디 가가 | ||
발매일 | 2025년 2월 2일 | ||
장르 | 댄스[A], 댄스 팝[D], 일렉트로팝[3] | ||
길이 | 3:43 | ||
레이블 | 인터스코프 레코드 | ||
송라이터 | 레이디 가가, 앤드류 와트, 헨리 월터, 수전 발리온, 피터 에드워드 클라크 외[4] | ||
프로듀서 | 레이디 가가, 서쿳, 앤드류 와트 | ||
수록 음반 | [[MAYHEM(레이디 가가)| MAYHEM ]] | #02 |
1. 개요
|
Abracadabra, abra-ooh-na-na |
2. Abracadabra
<keepall> '''Abracadabra 3:43 Lady Gaga''' |
|
2.1. 뮤직비디오
Abracadabra Music Video |
3. 배경
- 레이디 가가는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새로운 싱글 뮤직비디오를 공연한다 밝혔고, 2월 2일 그래미 어워드 당일 싱글 'Abracadabra'를 발매하였다.[B][6][7][D]
- 발매 후 다음날인 2025년 2월 3일, 인터스코프 레코드를 통해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이 가능해졌으며[9], 유니버설 뮤직 그룹에 의해 이탈리아에선 라디오 에어플레이로도 들을 수 있게 되었다.[10]
4. 평가
- 몇몇 평가원들은 레이디 가가의 전작 The Fame Monster과 Chromatica 느낌이 물씬 난다는 평을 내리기도 했다.[A]
- 대부분의 평가는 긍정적인 편이다. 다만 이번 싱글의 경우 역시 가가의 전작들과 유독 더 많이 비교가 되었다. 바로 전작인 "Disease"와 같이 2000년대 후반의 댄스 팝 풍이 상당히 강하다는 평.[C]
- 피치포크에선 "Abracadabra"가 Born This Way의 패션스타일 + Chromatica 특유의 하우스 피아노 풍의 조합이라 평가하며, ARTPOP 시절에 냈던 싱글인 "G.U.Y." 이후 이렇게 좋은 싱글은 처음이라며 극찬을 하기도 했다.[C]
4.1. 뮤직비디오
- 빌보드는 "Bad Romance"를 연상시키며 뮤직비디오가 다양한 면에서 예술적이다는 평을 내렸다.[B]
- 롤링 스톤은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광란스러운 안무를 언급하며 "혼돈과 움직임의 분출"[17]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또한 이 노래의 풍이 The Fame Monster 시절을 떠오르게 한다며 MAYHEM의 정체성[18]을 돋보여주는 싱글이란 평을 내렸다.[19]
- 패리스 고블이 안무를 담당했다.
- 뮤직비디오 도입부에서 붉은 옷을 입은 가가가 선언하는 'Category is Dance or die'는 Ball Culture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이번 주제는 춤추거나 아니면 죽거나'라는 신호.
5. 성적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71719,#171719><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171719,#171719><color=#fff> Abracadabra
차트 기록 ||
차트 기록 ||
<rowcolor=#fff> 차트 | 순위 | 출처 |
| 13위 | [20] |
| 3위 | [21] |
| 343,088,395회 | |
[[유튜브| 유튜브 | 126,623,133회 | |
- 아이튠즈 차트에서 52개국 1위를 달성하였다.
- 공개 후 24시간 동안 유튜브 조회수 약 680만회를 기록하여 "Die With A Smile"의 540만회를 제치고 MAYHEM Era 최고기록을 달성하였다.
- 발매 첫 날 글로벌 Spotify에서 4,917,202회 스트리밍으로 8위로 진입하여 가가 솔로곡중 가장 높은 데뷔 순위를 기록하였다.
- 발매 2일차, 글로벌 Spotify에서 5,951,162회 스트리밍으로 5위로 상승하였다.
- 발매 3일차, 글로벌 Spotify에서 6,184,120회 스트리밍으로 5위를 유지하였다.
- 발매 5일차 글로벌 Spotify에서 8,450,162회 스트리밍으로 2위로 상승하였다.[22] 미국 차트에선 2,133,314회 스트리밍을 획득하며 1위로 상승하였다.
- 주중 발매로 인해 4일치 성적만 차트에 반영된다는 점, 미국 라디오에 2월 11일날 보내진다는 점 때문에 첫주 차트 순위는 기대보다 낮을 가능성이 높다.
6. 라이브
Abracadabra Saturday Night Live |
- SNL 라이브에서 한국 나이 기준 올해 40세가 된 레이디 가가임에도 여전한 퍼포먼스 기량을 선보였다.[24] 뮤직비디오 퍼포먼스와 거의 동일한 안무로 무대를 구성했다. 동작이 굉장히 역동적인 와중에도 음정하나 흔들리지 않고 올 라이브로 진행하였다. 반응은 압도적 호평.
Abracadabra The Howard Stern Show |
- 하워드 스턴 쇼에서는 피아노와 기타로 잔잔하게 편곡한 버전을 선보였다. 원곡과는 180도 다른 분위기가 이색적.
7. 비하인드
Abracadabra Behind the Scenes |
8. 리듬 게임 수록
8.1. 저스트 댄스 2026 에디션
9. Abracadabra (Gesaffelstein Remix)
<keepall> '''Abracadabra (Gesaffelstein Remix) 3:31 Lady Gaga''' |
|
10. 여담
- 2024년 7월 파리에서 팬들을 위해 "Abracadabra" 일부분을 직접 들려주기도 했다.[25] 이 때문에 팬들은 MAYHEM 공개 전부터 해당 곡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26]
- 곡 후반부에 오페라의 유령(뮤지컬)의 넘버 오페라의 유령(노래)를 오마주한 가사가 등장한다. 가사는 phantom로 시작해 원곡을 생각나게 하는 구성이다.
- 오페라의 유령 후반부의 부분 'The phantom of the opera is there, inside my mind(오페라의 유령은 거기, 나의 마음속에)'='Phantom of the dance floor, come to me(댄스 플로어의 유령이여, 내게로 오라)'
- 'Sing for me(나를 위해 노래해)'='Sing for me a sinful melody(나를 위해 타락한 선율을 불러줘)'
- 마지막 곡의 하이라이트인 고음 부분에 대응하는 Ah, ah, ah(아, 아, 아), 단 Abracadabra에서는 원곡과 달리 저음이다.
[A] #[D] "Lady Gaga Debuts New Single ‘Abracadabra’ & Music Video at 2025 Grammys", 빌보드.[3] #[4] 존 맥기오크, 스티븐 세버린[B] #[6] #[7] #[D] [9] 애플 뮤직[10] #[A] [C] 피치포크[13] 여기서 "폭발적인"은 일렉트로닉 요소가 노래에 많이 들어가 전체적으로 소리가 큰 현상을 지칭하는 단어로 해석된다.[B] [C] [B] [17] "an eruption of chaos and movement"[18] 메이헴(Mayhem)은 영어로 개판, 아수라장, 난장판 등을 뜻한다.[19] #[20] #[21] #[22] 1위는 브루노 마스와 함께한 싱글 "Die With A Smile", 이를 통해 가가는 글로벌 스포티파이 1,2위를 석권하게 되었다.[23] #[24] 2017년에 진행한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도 15분 내내 립싱크 하나 없이 격한 안무와 함께 무대를 올 라이브로 진행한 이력괴력이 있다.[25] 처음 공개한 곡이 "Abracadabra", 그 다음 공개한 곡이 "Perfect Celebrity"다.[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