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폴리탄 애틀랜타 급행교통국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MARTA) | |
설립일 | 1965년 |
운행 개시 | 1972년(버스) 1979년(도시철도) 2014년(노면전차) |
영업 지역 |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
운임 | $2.50[1] $1.00 Streetcar |
노선 수 | 4(도시철도) 1(노면전차) 100(버스) |
역 수 | 38(도시철도) 12(노면전차) |
기업분류 | 공공법인[2] |
소유주체 | 애틀랜타시 |
대표자 | 제프리 A. 파커(회장, CEO) |
itsmarta.com |
[clearfix]
1. 개요
Metropolitan Atlanta Rapid Transit Authority (MARTA)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대도시권의 교통국이다. 도시철도, 노면전차, 버스, 교통약자 보조교통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다.
운영 지역은 애틀랜타 광역권의 풀턴, 그윈넷, 디캘브, 클레이턴, 그리고 콥 카운티. 콥 카운티는 MARTA 설립에 동참하지 않았지만 해당 지역에 소재한 식스 플래그 오버 조지아와 컴벌랜드 몰로 2개의 버스 노선이 운행한다.
MARTA를 이용하려면 Breeze 2.0 앱을 설치하거나 Breeze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Breeze 2.0 앱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에서 직접 모바일 티켓을 구매하고 QR 코드를 스캔하여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다. 앱에서 즉시 충전이 가능하고, 잔액과 사용 내역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개찰구에서 앱을 켠 다음 QR 코드를 찾아서 찍어줘야하는 점이 불편한 점중 하나로 꼽힌다. 다른 대도시인 뉴욕의 경우는 신용카드만 있으면 타고 다닐 수 있는 것에 비하면 매우 불편한 시스템 중 하나.
2. 역사
3. 서비스
3.1. 도시철도
MARTA 레일 MARTA Rail | |
개업년도 | 1979년 |
영업 거리 | 77km |
노선 수 | 4 |
역 수 | 38 |
운임 방식 | 균일 요금 |
궤간 | 1435mm |
전기 방식 | 제3궤조 직류 750V |
신호 방식 | ATS |
차량 수 | 307량 |
운영 지역은 애틀랜타 광역권의 풀턴, 디캘브, 그리고 클레이턴 카운티. 총 4개 노선(레드, 블루, 골드, 그린)으로 구성되며, 애틀랜타 시내와 주요 교외 지역을 연결한다. 시내지역은 지하철로 운행된다.
레드 라인은 북쪽으로는 노스 스프링스(North Springs)에서 남쪽으로는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까지 이어지며, 애틀랜타 중심업무지구(CBD)와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주요 노선이다. 블루 라인은 동서 방향으로 운행되며, 해밀턴 E. 홈스(Hamilton E. Holmes)에서 인디언 크리크(Indian Creek)까지 이어진다. 골드 라인은 레드 라인과 대부분 노선을 공유하며, 도라빌(Doraville)까지 운행된다. 그린 라인은 서쪽으로는 밴 애쉬(Vine City)에서 동쪽으로는 에지우드-캔들러 파크(Edgewood-Candler Park)까지 운행되며, 블루 라인과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MARTA 도시철도는 애틀랜타 시내의 중심인 파이브 포인츠(Five Points) 역에서 모든 노선이 교차하며, 이곳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 내 대부분의 역에는 MARTA 버스 노선과 연결되는 환승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광역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한다.
그윈넷과 콥 카운티는 MARTA 도시철도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일부 MARTA 버스 노선이 해당 지역과 연결된다. 특히, 콥 카운티에는 MARTA 버스가 운행하지 않지만, CobbLinc(콥 카운티 대중교통)와의 연계를 통해 애틀랜타와 교외 지역 간 이동이 가능하다. 그윈넷 카운티는 자체 버스 시스템인 Gwinnett County Transit(GCT)을 운영하며, 일부 노선이 MARTA와 환승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3.2. 노면전차
운영 지역은 애틀랜타 다운타운, 2014년 개통된 노면전차 시스템으로, 총 4km(2.7마일) 길이의 단일 순환노선을 운행한다.
노선은 다운타운 애틀랜타를 중심으로 운행되며, Five Points 역을 비롯해 조지아 주립대학교, 센테니얼 올림픽공원,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국립역사공원 등 주요 명소를 연결한다.
현재 애틀랜타 스트리트카는 MARTA가 운영을 맡고 있으며, 향후 노선 확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3.3. 버스
MARTA Bus운영 지역은 애틀랜타 광역권의 풀턴, 디캘브, 그리고 클레이턴 카운티. 도시철도와 함께 애틀랜타의 주요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성하며, 100개 이상의 노선을 통해 광범위한 지역을 운행한다.
MARTA 버스는 지하철역과 연결되는 환승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철도역과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다. 주요 노선은 애틀랜타 도심, 공항, 대학 캠퍼스, 주요 상업 및 주거 지역을 연결하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배차 간격이 더욱 짧아진다.
BRT(간선급행버스) 개념을 도입한 급행 노선을 운영하며, 2020년대 들어 전기 및 친환경 버스를 도입하는 등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윈넷과 콥 카운티는 MARTA 버스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지만, Gwinnett County Transit및 CobbLinc와 일부 환승 지점을 공유하며, 애틀랜타 대도시권에서의 시내 접근성을 원활하게 해준다.
4. MARTA Police
|
MARTA Police Department |
MARTA 경찰(MARTA Police Department, MPD)은 MARTA 시스템 내의 안전과 보안을 책임지는 경찰 조직으로, 1977년에 설립되었다.
MARTA 경찰은 MARTA 도시철도, 버스, 노면전차(Atlanta Streetcar), 그리고 역 시설 및 차량기지의 보안을 유지하며, 범죄 예방과 응급 대응을 담당한다. 모든 경찰관은 조지아주에 등록된 경찰관으로서 훈련을 받은 후 배치되며, 법 집행 권한을 가지고 있다.
MARTA 경찰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순찰 및 범죄 예방: 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차량 내부 및 외부 순찰
- 응급 상황 대응: 테러 위협, 폭력 사건, 실종 신고 등에 대한 즉각적 대응
- 대중교통 법규 집행: 무임승차, 기물 파손, 소란 행위 등에 대한 단속
- 안전 캠페인 운영: 승객 대상 범죄 예방 및 신고 독려 활동
MARTA 경찰은 24시간 운영되는 관제 센터를 통해 감시 카메라 시스템과 긴급 신고 시스템을 활용하며, 승객들은 MARTA See & Say 앱을 통해 신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