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21:04:46

MARC Train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북동부
뉴잉글랜드 매사추세츠 보스턴 (보스턴 지하철 · MBTA 커뮤터 레일)
코네티컷 하트퍼드 라인 · SLE
중부 대서양 뉴욕 뉴욕 (뉴욕 지하철 · 스태튼 아일랜드 철도 · NJTRO · 롱아일랜드 철도 · 메트로 노스 철도 · PATH)
버팔로 메트로 레일 · 로체스터 지하철
뉴저지 NJTRO · PATH · 뉴어크 경전철 · 리버 라인 · HBLR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SEPTA · PATCO) · 피츠버그 경전철
남부
남부 대서양 메릴랜드 볼티모어 (볼티모어 지하철 · MARC · 볼티모어 경전철)
워싱턴 D.C. 워싱턴 메트로 · DC 스트리트카
버지니아 VREX · 더 타이드
노스캐롤라이나 샬럿 경전철
조지아 애틀랜타 (MARTA 레일 · 애틀랜타 스트리트카)
플로리다 마이애미 (마이애미 메트로레일 · 트라이레일) · 선레일 · TECO 라인 스트리트카
동남 중앙 테네시 NRTX · 멤피스 트롤리
서남 중앙 아칸소 리버 레일 스트리트카 · 포트 스미스 트롤리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 노면전차
오클라호마 오클라호마시티 노면전차
텍사스 댈러스-포트워스 (댈러스 경전철 · 댈러스-포트워스 커뮤터레일) · 캐피탈 메트로레일
엘파소 노면전차 · 휴스턴 메트로레일
중서부
동북 중앙 미시간 Q라인
오하이오 신시내티 (신시내티 벨 커넥터 · 신시내티 지하철) · RTA · 클리블랜드 경전철
위스콘신 밀워키 노면전차 · 케노샤 노면전차
일리노이 시카고 (시카고 전철 · Metra · NICD)
서북 중앙 미네소타 MNRX · 미니애폴리스 경전철
미주리 캔자스시티 노면전차 · 세인트루이스 메트로링크
서부
산악 콜로라도 덴버 (RTD · 플레이트 밸리 트롤리) · 포트콜린스 시영 철도
뉴멕시코 뉴멕시코 레일러너 익스프레스
유타 프론트러너 · 솔트레이크시티 경전철
애리조나 밸리 메트로 · 선 링크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모노레일
태평양 워싱턴주 사운더 커뮤터 레일 · 시애틀 (시애틀 경전철 · 시애틀 노면전차) · 이사콰 밸리 트롤리
오리건 WES 커뮤터 레일 · 포틀랜드 경전철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SF Muni Metro · BART · ACE · 칼트레인 · SMART)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메트로링크)
샌디에이고 (스프린터(경전철) · 샌디에이고 코스터 · 샌디에이고 트롤리)
새크라멘토 경전철 · VTA 경전철
하와이 스카이라인
해외 영토·준주
카리브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도시철도
※ : 미국에는 한국의 수도권 전철, 동남권 광역전철처럼 한 도시권 내의 광역, 도시철도 시스템을 하나로 묶어 지칭하는 용어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취소선 : 취소 및 폐지된 체계, 밑줄 : 미개통 체계
}}}}}} ||
MARC Train
Maryland Area Regional Commuter
노선도
파일:external/mta.maryland.gov/Marc_Map_and_Legend_UPDATED_2%20(1).jpg
사진 (저작자:Jersey Mike)
파일:external/4.bp.blogspot.com/MARC_24-Baltimore.jpg
파일:MARC train 로고.svg
리포팅 마크 MARC
개업 년도 1984년
소유 Maryland Transit Administration[1]
영업 지역 미국 메릴랜드볼티모어
워싱턴 D.C.
선로 궤간 1,435mm
영업 거리 301km
노선 수 3
역 수 42
웹사이트

1. 개요2. 노선 목록

1. 개요

미국 메릴랜드볼티모어워싱턴 D.C. 광역권의 커뮤터 레일 시스템. 버지니아 급행철도(VREX)가 워싱턴 D.C. 남부를 운행한다면 이쪽은 워싱턴 D.C. 북부를 운행한다.

암트랙 동북 간선상의 수많은 커뮤터 레일 운영사 중 하나로 동북 간선 포화의 주범 중 하나. 거기에 델라웨어 주 Newark까지 연장할 생각을 하고 있어 이게 완료되면 SEPTA와 연결되어 뉴욕에서 워싱턴 D.C.까지 암트랙을 타지 않고 커뮤터 레일만으로 가는게 가능해진다(...) 이쯤 되면 미국판 서울-부산 시내버스 완주급 기행.
노선 운영은 봄바르디어 트랜스포트, 암트랙, CSX Transportation에 위탁하여 운행한다. 이는 메트라와 비슷한 형태. 다만 메트라는 BNSF랑 UP빼면 다 나가떨어져서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다.

차량은 Penn Line 투입 목적으로 사용하는 EMD AEM-7, 알스톰 HHP-8 전기 기관차와 비전화 구간 투입 용도의 EMD GP40과 MPI MP36PH를 사용한다. 객차는 단층 객차와 복층 객차의 비율이 반반 수준.

2. 노선 목록

모든 노선은 워싱턴 유니언 역을 기점으로 한다.Martinsburg 역 - Rockville 역 - 워싱턴 유니언 역. 봄바르디어 트랜스포트에서 위탁 운영한다. 주말에는 운영하지 않는다.
Perryville 역 - 볼티모어 펜 역 - BWI 마샬 역 - 워싱턴 유니언 역. 암트랙의 동북 간선을 따라가는 노선으로 암트랙에서 위탁 운영한다. 볼티모어 워싱턴 국제공항 에 들어가는 노선 중 하나. 세 노선 중 가장 이용객 수, 운행 빈도가 높다.
볼티모어 Camden 역 - Greenbelt 역 - 워싱턴 유니언 역. 워싱턴에서 볼티모어까지 가는 것은 똑같지만 볼티모어 펜역이 아닌 Camden역에서 종착한다. 해당 역과 볼티모어 펜 역 간 경전철이 운행 중. Brunswick line과 마찬가지로 주말에는 운영하지 않는다.
[1] 약칭 MTA. 뉴욕MTA와는 다르다.[2] 뉴저지캠든과는 다른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