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07:55:14

Pe-8

ANT-42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군 항공병기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항공기
전투기 복엽 전투기 <colbgcolor=#fefefe,#191919>I-15, I-15bis, I-153
전투기 I-16 이삭, Yak-1, Yak-7, Yak-9, Yak-3, MiG-1, MiG-3, LaGG-3, La-5, La-7, La-9A, La-11A, Pe-3
폭격기 경폭격기, 공격기 Po-2, Il-2, Il-10, Su-2, Su-6, Ar-2, Pe-2, SB, Yak-2, Yak-4
中폭격기 DB-3, Tu-2, Yer-2
重폭격기 TB-3, Pe-8, Tu-4A, Fw 200A, Do 215m
랜드리스 항공기 미국 지원 항공기 P-40C, P-40E-1, P-39 '코브라', P-63 킹코브라, P-47, P-51m, A-20, B-25, B-24, C-47, T-6, GST 카탈리나
영국 지원 항공기 허리케인, 스핏파이어, 호커 타이푼m, 햄든, 스털링, 모스키토
공중항공모함 즈베노 프로젝트
수상기 Ar 196
노획 기체 나카지마 I-97, Fw 58, Fw 190D, Bf 109G, Me 262, Fi 156, B-17, B-29, Ba 349, Ar 196, Si 204, Me 410 B-2/U4, Ju 352A
기타 항공기 및 시제기 I-15GK, I-153GK, I-15bis TK, I-153TKm, I-15bis DM, I-153DM, I-153UD, I-153P, UTI-26, TB-6, I-180, I-185, Il-20, LaGG-1, Yak-15A, MiG-9A,La-15, La-152, Su-9(1946), TIS MA, BI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소련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m:소수 도입, 윗첨자A: 전후 도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로고 투폴레프.png
{{{#!wiki style="margin: 0 -10px;"
{{{#29387d,#8091d8 {{{#!folding [ 투폴레프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민항기
터보제트 터보팬 터보프롭
<colbgcolor=#ffffff,#191919> 쌍발기 Tu-104 Tu-124Tu-134Tu-204Tu-334 -
3발기 - Tu-154 -
4발기 Tu-144Tu-244 Tu-114
전투기
프로펠러기 I-15, I-15bis, I-153
제트기 Tu-128
폭격기
프로펠러기 TB-6SBTB-3Tu-2Pe-8Tu-4Tu-95
제트기 Tu-16
초음속기 Tu-22Tu-22MTu-160
대잠초계기
프로펠러기 Tu-142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xternal/mig3.sovietwarplanes.com/pe8inflight.jpg
Petlyakov Pe-8, Петляков Пе-8

1. 개요2. 상세3. 실전4. 제원5. 참고 링크6. 대중매체7. 프라모델8. 둘러보기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때 개발된 소련 공군의 4발 중(重)폭격기. 소련군은 이전에도 TB-3 같은 4발 중폭격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2차대전 때 소련에서 개발된 4발 중폭격기로는 이게 유일하다.

2. 상세

30년대 중반즘 해서 소련이 보유한 투폴레프 TB-3 4발 중폭격기가 구식이 되자 소련 공군에서 TB-3의 두배의 성능을 낼 수 있는 폭격기를 요구했고 1934년 7월에 투폴레프 설계국의 페틀랴코프가 개발에 착수했다. ANT-42로 명명되었다가 후에 TB-7로 명명이 되고 또 Pe-8로 명명되었다. 투폴레프와 페틀랴코프는 TB-3의 개발에도 참여했었다.

파일:external/mig3.sovietwarplanes.com/ANT-42-prototype-1937-01.jpg
ANT-42의 모습.

첫 프로토타입의 처녀비행은 1936년 12월 27일에 했었지만 몇년동안 더이상의 개발에 진전이 없었다. 스탈린이 1937년 10월에 투폴레프와 페틀랴코프를 둘 다 굴라그보내버렸기 때문. 그래서 두번째 프로토타입의 제조는 36년 4월부터 했지만 비행은 1938년 7월 16일에 있었다.

엔진의 수급과 성능 문제가 속을 썩여서 밍기적대다가 1940년대에 다시 본격적인 생산에 착수했다.

이때 개발된 바리에이션중 항공 디젤 버전이 둘 있는데, 그중 하나가 Yer-2에 쓰인 엔진과 같은 엔진을 달고 있었다.[1]

페틀랴코프가 1942년에 Pe-2 추락사고로 죽자 그를 기려 폭격기를 Pe-8로 다시 명명했다. 총 93대가 생산되었다고. 이중에는 특수수송기 버전인 Pe-8ON과 폭탄창을 들어내고 내부를 호화롭게 꾸민 강철의 대원수 전용기 버전이 1대 있었다.

소련의 시궁창적인 상황과, 비행기 추락 사고로 안타깝게 사망해버린 페틀랴코프 때문에 생산대수도 적고 제대로 운용되지 못했지만 1942년까진 다른 4발 폭격기와 비교하면 꿀리지 않거나 폭장량과 항속거리에서 더 우월한 매우 강력한 기체였다. 독일은 전쟁이 끝나는 그날까지 4발 폭격기를 개발해놓고도 배치하지 못했다.[2] 일본은 개발을 했지만 생산하지 못했으며 이탈리아 정도나 배치가 가능했다.

후기형에 가면 (La-5에도 장착된)쉬베초프 ASh-82를 장착한 형태가 생산되었다. 6톤의 폭장량으로 5,600km의 항속거리를 가졌고 소련의 항공기술로는 매우 강력한 기체였으나 역시 페틀랴코프의 사망 때문에 일체의 개량계획이나 후속기 개발이 취소되고 B-29의 카피인 Tu-4가 생산되게 된다.[3]

특이하게도 주익 밑, 각 엔진의 후방에도 유인 포탑이 하나씩 있었다.

3. 실전

바르바로사 작전 때 참여했다. 첫 실전은 1941년 8월 10일에 TB-7 8대가 Yer-2 폭격기들과 함께 베를린을 폭격하러 갔지만 한 대는 바로 추락하고 네 대만이 베를린에 도착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이후 복귀중 핀란드에 한 대, 에스토니아에 한 대가 불시착했다. 귀환을 한 기체는 단 두 대 뿐이었다.

참고로 에스토니아에 불시착한 기체는 소련공군 제 81 장거리폭격기 사단의 비행단장 기체로, 베를린으로 가던길에 발트해 한가운데에서 같은편 해군 전투기 I-16에게 오인사격당해 엔진 하나를 잃었고, 감히 사단장팀킬시도했다. 거기다가 하필 베를린에서 대구경 대공포(당시 독일측 주력 88mm로 추정)에 연료탱크가 직격당했다.이쯤되면 재수 드럽게 없다. 다행히 불이 붙거나 하진 않았지만 덕분에 기지복귀는 꿈도 못꿀 정도로 연료가 다 새서 겨우 에스토니아 방향 전선을 넘어 기지 부근에 불시착했다고 전해진다. 참고로 이 사단장, 바로 작전 직후에 만난 스탈린에게 엔진을 물어뜯어 버리겠다고 면전에서 대놓고 엔진에 저주를 퍼붓고, 기지 부근에 봉수대 놔달랬다가 곧바로 해임당한 미하일 보도피아노프다.

그 외에도 여러번의 추가 베를린 폭격작전과 2차 표적들에 대한 폭격작전에도 참여했었다.

특히나, FAB-5000을 떨구는 작전은 유일하게 Pe-8만이 가능했기에, 이걸 쓰는 작전은 죄다 Pe-8이 사실상 강제로 수행해야 했다. 쾨니히스베르크의 해안요새를 처음 실전 투입된 FAB-5000으로 줘팬 것이나, 43년 6월 4일, 7월 3일, 19일에 FAB-5000을 들고 오렐의 철도역을 까부순 것[4], 7월 12일에 쿠르스크에서 독일군 머리 위로 FAB-5000을 두번 투하한 것, 43년도에 벨라루스 모길레프에 투하된 것[5], 44년 핀란드 대공습 당시 헬싱키에 두발이 사용된 것, 마지막 대전기 실전 투입으로 우크라이나 SSR 브라일로프(Браилов)[6] 역에 투하되어 일대 철도운행을 싹 올스톱 시켜버린 것이 있다.

4. 제원

(Pe-8/AM-35A 기준)
승무원 8 ~ 12명
전장 23.59m
전폭 39.13m
높이 6.20m
익면적 188.66제곱미터
공허중량 18,571kg
만재중량 27,000kg
최대 이륙중량 35,000kg
엔진 4× 미쿨린 AM-35A 수랭식 레시프로, 기당 추력 1,340마력
최대속도 443km/h
순항속도 300km/h
작전반경 3,600km
항속거리 6,600km
실용 상승한도 9,300m
상승률 5.9m/s
익면하중 제곱미터 당 143.5kg
추중비 140W/kg
무장 12.7 mm 기관총, 2× 7.62 mm 기관총, 2× 20mm 기관포
최대 5,000kg 탑재 가능

5. 참고 링크

6. 대중매체

워 썬더에 등장한다. 3랭크 첫번째로 4발 중폭격기로 등장. 다량의 소형 항공폭탄들(100kg 40발, 250kg 12발, 500kg 6발, 1000kg 4발 중 하나) 또는 크고 아름다운 5톤짜리 FAB-5000[7] 항공폭탄 1발을 탑재할 수 있다. 저놈이 아케이드 전투에 등장해 고도를 낮추며 당신의 라인으로 다가온다면 당신이 근접신관 단 양용자주포같은 놈이 아니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서둘러 전력으로 도망가라. 5080kg짜리 폭탄인데 작약량이 5041kg나 되어 파편 비산 범위가 무려 374미터에 달하므로 직경 700미터 이내의 경장갑은 다 폭사당하고 중형전차, 현대전 경장갑 장비들도 이 범위 내에서 생존을 보장할 수 없으며, 기갑 파괴 범위도 105미터나 되며, 폭압을 고폭탄 관통력으로 환산하면 351mm나 되는지라 마우스급 떡장 초중전차나 현대전 주력전차도 50미터 안에는 확정적으로 킬이 따이는 무서운 위력을 지닌 폭탄이다.[8] 거점전에서 적이 거점에 옹기종기 모여 있을 때 폭탄을 거점 한가운데에 던지면 4~7킬씩 쓸어담아 폭격 두세 번 만에 15킬이나 2500SP를 달성해 핵폭격기 호출로 게임을 터뜨리는 미친 짓이 가능해질 정도. 다만 항공-지상간[9]에는 팀킬 보호가 없기 때문에 아군이고 뭐고 싹 날려버릴 수 있어 폭발범위를 잘못 계산한다면 일명 파란 적군이 되어 2팀킬로 해당 게임에서 강제로 추방당하는 상황도 자주 벌어진다.
해상전에서도 일반 철갑탄과는 궤를 달리하는 중량인 5톤은 대충 던져도 구축함이고 중순양함이고 뭐고 다 박살낸다.(...) 항공모함이나 전함도 맞으면 치명상 확정. 다만 해상전은 방공망이 워낙 두꺼워서 대공포 맞기 십상이라 성공 확률은 낮다.
참고로 Pe-8은 다른 소련 경폭격기들처럼 방어무장이 빈약하지 않다. Pe-3 같은 만만한놈 생각하고 뒤에서 정직하게 달려들지 말자. 방어기총 20mm 쉬박, 12.7mm 베레진에 비명횡사 당한다. 특히 하부 사수쪽은 베레진 기관총이라서 잘못 접근했다간 즉각발화소이탄이 한가득 쏟아질것이다.[10][11]

또, 워썬더 Pe-8 동계위장 기준 수직미익 후방기총석에는 스탈린 초상화가 놓여져 있다.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에서 연합군 중폭격기 트리에 등장한다. 워썬더와 달리 여기서는 방어무장이 딱히 좋게 표현되지 않았고 폭장량도 낮게 나와서 30레벨의 B-17에게도 밀렸다.

스트라이커즈 1945의 러시아 스테이지에서 중간 보스 포지션으로 한 대 나온다. 격추하면 폭탄 아이템이 나온다.

R.U.S.E.에서 소련군 진영Heavy Bomber로 등장하며 이름도 "PE-8" 그대로 등장한다. 공격명령시 융단폭격을 하기 때문에 한대로 폭격해도 상대 진영에게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막대한 자원을 투자해서 대량생산하여 편대비행으로 공격명령을 내릴시 적 보병이나 적의 기지(자원기지포함)건물에다 시원한 엿을 선물할 수 있다.

PE-8은 Airfield 기지에서 자원 $35로 뽑을 수 있다.

횡스크롤 플래시게임 Endless War 시리즈 중 3대 전차전 연속작 그 두번째로 독소전 소련군 배경인 Endless War 6에도 지원으로 나온다. 싸우다 다굴맞아서 위험할때 부르면 워썬더에서처럼 무자비한 무차별 융단폭격으로 일대를 초토화하고 지나가는 이녀석의 무시무시한 그림자를 볼수있다.

7. 프라모델

즈베즈다에서 내놓은 모델이 존재하는데, 박스 일러스트들 중에는 그 악명높은 FAB-5000NG를 어느 도시에 떨구는 엄청난 장면이 그려져 있다.

8.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이 엔진은 전후 IS-7과 신예 어뢰정들에 장착된 모델인 M-50T 모델에서 출력이 1,050hp로 다운그레이드 되었다.[2] 전황을 바꾸는 크고 아름다운 비밀병기를 좋아하는 독일 특성상 6발 폭격기까지 개발은 했다.[3] 페틀랴코프가 만든 기체가 Pe-2같이 소련의 열등한 항공기술로 어떻게 만들었나 믿기지 않는 고성능의 기체였다. 심지어 Pe-2는 숙청당한 뒤 굴라그에서 설계한 기체였다![4] 6월 4일에 쓰인 1발과 7월 3일의 2발로 각각 선로와 연료고를 날려버렸으며, 7월 19일 작전에선 두 대가 이걸 싣고 가서는 100여 미터 정도의 선로와 다수의 열차를 일거에 박살냈다.[5] 벨라루스인 보조경찰과 게슈타포가 있던 건물을 날려버렸다는데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6] 현 명칭 브라일리우(Браїлів).[7] 혁명 5톤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그 폭탄 맞다.[8] 시가지일 경우 투하된 지점 근처 건물이나 구조물은 싸그리 사라져 평탄화가 된다.[9] 리얼리스틱[10] 즉각발화소이탄은 사실상 소구경 고폭탄과 다름없기 때문에 화력은 차고도 넘친다.[11] 이거에 맞았는데 운나쁘면 날개가 터져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