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의 기관차 (열차번호일반 · 열차번호화물 · 차량번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관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디젤기관차 | |
<colcolor=white> 특수 | 9100호대 · D형 | |
소형 | 2000호대 · 2100호대 | |
중형 | 3000호대 · 3100호대 · 3200호대 · 4000호대 · 4100호대 · 4200호대 · 4300호대 · 4400호대 | |
대형 | 5000호대 · 6000호대 · 6100호대 · 6200호대 · 6300호대 | |
특대형 | 7000호대 · 7100호대 · 7200호대 · 7300호대 · 7400호대 · 7500호대 · 7600호대 · | |
전기기관차 | ||
화물 | 8000호대 · 8500호대 | |
여객 | 8100호대 · 8200호대 | |
기타 | 데로형 | |
증기기관차 | ||
표준궤 | 모가 · 4륜 · 푸러 · 아메 · 터우 · 발틱 · 고로 · 사타 · 소리 · 마터 · 파시 · 미카 · 901호 | |
협궤 | 630호대 · 660호대 · 700호대 · 810호대 · 900호대(혀기11) · 혀기 | |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 전동차 · 발전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디젤기관차 | |
<colcolor=white> 소형 | 2000호대/현황 · 2100호대/현황 | |
중형 | 3000호대/현황 · 3100호대/현황 · 3200호대/현황 · 4000호대/현황 · 4100호대/현황 · 4200호대/현황 · 4300호대/현황 · 4400호대/현황 | |
대형 | 5000호대/현황 · 6000호대/현황 · 6100호대/현황 · 6200호대/현황 · 6300호대/현황 | |
<nopad> 특대형 | 7000호대/현황 · 7100호대/현황 · 7200호대/현황 · 7300호대/현황 · 7400호대/현황 · 7500호대/현황 · 7600호대/현황 | |
전기기관차 | ||
화물 | 8000호대/현황 · 8500호대/현황 | |
여객 | 8100호대/현황 · 8200호대/현황 | |
증기기관차 | ||
<nopad> 표준궤 | 푸러형/현황 · 미카형/현황 · 사타형/현황 · 마터형/현황 | |
협궤 | 혀기형/현황 | |
한국철도공사 소속 디젤동차 현황 보기 · 전동차 현황 보기 · 발전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9100호대 디젤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Class 9100 Diesel Locomotive | }}} | ||
| ||||
차량 정보 | ||||
구분 | 입환용 디젤기관차 | |||
기관형식 | DMH17H[1] | |||
구동방식 | 기계식[2] | |||
도입 | 1969년 | |||
생산량 | 2량 | |||
대차 형식 | Bo-Bo | |||
운행기간 | 1969 ~ 2007년 | |||
제작사 | 일본차량제조 | |||
차량 제원 | ||||
전장 | 10,400㎜ | |||
전폭 | -㎜ | |||
전고 | -㎜ | |||
궤간 | 1,435㎜ | |||
중량 | 33.9t | |||
축중 | 8t | |||
신호 | - | |||
제동 방식 | 공기제동 | |||
기어비 | - | |||
최고속도 | 설계 | 60㎞/h | ||
영업 | 56㎞/h | |||
출력 | 650hp |
1. 개요
한국철도공사의 입환용 디젤 기관차로 단 2량만 도입되었다.2. 도입 배경
|
1992년의 9102호. 여명의 눈동자에 출연한 모습이다. |
1974년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도입 후에 901, 902호로 개번되다가 1994년 901호 증기기관차가 도입되며 9101, 9102호로 최종개번된다. 현재까지도 9100호대로 불리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 도입 후 구내에서 입환용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1972년 중앙선 산업철도가 개통되며 8000호대 전기기관차가 도입되었는데, 그 차량을 서울철도차량정비창에서 정비 및 검수를 맡게 된다. 그러나 정비창 구내에 전차선이 설치되지 않아 전기 기관차의 자력운전이 불가능했기에 기관차를 밀어놓는 데 9100호대가 큰 역할을 하게 된다.
3. 현황
차호 | 도입 | 퇴역 |
9101 | 1969년 | 1996년 이전 |
9102 | 2007년 |
- 정식운행이 아니라 입환용 차량이었기 때문에 현재는 단 한대도 남아 있지 않다.
- 9101호는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서 이용되었는데, 차량관리단의 넓은 구내와 달리 입환기가 차량들을 물어놓을 공간은 넓지 않아 9102호보다 1년 이른 2006년에 폐차되었다. 사진이 어째서인지 이 녀석은 단 한 장도 남아있지 않은데, 왜 그런지는 불명. 그러나 새로 밝혀진 바로는 1996년 이전에 차적삭제 후 2006년 폐차된 것으로 밝혀졌다!
- 9102호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용산역 시절)에서 38년간 입환작업에 사용되었으나, 1984년에 반입된 NDC와 함께 2007년에 폐차되었다.
4. 저조한 스펙
본선운행용이 아닌 구내입환용 임시기관차였던 만큼 스펙이 매우 낮다. 9100호대의 최대출력인 650 HP는 가장 작은 체급의 디젤기관차인 2000호대의 출력 800 HP보다 낮았으며, 증기기관차의 출력[3]보다도 더 약했다. 다만 이 정도면 웬만한 고속버스보단 높은출력이다.[4]
게다가 최고속력은 이 기관차보다 2년 정도 늦게 도입된 7500호대보다 압도적으로 느리다.[5] 그래서인지 본선 영업운전은 불가능했다.
5. 이 기관차가 보유한 타이틀
위의 저조한 스펙에도 불구하고 이 기관차는 몇 가지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6. 유사한 형태의 기관차
7. 관련 문서
[1] 키하 52형 동차의 엔진을 재활용했다.[2] 엔진의 플라이휠 축이 구동축에 바로 연결되는 구조.[3] 대략 1000 HP[4] 현재 전체 통틀어 한국내에서 운행하는 고속버스 중 출력이 가장 높은 버스는 BX212와 FX212 슈퍼스타이며, 출력이 480마력이다. 심지어 이 차량들은 기본으로 장착되는 FPT Cursor11 엔진의 480마력이 기본이라는 점이다. 두번째는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에 장착되는 파워텍 440마력 엔진, 세번째는 FPT Cursor 11 420마력 엔진이 장착되는 FX120, FX116이다. 트럭으로 따지면 스카니아 R,S 시리즈의 4개의 V8 엔진 중 상위인 DC16 122 V8 엔진이 660 마력이다. 이보다 더 높은 출력을 가진건 스카니아 770S, 볼보 FH 780 정도이다.[5] 고작 60 km/h에 불과하다. 7500호대(105 km/h)보다도 더욱 느려터졌으니 더 할 말이 없다. 또한 7500호대의 최고속력인 105 km/h는 화물용으로 제작되어 강한 견인력을 필요로 했기에 기어비를 조정하여 도입한 것으로, 여객용 디젤기관차들(최고 150 km/h)과 광역전철 전동차(최고 110 km/h)보다 약간 느린 속도지만 도입(1971년)당시에는 굉장히 빠른 편이었다.[6] 이 차량 외에 나머지는 전부 미국산이거나 미국산 차량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제작하였다.[7] 기관차가 아닌 디젤동차(일반형)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