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1 14:13:47

2012 런던 올림픽/축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2 런던 올림픽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12 런던 올림픽/대회 진행
,
,
,
,
,

파일:오륜기(여백X).svg 역대 올림픽 축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02020,#DFDFDF> 1회 2회 3회 4회 5회
아테네
(축구 종목 제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1900
파리

(아마추어 클럽대항전)
1904
세인트루이스

(아마추어 클럽대항전)
1908
런던
1912
스톡홀름
<rowcolor=#202020,#DFDFDF> 6회 7회 8회 9회 10회
베를린
(제1차 세계 대전)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축구 종목 제외)
1920
안트베르펜
1924
파리
1928
암스테르담
<rowcolor=#202020,#DFDFD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헬싱키
(제2차 세계 대전)
런던
(제2차 세계 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1936
베를린
1948
런던
1952
헬싱키
<rowcolor=#202020,#DFDFDF>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1956
멜버른
1960
로마
1964
도쿄
1968
멕시코시티
1972
뮌헨
<rowcolor=#202020,#DFDFDF>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1976
몬트리올
1980
모스크바
1984
로스앤젤레스
1988
서울
1992
바르셀로나
<rowcolor=#202020,#DFDFDF>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96
애틀랜타
2000
시드니
2004
아테네
2008
베이징
2012
런던
<rowcolor=#202020,#DFDFDF>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2020
도쿄

(연기)
2024
파리
2028
로스앤젤레스
2032
브리즈번
<rowcolor=#202020,#DFDFDF> 36회
파일:국기.svg
2036
미정
}}}}}}}}}

파일:2012 런던 올림픽 로고.svg
2012 런던 올림픽 축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남자 A조 · B조 · C조 · D조 · 결선 토너먼트· 선수 명단
여자 대회 결과 }}}}}}}}}

파일:2012 런던 올림픽 로고.svg
올림픽 축구
파일:2012 런던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
<colbgcolor=#df0094><colcolor=#ffffff> 종목 <colbgcolor=#FCFCFC,#444444>축구
참가 인원 467명
참가국 24개국
기간 2012년 7월 25일 ~ 8월 11일
경기장 웸블리 스타디움
(남, 여 / 결승)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
(남자부 / 동메달결정전)
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
(여자부 / 동메달결정전)
올드 트래포드
세인트 제임스 파크
햄던 파크

1. 개요2. 경기장3. 공인구4.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엔트리5. 남자6. 여자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3.bp.blogspot.com/wenlock.jpg

2012 런던 올림픽축구 진행을 기술한 문서.

2. 경기장

파일:2012 런던 올림픽 로고.svg
2012 런던 올림픽 축구 경기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0px; margin-top:-2px; margin-bottom:0px"
웸블리
스타디움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올드
트래포드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밀레니엄
스타디움

파일:Welsh_Rugby_Union_logo.svg.png
세인트 제임스
파크

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햄던
파크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시티 오브 코번트리
스타디움

파일:Wasps rugby.svg.png
}}}
}}}||

3. 공인구

파일:external/www.footy-boots.com/adidas-2012-olympic-match-ball-the-albert.jpg

공인구는 탱고12에서 겉 도색만 바꾼 디 앨버트(The Albert)를 사용한다. 즉, K리그, 분데스리가아디다스 협찬의 리그에서 사용하는 공과 사실상 같다.

4.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엔트리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2071100680001300_P2.jpg
대한민국 올림픽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배번 이름 포지션 연령 소속팀
1 정성룡 GK 27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오재석 DF 22 강원 FC
3 윤석영 DF 22 전남 드래곤즈
4 김영권 DF 22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1]
5 김기희 DF 23 대구 FC
6 기성용 MF 23 셀틱 FC
7 김보경 MF 22 세레소 오사카[2]
8 백성동 MF 20 주빌로 이와타
9 지동원 MF 21 선덜랜드 AFC
10 박주영 FW 27 아스날 FC
11 남태희 MF 21 레크위야 SC
12 황석호 DF 23 산프레체 히로시마
13 구자철(C) MF 23 FC 아우크스부르크
14 김창수 DF 26 부산 아이파크
15 박종우 MF 23 부산 아이파크
16 정우영 MF 23 교토 상가 FC
17 김현성 FW 22 FC 서울
18 이범영 GK 23 부산 아이파크
감독 홍명보
당시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에서 활약하던 기성용, 프리미어 리그 소속인 지동원과 박주영 등 영국에서 활약하던 선수를 무려 3명을 발탁하였다. 이들은 아시아 지역 최종예선에서 뛰지 않았다.

5. 남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2 런던 올림픽/축구(남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2 런던 올림픽/축구(여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7.1. 영국 단일팀

영국은 FIFA 주관 대회에서는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의 4팀으로 출전하지만 올림픽에서는 영국이 Great Britain[3]라는 이름의 한 팀이므로 단일 팀을 구성해야 출전할 수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영국은 축구 종가라고 불리는 나라임에도 올림픽 축구에는 오랫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초창기에는 참가하긴 했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은 참가를 중단한 상태였다. 왜냐면 올림픽 열릴 때마다 매번 단일 팀을 구성하자니 영국 내 네 축구협회와 손발이 안 맞아서 삐걱거리는 문제도 있었기 때문이다. 또 평상시 FIFA 내에서도 다른 나라들, 특히 유럽 국가들이 수시로 "영국은 하나의 주권 국가인데 팀 합치면 안 되나?"라는 태클을 걸어 오는데, 더 이상의 빌미를 안 주기 위해 올림픽 축구를 아예 불참해온 것이다.

하지만 이번 대회는 축구 종가 영국에서 올림픽을 개최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축구에서 불참하면 그 자체로 국가 망신이 된다. 축구는 올림픽을 먹여살리는 3대 종목이다.(나머지는 육상 100m, 마라톤) 그래서 영국 올림픽 위원회(British Olympic Association)는 어떻게 해서는 영국 단일 축구팀을 구성하려고 했고, 잉글랜드 축구협회의 경우 여기에 협조했다. 하지만 영국 내 다른 축구협회들은 처음엔 단일 팀 구성을 강력히 반대했다. 그래서 영국 올림픽 위원회는 FIFA를 구워 삶아서 움직여서 "런던 올림픽에서 영국 단일팀 구성해도 영국 내 네 축구협회의 FIFA 회원 지위에 영향을 안 받게 해주겠다"라는 공식 결정을 이끌어냈다. 즉, FIFA가 직접 공식적으로 실드까지 쳐서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의 FIFA 내 지위를 유지하게 해줄테니까 올림픽 축구에서 영국 단일팀을 만들라고 한 것이다. 그러자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축구협회는 공식적으로 "그럼 더 이상 반대하진 않겠다. 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절대 단일팀 구성에 안 낄 거니까 너네가 알아서 해라"라고 했다... 그래서 영국 올림픽 위원회와 잉글랜드 축구협회만 관여하여 영국 단일팀을 만들게 됐다.

그래도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선수들은 자기네 축구 협회가 불참하더라도 본인 의사에 따라 영국 단일팀에 출전할 수 있었다. 그래서 영국 올림픽 위원회와 잉글랜드 축구협회는 개별적으로 스카웃을 시도했는데 선수들도 시큰둥했던 모양. 결국 남자 팀은 라이언 긱스를 포함한 웨일스 출신 선수 5명만 스카웃했고, 여자 팀은 스코틀랜드 선수 2명[4]과 리저브 선수로 스코틀랜드 선수 1명, 북아일랜드 선수 1명만 스카웃해서 단일팀이라는 취지에 무색하게 됐다. 게다가 남자 팀의 웨일스 선수들은 매 경기 전 영국 국가 God Save the Queen을 제창할 때 입을 꾹 다물어서 자기들이 여왕인가[5] 논란이 됐다.[6] 이에 대해 영국 단일팀의 스튜어트 피어스감독은 각 선수들이 알아서 할 일이라며 문제 삼지 않았다. 문제 삼았으면 웨일스 축구팬들한테 몰매 맞았을지도...

참고로 축구처럼 영국의 구성국들이 따로 국가 대표팀을 구성하는 다른 종목들의 경우 올림픽에서 번갈아 가면서 영국 대표팀을 맡든지 특정 한 구성국이 고정적으로 영국 올림픽 대표팀을 구성하든지 하여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계 스포츠인 컬링의 경우 컬링의 종주국이면서 성적이 가장 좋은 스코틀랜드 대표팀이 영국 대표팀으로 동계 올림픽에 출전한다.

본 대회 이후에도 영국 단일팀이 올림픽 축구에 출전하길 희망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축구협회의 비협조로 성사되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이후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잉글랜드 여자 축구팀이 본선 진출권을 얻자 스코틀랜드 선수 2명과 웨일스 선수 1명을 엔트리에 넣어 단일 팀을 꾸리고 참가하였다.

8. 관련 문서


[1] 본래 J리그의 오미야 아르디자에서 뛰었으나 올림픽을 앞둔 7월 초순 이적이 확정되었고 올림픽 이후 팀에 합류하게 되었다.[2] 조별리그 첫 경기가 끝난 후 풋볼 리그 챔피언십 소속의 카디프 시티 FC로의 이적이 확정됐다.[3] 종종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아일랜드 분할 전에는 Great Britain and Ireland)라고도 한다. United Kingdom(UK)는 정치적, 법적 용어지 문화적·지리적 개념이라는 느낌이 약해서 사용을 자제 중. 어차피 ISOIOC 등의 영국 국가 코드도 그레이트브리튼을 줄인 GBR이다. 이에 따라 영국 올림픽 위원회에서는 매 올림픽 대회에서 영국 올림픽 대표팀의 별명으로 Team GB라는 별명을 적극적으로 밀고 있다. 그런데 그냥 그레이트브리튼이라고만 하면 북아일랜드는 명칭에서 배제된 것이기 때문에 북아일랜드의 일부 친영 성향 주민들은 이 이름에 불만을 표시하여 United Kingdom과 Team UK로 부르라고 요구하기도 한다고(참고로 북아일랜드 내의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아일랜드를 응원하는 경우가 많고 민족주의자인 선수들도 가급적이면 아일랜드 선수로 출전하려고 노력한다. 어차피 북아일랜드 출생자는 아일랜드 국적 취득이 어렵지 않고 영국과 아일랜드는 복수국적을 허용하니 국적 문제도 크지 않다). 미국의 경우 America가 아니라 다분히 정치적, 법적인 느낌히 강한 United States를 약칭으로 쓰고 있으니 영국도 United Kingdom을 쓰려면 쓸 순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Great Britain을 고집하는 이유가 또 있다. United Kingdom이라는 말은 영국 본토에 속하지 않는 영국 왕실령이나 해외영토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들은 United Kingdom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역이 아니라, United Kingdom 본토 밖에 따로 가지고 있는 영토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국 밖 왕실령이나 해외영토에서는 자체 올림픽 팀을 두는 경우도 있지만 없는 지역도 있고, 있다 하더라도 해당 지역 선수가 그냥 영국 팀의 일원으로 출전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래서 영국 올림픽 위원회는 어차피 완벽하게 이들 지역까지 모두 포괄하는 이름이 없으니 그냥 Great Britain을 고수하고 있다.[4] 한 명(Ifeoma Dieke)은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지 않은 이민자 출신이다.[5] 영국 국민으로서 God Save the King/Queen을 제창할 경우 오직 왕/여왕 본인만 이 노래를 안 불러도 된다. 흔히 왕/여왕 앞에서 제창할 경우 왕/여왕 본인은 침묵한다. 곡 자체가 신민들이 왕/여왕을 위해 기도하는 내용이므로 왕/여왕이 이 곡을 부르는 건 어색하다.[6]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국가 연주 시 영국 국가인 God Save the Queen을 그대로 쓰지만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는 별도의 곡을 국가로 쓴다. 그래서 웨일스 선수들로서는 본인이 여왕을 싫어하지 않고 웨일스 독립을 지지하는 게 아니라 할지라도 도무지 그 자리에서 God Save the Queen을 부르기가 껄끄럽고 거슬렸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