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2:47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지역예선(유럽)


역대 FIFA 월드컵 지역예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럽, 남미, 아프리카,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오세아니아, 대륙PO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지역예선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지역예선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지역예선
1962 FIFA 월드컵 칠레/지역예선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지역예선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1974 FIFA 월드컵 서독/지역예선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지역예선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지역예선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1994 FIFA 월드컵 미국/지역예선
1998
프랑스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02
한국·일본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06
독일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14
브라질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18
러시아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2022
카타르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 ||

1. 개요2. 조 편성3. 조별 리그
3.1. 1조3.2. 2조3.3. 3조3.4. 4조3.5. 5조3.6. 6조3.7. 7조3.8. 8조3.9. 9조
4. 조 2위간 순위경합5. 플레이오프

1. 개요

유럽 지역 예선은 조별 리그와 2위팀간 플레이오프로 치러졌다. 각 조 1위팀은 본선에 직행, 2위팀은 승점을 비교해서(6위팀과의 경기는 제외해서 비교) 가장 낮은 1팀은 탈락, 나머지 8팀은 짝지어 플레이오프를 치른 후 본선행.

2. 조 편성

<rowcolor=#1c1b21> 포트 A 포트 B 포트 C 포트 D 포트 E 포트 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벨라루스 국기(1995–2012).svg
벨라루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산마리노 옛 국기(~2011).png
산마리노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

3. 조별 리그

3.1. 1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10 6 3 1 16 5 +11 21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0 5 4 1 17 5 +12 19
3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0 5 3 2 13 5 +8 18
4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0 5 1 4 10 8 +2 16
5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10 1 4 5 6 13 -7 7
6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10 0 1 9 0 26 -26 1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덴마크가 초반 포르투갈 원정에서 3:2 극적인 역전승을 따내며 상승세를 탔다. 그리고 숙적인 스웨덴을 두 번 모두 1 : 0으로 잡으면서 UEFA 유로 2008 예선 탈락을 설욕하고 조 1위로 월드컵 본선에 8년 만에 복귀하게 되었다. 카를로스 케이로스 체제의 포르투갈은 덴마크전 패배 이외에도 스웨덴에 2무, 알바니아에 홈에서 무승부에 그치는 등 매우 고전하며 7경기 2승 4무 1패로 4위까지 밀려 탈락 위기에 몰렸다. 그러나 헝가리와의 2경기를 다 잡고 덴마크가 스웨덴을 잡아주면서 가까스로 2위로 상승, 플레이오프에 나가게 되었다. 스웨덴은 덴마크에 당한 두 번의 패배가 빌미가 되어 3회 연속 월드컵 진출이 좌절되고 21세기 들어 국제대회 개근 기록까지 깨지고 말았다. 헝가리는 중반까지 2위로 선전했지만 경쟁국인 스웨덴과 포르투갈에 잇따라 패배하면서 탈락했다.[1] 알바니아는 덴마크, 포르투갈, 스웨덴을 상대로도 승점 1점을 따냈지만 1승 4무 5패로 역부족인 모습. 최약체 몰타는 알바니아전 무승부를 빼고 전패를 당했고 예선에서 단 1골도 득점하지 못했다.

3.2. 2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0 6 3 1 18 8 +10 21
2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0 6 2 2 20 10 +10 20
3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10 5 2 3 18 15 +3 17
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10 4 4 2 20 10 +10 16
5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10 1 2 7 4 25 -21 5
6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10 0 3 7 6 18 -12 3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스위스와 그리스의 경합이 예상되었다. 오트마르 히츠펠트를 감독으로 선임한 스위스는 이스라엘 원정에서 2:2로 비기고 최약체 룩셈부르크에 홈에서 1:2 충격패를 당하면서 최악의 스타트를 끊었으나 이후 그리스에 2전 전승을 거두는 등 5연승을 거두었고 최종전 이스라엘과의 홈경기에서 0 : 0으로 비기면서 본선 직행에 성공했다. 그리스는 시작은 3연승으로 좋았으나 스위스에 잇따리 패배하고 약체 몰도바 원정에서 무승부에 그치면서 라트비아와 이스라엘에 희망을 선사했으나 경쟁팀 라트비아에 5:2 승리를 거두면서 한숨돌린 뒤 최종전에서 룩셈부르크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라트비아는 8차전까지 2위 그리스와 승점이 같았으나 그리스 원정에서 패배하면서 사실상 본선 희망에서 멀어졌다. 이스라엘은 스위스와 2번 모두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라트비아에 당한 1무 1패로 발목잡혔다.

3.3. 3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10 7 1 2 22 10 +12 22
2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10 6 2 2 18 4 +14 20
3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10 4 4 2 17 6 +11 16
4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10 4 3 3 13 9 +4 15
5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0 3 2 5 19 14 +5 11
6 파일:산마리노 옛 국기(~2011).png 산마리노 10 0 0 10 1 47 -46 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상위 3개 시드 팀들(체코, 폴란드, 북아일랜드)이 모두 광탈하고 4시드 슬로바키아의 본선 직행권 획득과 5시드 슬로베니아의 플레이오프 진출권 획득이라는 진기한 기록을 세웠다. 슬로바키아는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최하위는 10전 전패를 기록한 산마리노였다.

3.4. 4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0 8 2 0 26 5 +21 26
2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0 7 1 2 19 6 +13 22
3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0 5 3 2 14 14 0 18
4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0 4 0 6 9 12 -3 12
5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10 1 2 7 4 14 -10 5
6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10 0 2 8 2 23 -21 2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독일과 러시아의 양강 체제로 독일이 러시아를 두 번 다 이기면서 본선에 진출했다. 핀란드는 아쉽게 3위로 탈락했지만 놀랍게도 다른 팀을 다 이긴(8승 2무) 독일과 홈(1-1)과 원정(3-3) 모두 비겼다. 그저 그런 팀이 아닌 독일을 상대로 무재배를 하는 대기염을 토하고야 말았다. 그러나 러시아에게는 두 번 다 패배했다. 나머지 하위권 국가들은 고춧가루를 못 뿌리고 약체스러운 모습만 보였다.

3.5. 5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0 10 0 0 28 5 +23 30
2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0 6 1 3 25 13 +12 19
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10 4 3 3 13 10 +3 15
4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0 3 1 6 13 20 -7 10
5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0 2 2 6 9 24 -15 8
6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10 1 1 8 6 22 -16 4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최강팀 스페인이 10전 전승으로 가볍게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UEFA 유로 2008에서 준결승에 오른 튀르키예가 스페인 다음으로 강한 전력으로 전망되었으나 벨기에에 1무 1패, 에스토니아에 무승부로 승점을 드랍하면서 3위로 탈락했다. 보스니아 폭격기 에딘 제코를 앞세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가 강한 모습을 보였고 벨기에, 에스토니아, 아르메니아에 6전 전승을 거두면서 조 2위로 PO에 진출했다. 황금세대가 막 등장하기 시작한 벨기에는 시작은 2승 1무로 좋았으나 스페인과의 홈경기 역전패에 이어 보스니아에 홈어웨이 2전 전패를 당하면서 상승세가 꺾였고 약체 아르메니아에도 지면서 4위에 그쳤다.

3.6. 6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0 9 0 1 34 6 +28 27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10 6 3 1 21 6 +15 21
3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10 6 2 2 19 13 +6 20
4 파일:벨라루스 국기(1995–2012).svg 벨라루스 10 4 1 5 19 14 +5 13
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10 2 0 8 11 29 -18 6
6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10 0 0 10 3 39 -36 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잉글랜드와 크로아티아가 UEFA 유로 2008 예선에 이어 다시 만났는데 잉글랜드는 크로아티아에 홈어웨이 4-1, 5-1 대승을 거두며 탈락의 굴욕을 복수했다. 8차전까지 전승을 거두다가 9차전 우크라이나 원정에서 1:0 패배를 당하면서 크로아티아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혔다. 우크라이나는 잉글랜드와 1승 1패를 거둔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하며 크로아티아와의 경쟁을 뚫고 조 2위로 PO에 진출했다. 크로아티아는 잉글랜드전 대패 2경기 때문에 독립 후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나가지 못했다. 벨라루스는 전형적인 강약약강 모드로 4위, 카자흐스탄은 안도라 상대로만 2승을 거뒀을 뿐 나머지는 전패하며 5위, 안도라는 10전 전패로 최하위다.

크로아티아가 독립 이후로 지역예선 탈락한 유이한 대회이자 유일하게 월드컵 본선 진출을 실패하였다. 다른 하나는 유로 2000.[2]

3.7. 7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10 7 1 2 22 8 +14 22
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0 6 3 1 18 9 +9 21
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10 4 2 4 14 15 -1 14
4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10 4 0 6 10 11 -1 12
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10 3 3 4 12 18 -6 12
6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10 1 1 8 5 20 -15 4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프랑스는 오스트리아에 첫 경기부터 1:3 패배를 당했고, 루마니아와도 2무에 그치면서 삐걱거렸다. 프랑스는 세르비아에 1승 1무를 거두고도 루마니아와 오스트리아 상대로 승점 드랍 때문에 2위로 PO에 가게 되었다. 세르비아는 프랑스와의 상대전적은 뒤쳐졌으나 나머지 팀들은 확실하게 제압하는 행보로 세르비아라는 이름을 달고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나가게 되었다. 오스트리아는 첫 경기에서 프랑스를 잡은 것은 좋았으나 이후 리투아니아에 패배, 페로 제도에 무승부, 세르비아에 패배로 일찌감치 본선행은 물건너갔다. 리투아니아는 루마니아전 3:0 대승, 오스트리아전 2:0 승리로 초반 출발은 좋았는데 이후 최약체 페로제도에 패하는 등 연패에 빠지면서 4위로 마쳤다. 루마니아는 유로에서의 선전이 무색하게 초반부터 리투아니아에 대패를 당하는 등 출발이 좋지 않았고 5위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탈락했다.

3.8. 8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0 7 3 0 18 7 +11 24
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0 4 6 0 12 8 +4 18
3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10 3 5 2 17 13 +4 14
4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10 2 3 5 14 16 -2 9
5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10 1 6 3 9 14 -5 9
6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10 0 3 7 7 19 -12 3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8조에서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는 7승 3무 무패로 무난하게 조 1위를 기록했다. 다만 조 2위 전 감독 조반니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와는 2무승부를 기록했고 아일랜드 역시 4승 6무의 무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PO에 진출했다. 불가리아는 초반부터 4연속 무승부 등 승점 쌓기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탈리아와 키프로스에 패배하며 조 3위로 탈락했다. 키프로스는 이탈리아를 상대로도 쉽게 지지 않는 모습을 보였지만 4위로 탈락했다. 몬테네그로는 독립 이후 처음으로 예선에 참가했고 1승 6무 3패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조지아는 3무 7패 무승으로 최하위로 마쳤다.

3.9. 9조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8 8 0 0 17 2 +5 24
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8 2 4 2 9 7 +2 10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8 3 1 4 6 11 -5 10
4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8 2 1 5 5 11 -6 7
5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8 1 2 5 7 13 -6 5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9조에서는 네덜란드만 8전 전승을 했을 뿐, 나머지 4팀은 노르웨이의 원정 무재배와 더불어 다른 3팀이 미칠 듯이 싸대기를 주고 받으며 자기네들끼리 승점이 떨어지는 바람에 2위는 차지하되 승점이 낮아졌다. 스코틀랜드가 최종전 전까지 2위였으나 스코틀랜드가 네덜란드에 패배하는 사이 노르웨이가 마케도니아에 승리하면서 2위를 빼앗겨 탈락했고, 노르웨이도 조 2위 중 승점이 가장 낮아 플레이오프에 가지 못하고 탈락했다.

4. 조 2위간 순위경합

9조가 유일하게 5개국이었기 때문에 6위 팀간의 전적은 제외했다.
<rowcolor=#1c1b21>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4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8 5 1 2 15 6 +9 16
2 2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8 5 1 2 16 9 +7 16
3 6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8 4 3 1 10 6 +4 15
4 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8 4 3 1 12 9 +3 15
5 3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8 4 2 2 10 4 +6 14
6 5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8 4 1 3 19 12 +7 13
7 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8 3 4 1 9 5 +4 13
8 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8 2 6 0 8 6 +2 12
9 9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8 2 4 2 9 7 +2 10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5. 플레이오프

<rowcolor=#1c1b21> 국가 1 국가 2 1차전 2차전 합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0-1 1-1[3] 1-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0 1-0 2-0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0-0 1-0 1-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2-1 0-1 2-2[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헝가리는 본선행에 성공한 덴마크에 1승 1무를 거뒀다.[2] 이 지역예선 당시 크로아티아는 FIFA 랭킹 8위로 톱시드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잉글랜드와 우크라이나의 벽을 넘지 못하고 탈락했다.[3] 연장전[4]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슬로베니아가 본선에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