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00:27:14

해병대 제1사단

해병1사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해룡)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해룡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다른 1사단에 대한 내용은 제1사단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해병대사령부 예하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사단 파일:해병대 제1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1사단 파일:해병대 제2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2사단
여단 파일:해병대 제6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6여단 파일:해병대 제9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9여단
합동부대 파일:서북도서방위사.png 서북도서방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해병대기.svg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관련 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직할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병대의 편제 }}}}}}}}}
해병대 제1사단
海兵隊 第一師團
The 1st Marine Division
파일:해병대 제1사단 부대마크.svg
<colbgcolor=#cc101f><colcolor=#ffcc00> 창설일 1955년 1월 15일(제1사단)
1958년 4월 15일(제1상륙사단)
상징명칭 해룡부대
소속 대한민국 해병대
상급부대 해병대사령부
규모 사단
역할 상륙작전포항시 방위
사단장[1] 소장 이호종 (해사 48기)
위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항 해군기지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용덕리, 타입=satellite, 높이=100%, 너비=100%)]
1. 개요2. 역사
2.1. 연혁
3. 임무4. 편제5. 출신인물
5.1. 사단장5.2. 장교/부사관5.3. 병
6. 기타
6.1. 훈련6.2. 근무 환경6.3. 부대 영상6.4. 해룡의 집6.5. 사단가
7. 사건·사고8. 여담9. 국군의 날 행사

[clearfix]

1. 개요

해병사단령 제1조(설치)
①해군에 해병사단을 둔다.
②해병사단은 상륙작전·지상작전 및 관할구역안에 있어서의 작전훈련과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대한민국 해병대 해병대사령부 예하 해병대 제1사단. 별칭은 해룡부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항 해군기지에 위치하고 있다.

여담으로 부대 규모는 어마 무시한데 타군에 비해 인원이 적은 해병대 임에도 불구하고 4개 여단직할부대들이 모두 해병대 제1사단의 영내에 함께 위치하기 때문에 규모가 상당히 크다.[2] 이는 대한민국 국군지상전 부대를 통틀어 가장 큰 규모인데[3]이는 전시에 신속한 상륙작전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사단 내에 상륙전 시 필요한 모든 예하부대들이 함께 주둔하고 있다.

2. 역사

1950년 12월 20일 창설된 해병대 제1연대가 모체이며 1955년 1월15일 제1사단으로 승격되었다.

1959년 3월 12일 경기도 파주군 금촌에서 현재 위치인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 해군기지 부대로 이전 했다.

사단장해병 소장이 보임되며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관을 겸직한다.

2.1. 연혁

3. 임무

적 해안 상륙작전 및 육상전투부대로서의 전투가 전시 임무이고, 평시 임무는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로서 포항시에서의 중요시설 경계, 경주시 일부내륙지역 경계[5] 적의 침투 감시 및 국지도발 대비, 그리고 포항시-경주시[6]에 이르는 해안경계이다.

해안 경계는 포항항을 지키는 1함대 포항항만방어대대와 포항해경도 같이 수행한다. 그 외에 포항-경주-울산-부산에 이르는 동해 남부 해상에서의 돌발 상황에 대비하는 신속 대응 부대도 두고 있다. 임무는 동해 남부 해안에 밀집해있는 원전, 주요 산업 시설 보호, 부산항 인근 해상 등의 방호이며 해군과 같이 업무를 수행중이다.[7]

독도에서 일본과 무력충돌이 일어나면 출동해서 독도 방어임무도 수행한다. 적군의 공격이나 도발시에 인원이 적고 화력이 약한 독도경비대 혼자만으로는 충분한 방어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본과의 마찰 및 분쟁지역화를 회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경을 독도에 갖다 놓았을 뿐 엄연히 백업은 해병대 1사단과 1함대, 제7기동전단, 잠수함사령부, 해군항공사령부 등 정규 해군과 해안경비대인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제11전투비행단 등 공군[8]에서 한다.

포항해양경찰서 및 해군 1함대해군항공사령부, 경북도경 포항남부/북부경찰서 및 경북소방본부 포항남부/북부소방서와도 협력관계에 있다.

4. 편제

파일:해병대 제1사단 부대마크.svg
해병대 제1사단 예하부대
해병대 제2여단 해병대 제3여단 해병대 제7여단
포병여단
※ 군 공통의 직할부대(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해병대 사령부 예하 사단/여단들 중에서 1사단은 유일하게 예하 여단의 예하 대대들이 전부 공정대대, 유격대대, 기습대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대대들은 해병대 수색대 및 특수수색대와 더불어 공무원 시험/소방공무원에서 "특수부대" 경력으로 인정이 되는 부대들이기 때문에 1사단 자체가 전체적으로 일종의 특수부대 같은 느낌이 난다. 반대로 1사단의 사례를 들어 다른 해병대 사단/여단들도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는 것으로 오해를 해 해병대 전체가 특수부대인 걸로 잘못 알기도 한다.

사단 직할대와 여단본부를 제외한 2, 3, 7여단에 배치되면 거의 의무적으로 전투수영 + 유격(유격대대), IBS(기습대대), 공수(공정대대)교육을 받게 되는데 특이사항이 없다면 보통 실무에 들어간 후에 이병에서 일병 사이에 교육과정을 받는다. 물론 상기한 세가지 훈련을 모두 받는 것이 아니고 대대별로 하나씩만 의무적으로 받는다. 각각의 훈련을 마치면 가슴에 각 교육과정 수료에 맞는 휘장을 달수 있다.[9] 훈련시 당연히 생명수당도 지급되는데 공수와 헬기레펠 수당이 동일하며 기습대대 ibs는 분기 수당이 아니라 매달 받는다. 군생활 중에 파견근무시 교육받을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중대장 및 대대장의 허락하에 다른 교육을 수료하는 것도 가능하다.[10]

4.1. 사단직할대

4.2. 신속기동부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병대 신속기동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속기동부대(ROKMC Quick Maneuver Force)'는 전쟁 혹은 재난 등 비상 상황 발생시 24시간 이내로 한반도 전역에 투사되는 것을 목표로 상시 대기하는 여단 규모의 신속대응부대로 새로운 여단을 창설한 건 아니고 1사단의 예하 여단들이 번갈아가며 신속대응부대 임무를 맡는다는 개념이다.# 즉, 1사단의 예하 여단들 중에서 한 여단이 신속대응부대 임무를 맡는 차례가 되면 그 여단이 그 기간 동안 신속기동부대가 되는 것이다.

과거 '제승부대'라는 상징명칭으로 불리웠고 현재는 '신속기동부대' 명칭만을 사용한다.

4.3. 제2해병여단 황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병대 제2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제3해병여단 킹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병대 제3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제7해병여단[14] 멧돼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병대 제7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 제1사단 포병여단 불사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병대 제1사단 포병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출신인물

5.1. 사단장

볼드체해병대사령관을 역임한 사단장.
볼드체에 + 표시가 된 사단장은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역대 해병대 제1사단장 겸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관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김대식 준장 사단장
00대 김연상 중장 해병학교 1기 해병대사령관
00대 이동용 중장 해간 2기 해병대사령관
00대 박승도 소장 해사 2기 해병대부사령관
00대 정태석 중장 해사 3기 해병대사령관
32대 이상로 중장 해사 29기 해병대사령관
33대 이홍희 중장 해사 31기 해병대사령관
34대 이치의 소장 해사 32기 사단장
35대 유낙준 중장 해사 33기 해병대사령관
36대 이영주 중장 해사 35기 해병대사령관
37대 전병훈 소장 해사 35기 사단장
38대 황우현 소장 해사 37기 사단장
39대 최창룡 소장 해사 39기 사단장
40대 조강래 소장 해사 41기 사단장
41대 김태성 중장 해사 42기 해병대사령관
42대 김계환 중장 해사 44기 해병대사령관
43대 임성근 소장 해사 45기 사단장
44대 주일석 중장 해사 46기 해병대사령관
45대 이호종 소장 해사 48기 사단장

5.2. 장교/부사관

5.3.

6. 기타

6.1. 훈련

2014년 한미 헌병 연합 훈련

6.2. 근무 환경

6.3. 부대 영상

6.4. 해룡의 집

1사단 내에 위치한 복지시설이다. 서문 근처에 위치한 3층 규모의 건물로, 1층에는 군사우체국과 제법 큰 규모의 할인마트, 새마을식당과 홍콩반점이 있으며 2층에는 BHC와 만타스시&히노야지, 뚜레쥬르와 세탁소, 군장점, 사진관이 있고 3층에는 이디야커피와 당구장이 있다. 1사단 출신 장병들은 하나쯤 가지고 있을 추억의 장소 중 하나. 바로 옆에 위치한 해군포항병원과 복지따위 없기로 유명한 해군항공사령부와 포항항만방어대대 수병들도 종종 해룡의 집을 찾고는 한다.

6.5. 사단가

선열의 호국의지 가슴에 안고
나라 위한 일편단심 영원하리라
영일만 아침해가 떠오를 때마다
겨레위한 용맹심 솟구쳐난다
아 아 해병해병 영원한 해병
우리는 무적의 팔각모 사나이
국군의 선봉부대 해병 1사단

충무공 순국정신 마음에 새겨
나라 위한 애국 애족 방파재 되리
파도가 휘몰아쳐 부서질 때 마다
조국 위한 충성심 용솟음 친다
아 아 해병해병 영원한 해병
우리는 무적의 팔각모 사나이
국군의 선봉부대 해병 1사단

-해병 1사단가-

7.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19년 지난해 12월부터 2020년 6월까지 해병대 제1사단 소속 병사들이 후임병을 성추행 및 가혹행위를 벌여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관련기사

8. 여담

9. 국군의 날 행사

해병대 1사단서 제73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우리 군의 사명"

2021년 10월 1일 국군의 날 행사가 포항시 영일만 일대에서 진행되었는데 해병대 제1사단이 그 주축이 되어 상륙작전 시범을 보였다. 그동안 육해공군 부대들 내에서 국군의 날 행사가 진행되었는데 이번 행사로 해병대는 포항에서 처음으로 국군의 날 행사를 주관하게 되었다. 해군 군함들의 사열과 공군 전투기들의 공중우세 및 육군 전투헬기들의 엄호도 나왔지만 상륙작전의 특성상 주인공은 해병대 제1사단으로 상륙 후 전개해 목표지점을 확보하고 태극기를 올리며 피스메이커 작전을 완수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해병대 제1기이자 6·25 전쟁 참전용사로서 통영 상륙 작전을 비롯해 인천 상륙 작전, 서울 탈환작전 등 해병대의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전공을 쌓은 역전의 용사 이봉식 해병이 참가하여 직접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낭독했다.


[1]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사령관 겸임[2] 심지어 전부 다 모여 있는 것도 아니고 수색대대와 상장대대 등 영내 외부에 독립적으로 따로 떨어져 있는 일부 부대도 있다. 참고로 해병대 제1사단은 오천읍/청림동/장기면/동해면에 걸쳐 있다.[3] 대한민국 국군 부대 중 가장 큰 부지를 가진 곳은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대한민국 육군의 모 탄약창이며, 전투부대를 다 합칠 경우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제20전투비행단서산공항이 더 크다. 지상전 부대로 한정한다면 포항 해군기지가 가장 큰 곳이 맞다.[4] 산악대대로도 통용된다.[5] 강동면, 안강읍지역[6] 경주 인접지역에 있는 울산 동해안 지역도 담당한다.[7] 이들 지역의 육상 경비는 육군이 방어한다. 참고로 이쪽의 육군 사단은 지역방위사단이다 보니 병력이 부족해 해안 바깥까지 신경 쓸 여력이 없다.[8] 상대방이 해상 전력 뿐 아니라 항공 전력까지 동원하여 독도 인근 영해 및 영공을 침범할 경우 당연히 공군의 공중 우세 확보가 필요하다. 실제 독도 방어 훈련은 경찰 독도 수비대, 해경, 해군, 해병대, 공군을 망라한 입체 전력이 총동원된다.[9] 유격은 칼+쇠사슬 모양, IBS는 박쥐+패들모양, 공수는 낙하산+날개의 모양이다[10] 물론 후달릴 때는 얄짤없다. 짬도 좀 차고 간부 및 선임들과의 관계도 좋아야 교육허가를 받기에 용이하다.[11] 대대장의 계급은 소령이다.[12] 줄여서 상장대대라고 함[13] 2021년 교육훈련단 소속에서 해병대 제1사단으로 이관[14] 7여단의 기원이 예전 베트남 파병 이후 편제를 유지할 수 없는 부대들을 모아 만든 것이 그 기원이라는 설이 있다. 2, 3 다음 7여단으로 숫자가 뛰는 것도 그렇고 (그거야 2사단이 1, 5, 8여단이고 6, 9여단은 또 따로있잖아...?) 다른 보병 여단의 경우 1대대가 공정, 3대대가 유격인데 7여단만 1대대가 유격, 3대대가 공정대대이다. 또한 해병대에서는 전역 50일을 맞이하는 병장들을 각 부대의 상징이 되는 용을 붙여서 부르는데 (1사단: 해룡병장 2사단: 청룡병장) 7여단은 1사단임에도 불구하고 전역 50여일이 남은 병장을 청룡병장이라고 부른다. 7여단의 2사단 청룡부대 기원을 알 수 있는 흔적.[15] 그 때는 해병대사령부 해체 후였으므로 그 당시의 직책명은 해군제2참모차장이었으나 1987년 해병대사령부 부활 후 과거 해체 시절의 제2참모차장들이 모두 해병대사령관으로 직책명이 환원되었다.[16] 그 전인 1960년대에 대한민국 육군에서 기존 보병사단 3개를 공정/상륙/산악 사단으로 각각 개편시킨 특성화사단 체제를 몇 년간 시행했었다가 원위치 시킨 적이 있었는데, 그것에서 힌트를 얻고 벤치마킹하여 해병대 제1사단에 응용해서 도입시킨 것이다.[17] 당시에는 정신질환, 정신건강의학과에 관한 인식이 없었고 장애인복지법이 미비한 시기이다.[18] 2019년에 방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