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한양대학교/ERICA/학부|한양대학교/ERICA/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상징 | 대학원 | 응원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관련 기관 | |||
학교법인 한양학원 | |||
한양대학교의료원 (서울병원·구리병원·류마티스병원·국제병원·명지병원·창원한마음병원) |
| |||||||||||||||||||||||||||||||||||||||||||||||||||||||||||||||||||||||||||||||||||||||||||||||||||||||||||||||||||||||||||||||||||||||||||
|
||<-2><tablealign=center><tablewidth=55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1. 개요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e4a84><width=50%><nopad>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소개영상 |
|
공학대학 하냥이 |
공학을 교육, 연구하는 단과대학으로 서울캠퍼스에 공과대학이 있다면, ERICA캠퍼스에는 공학대학이 있다.
2. 상세
한양대학교 ERICA를 대표하는 단과대학이자 한양공대의 두 번째 자부심으로서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있는 단과대학. 개교 당시부터 존재하던 단과대학이다. ERICA 초기 개교 당시에는 서울캠퍼스의 공과대학과 이원화 체계로 운영했는데, 박정희 대통령이 국토 개발 사업에서 한양 공대생들이 훌륭한 성과를 내자 반월 산업 단지 근처에 한양대 이공계열 제2캠퍼스 설립을 원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산공대가 시발점이 되어 오늘날 ERICA 공학대학에 이른다.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은 미국의 MIT와 매우 흡사한 교육 형태와 운영 방식으로 이루어지려 했으나 박정희 암살 사건으로 인해 전면 무산되었다. 이 단과대학의 모든 학과는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상태이다.서울캠퍼스 공과대학 연구실과 각종 연구실이 상호 교류로 운영되고, 각 학과마다 양 캠퍼스간 교수 교류를 하는 등의 뒷받침 덕분에 공대 수업의 질이 상당한 편이다. 또 공학대학의 교수 연구 실적 성과가 상당히 뛰어나며 그 덕에 ERICA 공학대학은 많은 대기업 연구실과 협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공학대학 내 각 학과 교수들은 자신의 연구실과 학생들에 상당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공학대학은 정부의 교육인프라 지원사업인 Prime(CK-II) 사업을 수주하여 대부분의 학과(부)에 첨단의 교육 및 실습환경을 충실히 조성하였고, 특히 최근에는 로봇공학과를 주관학과로 하는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사업, 전자공학부의 반도체 전공트랙이 참여한 부처협업형 전공트랙사업에 선정되는 등 정부의 주요한 대형 국책과제들을 다수 수주하여 전국 최우수 수준의 교육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강의실 내에서만의 교육을 벗어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산업체 현장실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배양하기 위한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체의 현장문제를 학생들이 팀학습을 통해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IC-PBL(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교과목의 개설하고 운영하고 있다.
또 공학대학은 ERICA 내에서 최다의 BK21 Four 교육연구단을 운영하고 있고, 교책연구센터 설립 및 대학원 계약학과 신설 등을 통하여 산학협력 연구중심대학으로서 대외 경쟁력 제고에 꾸준히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 일리노이 공과대학교(IIT)[1]와 복수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는 한양대 ERICA에서 2년, 일리노이공대에서 2년을 수학하면 두 대학의 학사 학위를 모두 받을 수 있는 과정으로, 매년 30~50명을 선발한다.
그리고 미국 드렉셀 대학교(Drexel University)와 글로벌 산학협동교육(co-op. 코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건축학부, 전자공학부, 재료화학공학과, 생명나노공학과, 로봇공학과 학생들은 재학기간 중 1년간 교환학생 및 미국 기업체 현장실습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장실습을 하면 기업으로부터 급여(6개월간 1만 4000달러)도 받을 수 있다.#
현대제철과 한양대 ERICA 공학대학은 2021년 친환경·고부가 철강기술 및 우수인력 양성 위한 MOU 체결하였다. 협약은 탄소중립 2050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 고효율 전기차·수소차 제조기술력 고도화 등 현대그룹 미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한양대 ERICA 재료화학공학과 '고온물리화학소재공정연구실'을 '제1호 현대제철지정연구실'로 선정했다.
한편 공학대학을 대표하는 교내 시설로는 제5공학관이 있는데, 이곳은 전층이 연구소로 운영되는 건물로써 현대제철, 현대자동차 등의 연구소가 들어와있다. 또한 퓨전전기기술응용연구소, 한국전기시험원, LG 이노텍 등 교내 각종 연구산업시설과 밀접한 교류를 이루고 있다.
3. 연혁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0e4a84><tablebordercolor=#0e4a84> 연도 ||<bgcolor=#0e4a84> 내용 ||
1979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개교 서울 공과대학 소속으로 기계공학과,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등 3개 공학과 신설 금속재료공학과, 산업공학과 신설 |
1980 | 제1공학관 준공 기초교육관 A동(현 제1과학기술관) 준공 |
1983 | 자연계열과 공학계열이 단과대학인 이공대학으로 승격 통합 |
1984 | 전자계산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 신설 |
1985 | 제2공학관 준공 화학공학과 신설 |
1987 | 이공대학을 공학대학과 이과대학으로 분리 교통공학과 신설 |
1988 | 제어계축공학과 신설 |
1991 | 공학기술연구소 개소 |
1996 | 제3공학관 준공 구조실험관 준공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전자계산학과, 제어계측공학과를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로 통합 지역협력연구센터 - 전자재료 및 부품 연구센터 개소 |
1997 | 반도체설계교육지역센터 개소 |
1998 | 제4공학관 준공 창업지원센터 설립 |
1999 | 건축, 토목•환경, 교통을 건설교통공학부로 통합 금속재료, 화학을 재료화학공학부로 통합 기계, 산업을 기계산업공학부로 통합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를 전자컴퓨터공학부로 명칭 개정 |
2001 | 기계산업공학부를 기계•정보경영공학부로 변경 건설교통공학부에서 2전공 체제 개편 후 건축학부를 분리 전자컴퓨터공학부를 컴퓨터공학전공과 전자전기공학전공으로 분리 |
2003 | 수리실험동 준공 국제공동프로그램협약체결(싱가폴국립대학) |
20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국전기연구원•전자파시험동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LG연구소 준공 및 협동연구 개시 |
2005 | 친환경건축연구센터(ERC) 설립 전자컴퓨터공학부의 전자전기공학전공을 전자및통신공학전공과 전자정보시스템공학전공으로 분리 |
2007 | 제5공학관(연구동) 준공 부설교육기관으로 공학교육혁신센터 신설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 연구센터 설립 |
2008 | 통합형휴센싱시스템연구센터(ERC) 설립 멀티코어설계기술연구센터 설립 풍환경실험관, 퓨전전기기술응용연구센터 준공 |
2009 | 미국 일리노이공대(IT)와 복수학위 프로그램 시행 |
2010 | 생명나노공학과 신설 건설교통공학부에서 건설환경공학과, 교통공학과로 분리 전자컴퓨터공학부에서 전자통신공학과, 전자시스템공학과, 컴퓨터공학과로 분리 재료화학공학부에서 재료공학과, 화학공학과로 분리 기계정보경영공학부에서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로 분리 |
2012 | 공학대학 컴퓨터공학과, 지식경제부 'SW특성화대학지원사업' 선정 |
2013 | 로봇공학과 및 융합공학과(야간) 신설 BK21플러스사업 선정(2개 사업단, 6개 사업팀) |
2014 | 수도권대학(CKII) 특성화사업 선정(3개 사업단) |
2015 | 건설구조물 내구성 혁신센터(ERC)설립 국방정보공학과 신설 전자공학부 학부 통합 재료화학공학과 학과 재통합 |
2018 | 조기취업형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사업 선정 스마트융합공학부 4개 전공(로봇, 소재부품, 스마트ICT, 건축IT) 신설 |
2020 | 4단계 BK21사업 9개 교육연구단, 1개 교육연구팀 선정 |
2021 |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지능형로봇 분야' 주관대학 선정 |
2022 | LIG넥스원 계약학과 "지능정보융합공학과" 신설 전자공학부 부처협업형 인재양성 사업 선정 |
2023 | 서울대학교와 DC 그리드 에너지 혁신연구센터 개소 |
2024 | 이차전지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25 | 공학대학 배터리소재공학과 신설(배터리소재화학공학과), 에너지바이오학과 신설, 해양융합공학과 공학대학 편제 신설 공학대학 생명나노공학과, 국방정보공학과 첨단융합대학 편제 이전 |
4. 역대 학장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0e4a84><tablebordercolor=#0e4a84> 대수 ||<bgcolor=#0e4a84> 성명 ||<bgcolor=#0e4a84> 소속 ||<bgcolor=#0e4a84> 재임 기간 ||
1 | 유석구 | 전기공학과 | 1989.03~1991.02 |
2 | 맹선재 | 금속재료공학 | 1991.03~1993.02 |
3 | 유석구 | 전기공학과 | 1993.03~1995.02 |
4 | 박성한 | 전자계산학과 | 1995.02~1997.02 |
5 | 남태운 | 금속재료공학과 | 1997.03~1999.02 |
6 | 강맹규 | 기계산업공학부 산업공학전공 | 1999.03~2001.02 |
7 | 양해원 | 전자컴퓨터공학부 전자전기공학전공 | 2001.02~2002.07 |
8 | 조효남 | 건설교통공학부 건설환경시스템공학전공 | 2002.08~2004.07 |
9 | 노시태 | 재료화학공학부 화학공학전공 | 2004.08~2006.07 |
10 | 전창호 | 전자컴퓨터공학부 컴퓨터공학전공 | 2006.08~2008.07 |
11 | 신성우 | 건축학부 건축공학전공 | 2008.08~2010.07 |
12 | 신동혁 | 재료공학과 | 2010.08~2012.07 |
13 | 한창수 | 로봇공학과 | 2012.08~2014.07 |
14 | 문영식 | 컴퓨터공학과 | 2014.08~2016.06 |
15 | 강창욱 | 산업경영공학과 | 2016.07~2018.06 |
16 | 이기형 | 기계공학과 | 2018.07~2020.06 |
17 | 좌용호 | 재료화학공학과 | 2020.07~2022.06 |
18 | 박진석 | 전자공학부 | 2022.07~2024.06 |
19 | 최영진 | 로봇공학과 | 2024.07~현직 |
5. 학과
5.1. 건축학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 ||
프로그램 | 홈페이지 | 인증기간 | |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24-2029 | |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4-2028 | |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8-2030 | |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 | 2009-2024 | |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09-2025 |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8-2023 | |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20-2023 | |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9-2024 | |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1-2026 | |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 | 2021-2026 | |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21-2025 | |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13-2028 | |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8-2022 | |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4-2027 | |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2-2022 | |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4-2024 | |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 | 2010-2026 |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7-2025 | |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7-2028 | |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0-2023 | |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 | 2017-2026 | |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 | 2018-2022 | |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 | 2012-2023 | |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 | 2009-2025 | |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3-2024 | |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14-2025 | |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7-2022 | |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 | 2017-2022 | |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20-2025 | |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1-2026 | |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8-2023 |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 | 2011-2028 | |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7-2025 | |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7-2024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8-2023 |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 | 2007-2022 |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7-2022 | |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2-2023 | |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9-2023 | |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1-2026 | |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 | 2019-2023 | |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 | 2022-2027 | |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2-2027 | |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 | 2022-2025 | |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 | 2011-2026 |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 | 2009-2025 | |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 | 2008-2026 | |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8-2024 | |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6-2024 | |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1-2026 | |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22-2027 | |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 | 2021-2025 | |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4-2024 | |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 | 2011-2026 | |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 | 2022-2026 | |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7-2023 | |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2-2023 |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4-2024 | |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2-2024 | |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 | 2017-2028 | |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 | 2012-2023 | |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8-2023 | |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2-2022 | |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 | 2013-2024 |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 | 2010-2026 |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 | 2015-2026 | |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15-2026 | |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 | 2010-2025 | |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 | 2008-2023 | |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 | 2009-2023 | |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9-2025 | |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7-2023 | |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 | 2012-2023 | |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 |||
프로그램 | 홈페이지 | 인증기간 | |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 | 2016-2024 | |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 | 2017-2025 | |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 | 2020-2022 | |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 |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School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
교직
건축
공학
건축학부School of Architecture & Architectural Engineering ||
학과장 | 김환용 | 설치 | 1985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2공학관 |
세부전공 | 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
1985 | 이공대학 건축공학과 |
1987 | 공학대학 건축공학과 |
1999 | 공학대학 건설교통공학부 건축공학과 |
2001 | 공학대학 건축학부(건축학/건축공학전공) |
다양한 국제화 프로그램, 우수한 교수진과 더 희망찬 미래를 향해 성장해 나가는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 과정), 건축공학전공(4년 과정)으로 나뉜다. 1985년 건축학부가 개설되어 1999년 토목환경공학, 교통공학과와 함께 건설교통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01년 건설교통공학부에서 다시 분리되었다.
1995년 과학기술부 지정 초대형 건축구조실험동이 개관하고, 1996년에는 국내최초로 건축환경 실험실 인공천공(Artificial Sky Dome)을 설치했다. 2000년에는 대학교육협의회 주관 전국 건축(공)학분야 평가에서 최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01년에는 중앙일보 건축학과 평가에서 전국 2위를 차지하였다.
국제화 프로그램이 잘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국립대학(NUS)[2]과 2003년부터 공동강의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한 학기동안 NUS에서 수업을 듣고 싱가포르의 설계 사무실에서 2달 동안 인턴쉽 과정을 수행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싱가포르 법이 학생비자로 인턴쉽 과정을 수행할 수 없게 바뀜.) NUS와 매년 아시아 국제건축올림피아드를 공동개최하고 있다. 미국 일리노이공대(IIT)[3]와 복수학위 프로그램에 건축학 분야는 매년 5~10명을 선발한다.
2015년 '건설구조물 내구성혁신 연구센터'를 개소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연구재단이 주관한 '2015년 선도연구센터(ERC) 지원 사업'에서 건축분야 유일의 우수공학연구센터(ERC)[4]로 선정됐다. '건설구조물 내구성혁신 연구센터'는 2016년부터 7년간 매년 20억 원, 총 131억 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게 된다.
5.2. 건설환경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공학
건설환경공학과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학과장 | 홍승호 | 설치 | 1985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2공학관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1985 ||이공대학 토목공학과 ||
1987 | 공학대학 토목공학과 |
1994 | 공학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1999 | 공학대학 건설교통공학부 토목•환경공학과 |
2001 | 공학대학 건설교통공학부 건설환경시스템공학전공 |
2010 |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2013 | 공학대학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
2017 |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각종 사회기반 인프라 건설 분야의 우수 인재 양성
ERICA의 토목공학과이다. 1985년 토목공학과가 개설되어, 1994년 토목환경공학과로 개명하였다. 1999년 건축학부, 교통공학과와 함께 건설교통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건설교통공학부에서 건설환경공학과로 다시 분리되었다. 2013년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로 개명하였다.
2017년 건설환경공학과로 다시 개명하였다.
5.3. 교통·물류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공학
교통·물류공학과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학과장 | 서원호 | 설치 | 1988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2공학관 |
1988 | 공학대학 교통공학과 |
1999 | 공학대학 건설교통공학부 교통공학과 |
2001 | 공학대학 건설교통공학부 교통시스템공학전공 |
2010 | 공학대학 교통공학과 |
2012 | 공학대학 교통•물류공학과 |
사람 중심의 미래 교통물류시스템 실현을 위한 전문가 양성의 요람
1988년 교통전공으로 대한민국에서 최초 설립되었다. 1999년 건축학과와 함께 건설교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다시 교통공학과로 분리되었다. 2012년 커리큘럼에 물류분야를 함께 다루면서 교통·물류공학과로 개명하였다.
5.4. 전자공학부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
공학
전자공학부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
| |||
학부장 | 백상현 | 설치 | 1979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3공학관 204호 |
세부전공 | 제어∙로봇전공 반도체전공 컴퓨터전공 회로전공 통신∙신호처리전공 전기에너지전공 |
스마트ICT 융합 시스템 산업분야를 선도할 학연산 기반 현장맞춤형 창의 인력양성
1979년 전기공학과와 전자공학과, 1985년 전자계산학과, 1989년 제어계측공학과가 각각 개설되었다. 1996년에 전자컴퓨터전기제어공학부로 통합되었고 1999년 전자컴퓨터공학부로 개명하였다. 2010년에 전자컴퓨터공학부가 컴퓨터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전자시스템공학과로 분리되었다. 2015년에 전자통신공학과와 전자시스템공학과는 다시 전자공학부로 통합되었다.
2000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학문분야평가에서 포항공대, 연세대와 함께 최상위 3개 대학으로 꼽히기도 하였다.
5.5. 배터리소재화학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Battery and Chemical Engineering ||
공학
배터리소재화학공학과Department of Battery and Chemical Engineering ||
| |||
학과장 | 김종호 | 설치 | 1979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3공학관 |
||<-2><tablebgcolor=#fff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재료공학계열 ||<-2> 화학공학계열 ||
1979 | 서울 공과대학 금속재료공학과 | ||
1983 | 이공대학 금속재료공학과 | ||
↓ | 1986 | 이공대학 화학공학과 | |
1987 | 공학대학 금속재료공학과 | 1987 | 공학대학 화학공학과 |
1999 | 공학대학 재료화학공학부(금속재료공학/화학공학전공) | ||
↓ | |||
2010 | 공학대학 재료공학과 | 2010 | 공학대학 화학공학과 |
↓ | |||
2015 | 공학대학 재료화학공학과 | ||
2025 | 공학대학 배터리소재화학공학과 |
세계 배터리소재화학공학분야를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 및 글로벌 인재양성
1980년 금속재료공학, 1987년 화학공학과가 각각 개설되었다. 1999년 재료화학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0년 다시 분리되었다. 2015년에 다시 재료화학공학과로 통합되었다. 재료화학공학과는 BK21플러스 인력양성사업 및 CK-II 특성화사업 선정되었다.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2011년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결과’에 따르면 한양대 ERICA캠퍼스는 두 분야(금속철강 분야, 신소재 분야)에서 1위를 받은 적이 있다.결과문서 다운로드 화학공학 분야에서는 ‘2013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국내 6위’를 차지한 저력이 있다.
2025년 배터리소재화학공학과로 학과가 개편된다. 특히 교육부의 이차전지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에 따라 4년 간 매년 30억 원씩 총 120억원 규모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홀딩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29개의 국내 최고 수준의 이차전지 산업체 및 연구소와 산학연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력을 갖춘 국내 최고 수준의 실용 인재 양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5.6. 기계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공학
기계공학과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 |||
학과장 | 윤종헌 | 설치 | 1979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3공학관 204호 |
대한민국을 이끄는 실용 기술개발의 주인공
1979년 기계공학과에 개설되어. 1999년 산업공학과와 함께 기계산업공학부로 통합되었고, 2001년 기계정보경영공학부로 개명하였다. 2010년 다시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로 분리되었다.
2004년 대교협 기계분야 평가에서 전국 2위의 성적으로 최우수 학과로 선정#되었으며, 2012년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주관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최우수’, 2013년도 중앙일보 학과 평가 전국 10위 및 QS 세계대학 학문분야 평가 ‘세계 109위’, 2014년 수도권특성화사업단 선정되었다#. 기계공학과에서는 2009년부터 중국 청도과기대[7]와 함께 복수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강동원이 기계공학과 출신이다. 유퀴즈에서 강동원이 말하길, 학교에서 강동원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학교가 항상 들썩였다고 하며 대학축제때는 학생들이 강동원을 보려고 몰려들어 항상 기계공학과 주점만 북적였다고 한다.
5.7. 산업경영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
공학
산업경영공학과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
| |||
학과장 | 김병훈 | 설치 | 1979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5공학관 119-1호 |
스마트 세상을 창조하는 공학의 마에스트로
1979년 산업공학과로 신설되었다. 1999년 기계공학과와 함께 기계산업공학부로 통합되었고, 2001년 기계정보경영공학부로 개명하였다. 2010년 다시 산업경영공학과로 분리되었다.
2018년 제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2018-2022)참여학과 선정되었고, 2020년에는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 (2020-2024) 참여학과에 선정되었다.
2024년 학생회장은 김동규로 선정되었다.
5.8. 로봇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Robotics ||
레인보우
공학
로봇공학과Department of Robotics ||
| |||
학과장 | 한재권 | 설치 | 2013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3공학관 204호 |
한양로봇,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로봇공학도 양성
2013년 기계공학과와 전자시스템공학과 로봇전공 교수들이 모여서 신설한 학과이다. 로봇공학은 로봇에게 사람과 유사한 인지, 판단,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한 학문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계, 전기/전자, 컴퓨터를 종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하므로 각 전공의 기초과목은 물론이고 이를 기반으로 로봇자체를 제작, 운용에 필요한 과목도 공부하게 된다.
30명 정원으로 작은 규모의 학과지만 생각보다 캠퍼스 이곳저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신설된 과인 만큼 처음엔 커리큘럼에 혼란이 있었으나 이제는 어느 정도 안정기에 접어들어 가고 있다.
13학번으로 입학한 1기 신입생들이 2016년 국제로봇콘테스트에서 대통령상#에 이어, 2017년 국제로봇콘테스트&R-BIZ 챌린지에서도 대통령상#을 수상하며 존재를 전국에 알렸다.[8]
재난용 휴머노이드 로봇 '똘망'을 개발한 로봇공학자 한재권 박사[9]를 교수로 영입하였다.
학과 내 학회로 HY-MEC, INTERIN가 있다.
2018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의 <인공지능 협동로봇> 분야에 로봇공학과가 선발되었다. 이에 ERICA는 연간 1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되었고 인공지능 협동로봇관련 인재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도 생기게 되었다.
5.9. 에너지바이오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Energy and Bio Sciences ||
공학
에너지바이오학과Department of Energy and Bio Sciences ||
학과장 | 이영복 | 설치 | 1982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2과학기술관 103호 |
민족공대 혁신에바
에너지, 스마트바이오 신산업의 교육 및 연구를 선도하는 융합화학공학의 리더
에너지, 스마트바이오 신산업의 교육 및 연구를 선도하는 융합화학공학의 리더
1982 | 서울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1983 | 이공대학 화학과 |
1987 | 이과대학 화학과 |
1996 | 이과대학 이학부 화학전공 |
2000 | 과학기술대학 이학부 응용화학전공 |
2004 | 과학기술대학 과학기술학부 응용화학전공 |
2013 | 과학기술대학 응용화학과 |
2017 | 과학기술융합대학 화학분자공학과[10] |
2025 | 공학대학 에너지바이오학과 |
5.10. 해양융합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
공학
해양융합공학과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
학과장 | 현정호 | 설치 | 1983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2과학기술관 103호 |
인류의 마지막 숙제, 기후변화와 해양환경을 연구하다
1983 | 이공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1987 | 이과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1996 | 이과대학 이학부 지구해양과학전공 |
2000 | 과학기술대학 이학부 지구해양과학전공 |
2004 | 과학기술대학 과학기술학부 해양환경과학전공 |
2013 | 과학기술대학 해양융합과학과 |
2017 | 과학기술융합대학 해양융합공학과[12] |
2025 | 공학대학 해양융합공학과 |
1983년 9월 지구해양과학과 신설, 2000년 10월 지구해양과학전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4년 6월 해양환경과학전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3년 3월 해양융합과학과로 학과제로 전환되었고, 2017년 3월 해양융합공학과로 공학사로 변경되었다. 2025년에는 공학대학 소속으로 개편되었다.
5.11. 융합시스템공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Integrative System Engineering ||
공학
융합시스템공학과Department of Integrative System Engineering ||
학과장 | 이성준 | 설치 | 2013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3공학관 204호 |
주경야독을 꿈꾸며 형설의 공을 쌓아갈 융합적 공학인재들의 집합
2013년 신설, 학과 설립의 모토가 선취업 후진학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특성화고교 및 마이스터고 졸업 후 3년 이상 산업체에 근무한 사람만이(입학일 3월 1일 기준) 지원 가능하다. 수능 시험 없이 입학이 가능하며 입학생들이 대부분 생업을 위해 직장을 계속 다니는 사정을 고려하여 수업 시간은 야간, 그리고 토요일이다.
5.12. 스마트융합공학부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School of Smart Convergence Engineering ||
공학
스마트융합공학부School of Smart Convergence Engineering ||
학부장 | 강민성 | 설치 | 2019 |
홈페이지 | | 행정실 | 제3공학관 |
세부전공 | 소재∙부품융합전공 로봇융합전공 스마트ICT융합전공 건축IT융합전공 지속가능건축융합전공 |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2019년 신설, 조기취업형계약 선도대학으로 선정되어 2019학년도 1회 입학생을 모집했다. 특성화고 출신을 우선 선발한다.
학부 내 소재부품융합전공, 로봇융합전공, 스마트ICT융합전공, 건축IT융합전공, 지속가능건축융합전공 총 5개의 전공이 있다.
입학 조건이 중소•중견기업 입사기 때문에 입학한 학생 모두 취업이 완료되거나 2기 기준 취업 확약서를 작성한 상태이다.
졸업학점이 120학점으로 2학기(1년) 조기졸업을한다. 1학년에는 회사에 휴직계를 내고 주간에 수업을 들으며 1, 2학기 각 21학점(최대 23학점), 여름/겨울 계절학기는 각 9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한다.(1학년 총 60학점+ 이수) 2~3학년은 1, 2학기 각 12학점, 여름/겨울 계절학기는 각 3학점을 필수로 이수해야하며(학년당 총 30학점+ 이수) 회사 재직과 동시에 평일 사이버 강의, 야간 또는 주말에 수업을 듣는다. 졸업학년에는 재직중인 기업과 R&D연구를 하는 커리큘럼이 준비되어있다.(예정)
*위 내용은 스마트융합공학부 1기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2기에는 내용 변동이 있을 수 있음
- 입학년도 전액 장학금, 2~3학년 반액 장학금을 지급한다. <중소기업 취업연계 장학금(희망사다리Ⅰ유형)>
- 학기당 200만원의 취업 연계 장려금을 지급한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1학년에 한해 허용, 1년간 400만원)
- 학기당 200만원의 취업 연계 장려금을 지급한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1학년에 한해 허용, 1년간 400만원)
5.13. 지능형로봇학과
[1]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2015년 QS 대학평가 건축분야 세계 50위권[2] 2015년 QS 세계 대학 랭킹 건축분야 세계 6위, 토목분야 세계 3위.[3]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2015년 QS 대학평가 건축분야 세계 50위권[4] '선도연구센터(ERC) 육성 사업'은 공학 분야 세계적 수준의 창의성과 탁월성을 보유한 우수 연구집단을 발굴하는 국책 연구 지원 사업이다.[재] 재료화학공학과[배] 배터리소재화학공학과[7] 青岛科技大学 / Qingdao university science technology(QUST)[8] [9] 평창 스키로봇대회, Robocup 휴머노이드 분야 등 수준 높은 로봇대회는 전부 참가하며 활약 중이다.[10] 이학사에서 공학사 과정으로 개편[11] 2007년에 시행한 평가는 참여하지 않았다.[12] 이학사에서 공학사 과정으로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