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00:30:3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55b7>
파일:성남시 CI_White.svg
경기도 성남시
소재 관공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지방자치 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청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성남시의회
파일:성남시 CI.svg 중원구청 파일:성남시 CI.svg 수정구청
파일:성남도시개발공사 로고.svg 성남도시개발공사]
치안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성남중원경찰서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성남수정경찰서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분당경찰서]
법조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파일:대검찰청 CI.svg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교육 파일:경기도교육청 엠블럼.svg 경기도성남교육지원청] 파일:경기도교육청 엠블럼.svg 경기도교육청성남도서관]
보건 파일:보건소 CI.svg 성남시보건소]
세무 파일:정부상징.svg 성남세무서 파일:정부상징.svg 분당세무서
소방 파일:소방청 마크.svg 성남소방서 파일:소방청 마크.svg 분당소방서
우정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성남우체국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성남분당우체국
기타
국가기관
파일:정부상징.svg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지청
파일:KOICA_로고.svg 한국국제협력단 파일:한국디자인진흥원 CI.svg 한국디자인진흥원 파일:한국석유관리원 로고.svg 한국석유관리원
파일:한국지역난방공사 심볼.svg 한국지역난방공사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파일:한국전자기술연구원 CI.svg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파일:한국잡월드 CI.svg 한국잡월드
파일:한국도로공사 심볼.svg 한국도로공사서비스 파일:한국원자력안전재단 심볼.svg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파일:한국장애인고용공단 심볼.svg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韓國電子技術硏究院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파일:한국전자기술연구원 CI.svg파일:한국전자기술연구원 CI_다크모드.svg
설립일 1991년 8월 27일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1][2])
본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나리로 25 (야탑동)
대표전화 031-789-7000
웹사이트 홈페이지

1. 개요2. 기능3. 연혁4. 중점연구분야5. 연구성과6. 연구ㆍ행정부서7. 위치8. 보유 기술9. 국제협력현황10. 교육훈련지원11. 기업협력

1. 개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KETI(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는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제42조[3]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설립 및 지원'에 의거하여 전자·IT산업 분야의 선도기술 개발 및 기업의 기술혁신·사업화 견인을 통해 전자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의 성장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문생산기술연구기관이다.

2. 기능

3. 연혁

1991년 8월 27일,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로 설립되었으며, 1999년 1월 30일 산업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으로 독립법인이 설립되었다. 이후 2020년 8월 3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으로 국문명칭을 변경하나 영문약칭인 KETI는 그대로 유지한다.
[ 펼치기 · 접기 ]
* 1991년 8월 27일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설립. 초대 김정덕 소장 취임
  • 1994년 9월 30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정보시스템센터" 조직 인수
  • 1995년 3월 6일 산업기술협동연구센터(I-TechCenter) 및 신뢰성시험센터 설치
  • 1995년 6월 26일 제2대 장세탁 소장 취임
  • 1997년 8월 6일 국가공인시험검사기관(KOLAS) 지정
  • 1998년 6월 26일 제3대 김춘호 소장 취임
  • 1998년 8월 26일 창업보육센터 지정(중소기업청)
  • 1999년 1월 30일 산업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으로 독립법인 설립
  • 1999년 2월 1일 초대 김춘호 원장 취임
  • 1999년 4월 26일 분당 분원 설립(경기도 성남시)
  • 2000년 6월 9일 전자종합정보지원센터 설치
  • 2002년 5월 15일 부천 분원 설립(경기도 부천시)
  • 2003년 8월 29일 유비쿼터스 프론티어사업단 유치
  • 2004년 4월 1일 전자부품종합정보센터 설치
  • 2004년 4월 9일 차세대전지 성장동력사업단 주관기관 선정
  • 2005년 2월 22일 연구원 이전(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68번지)
  • 2005년 4월 1일 광주지역본부 설치
  • 2006년 12월 1일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주관기관 선정
  • 2006년 12월 21일 전북지역본부 설치
  • 2007년 5월 1일 제4대 서영주 원장 취임
  • 2008년 5월 20일 상암동 DIC 디지털융합본부 이전
  • 2009년 5월 4일 제5대 최평락 원장 취임
  • 2010년 4월 2일 중소기업청 창업보육센터 지정
  • 2010년 8월 1일 차세대 음향산업 지원센터 설치
  • 2011년 5월 19일 제46회 발명의 날, 대통령 표창
  • 2012년 6월 1일 제6대 김경원 원장 취임
  • 2012년 6월 18일 시스템반도체연구본부 판교글로벌R&D센터 입주
  • 2012년 12월 5일 2012년 세계 100대 혁신기관 선정(톰슨 로이터)
  • 2013년 5월 18일 2013 세계 표준의 날, 대통령 표창
  • 2013년 7월 6일 스마트뷰티기기 사업화지원센터 설치
  • 2014년 9월 1일 3D 가상기술산업지원센터 설치(경기도 하남시)
  • 2015년 6월 8일 제7대 박청원 원장 취임
  • 2015년 8월 18일 로봇융합부품지원센터 설치(부천)
  • 2015년 11월 26일 3D융합상용화지원센터 설립(광주)
  • 2016년 11월 23일 차세대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 설립(광주)
  • 2017년 4월 26일 IoT 가전 빅데이터 센터 설치
  • 2018년 3월 16일 에어가전혁신지원센터 설치(광주)
  • 2018년 11월 13일 제8대 김영삼 원장 취임
  • 2020년 8월 3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으로 명칭 변경
  • 2022년 2월 25일 제9대 장영진 원장 취임
  • 2022년 7월 18일 제10대 신희동 원장 취임

4. 중점연구분야

5. 연구성과

6. 연구ㆍ행정부서

출처

7. 위치

8. 보유 기술

각 기술명 옆의 단계는 현재 기술성숙도(TRL: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의미한다.

9. 국제협력현황

10. 교육훈련지원

KETI는 다양한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기업재직자, 미취업자 등에게 전문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출처

지식 나눔을 통해 지역 사회 과학문화 확산에 공헌하고, 청소년 진로 교육을 실천을 위한 연구원 견학 및 지식봉사단을 운영한다.
교육 문의는 홈페이지 상단 메뉴의 각 사업별 신청방법 또는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상담 가능시간: 평일 오전 10시 ~ 오후 5시, 토, 일 공휴일 휴무)

11. 기업협력

온/오프라인 기업협력 플랫폼을 통해 기업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에서 사업화까지 기업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한다. 출처


[1] 1999년 1월 30일 산업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으로 독립법인 설립[2] 2020년 7월 28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으로 국문명칭 변경[3] 제42조(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설립 및 지원 등) ① 중소기업자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소기업자 외의 자는 공동으로 지식경제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업종별 또는 기능별로 연구소(이하 "전문생산기술연구소"라 한다)를 설립할 수 있다.[4] '25년 1월 기준[5] '25년 1월 기준[6]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운영하는 기업공감 원스톱서비스[7] 비용은 사용장비, 사용기간 등에 따라 다르게 산정되며, 사용비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사용문의(상담신청) 이후 각 장비 담당자와의 추가상담(유선가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8] 모집공고 및 신청서는 http://ittc.keti.re.kr를 방문하면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