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21:06:57

한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웨이(프로게이머)'''{{{#!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Wei}}}에 대한 내용은 [[옌양웨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옌양웨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옌양웨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한국사 강사}}}에 대한 내용은 [[전한길]]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전한길#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전한길#|]]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Wei: }}}[[옌양웨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옌양웨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옌양웨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한국사 강사: }}}[[전한길]]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전한길#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전한길#|]]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KT Challengers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0><colcolor=#ff0a07> 감독 [[강병률|강병률
Spark
]]
코치 [[전호진|전호진
Lilac
]]
로스터
파일:TOP_icon_100.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민(2004)|이승민
PerfecT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효찬|안효찬
Sero
]]
파일:JGL_icon_100.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영재|고영재
YoungJae
]]
파일:MID_icon_100.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백진|유백진
Zinie
]]
파일:ADC_icon_100.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대길|서대길
deokdam
]]
파일:SUP_icon_100.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길|한길
Way
]]
LCK CL 참가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한길.svg한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0a07> 소속 구단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kt Rolster Challengers
2022 · 2023 · 2024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kt Rolster
2025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kt Rolster Challengers
2025 · 2026 · 2027
평가 <colbgcolor=#FFF,#1F2023>플레이 스타일
기록 대회 경력 · 주요 경력
기타 여담
}}}}}}}}} ||
파일:KT_Way_2025_1.png
<colbgcolor=#000><colcolor=#ff0a07> KT Challengers
Way
한길 (Han-Gill)
출생 2002년 6월 29일 ([age(2002-06-29)]세)
경기도 부천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9cm[1]
가족 부모님, 4남 중 둘째
학력 고등학교 (졸업)
MBTI ISFP
ID 나는먼지 #KR11 #
포도봉봉 #KR11 #
KT Sonstar #KR11 #
포지션 서포터[2]
데뷔 2022년 2월 28일
(데뷔일로부터 [dday(2022-02-28)]일째, [age(2022-02-28)]주년)
소속 KT Academy
(2020.10.07 ~ 2021.12.07)
KeG Sejong[3]
(2021.10.02 ~ 2021.10.09)
KT Challengers[4]
(2021.12.07 ~ 2024.11.20)

kt Rolster
(2024.11.20 ~ 2025.03.30)
KT Challengers
(2025.03.30 ~ 2027.11.15예정)
국가대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
에이전시 아지트매니지먼트[5]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
2.1. 2022-2024 시즌2.2. 2025 시즌
3. 선수 경력
3.1. 대회 경력3.2. 주요 경력
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 CLkt 롤스터 챌린저스 소속 서포터.

2. 플레이 스타일

2.1. 2022-2024 시즌

김동준: 그리고, 한몸 같이 움직이는 게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팀 내에서 웨이 선수의 오더에 대해서도 극찬을 맨날 하잖아요. 아마 웨이가, 인터뷰 내용을 딱 들어봐도 확실히 팀에 중추적인 오더 역할을 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6](중략)
김정민: 움직임에 군더더기가 없고요, 가는 곳마다 이유가 있어보입니다.
2024 ASCI 결승전 2세트 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김정민: 어려울 때 항상 이 선수의 손으로부터 풀립니다.
김동준: 이름도 한길, 길을 진짜 잘 알고 있는 선수거든요.
2024 ASCI 결승전 3세트 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뛰어난 피지컬을 기반으로 바텀 라인전부터 상대를 압박해 게임을 굴려가는 스노우볼형 서포터. 2군 시절부터 탈CL급이라는 평가를 받는 바텀 라인전 능력과 이를 바탕으로 한 로밍, 사파 픽을 포함한 넓은 챔피언 폭, 높은 체급을 바탕으로 한 강한 무력과 훌륭한 스킬샷에 공격적인 이니시에이팅과 운영 능력까지 장착한 넓은 육각형의 서포터이다.

가장 돋보이는 장점은 라인전. 2023~2024 시즌 파트너인 하이프와 함께 2023 시즌에도 준수한 라인전 능력을 보여줬지만, 2024 시즌에는 아예 CL에서는 적수가 없는 수준이 되었다. 라인전부터 상대의 성장을 억제하고 득점한 후 스노우볼을 굴려 승리하는 것이 2024 KT 2군의 주 승리 패턴일 정도. 라인전 딜교 능력이 좋아 유리한 상성일 때는 바텀을 터뜨리거나 강세를 유지하고, 불리한 상성일 때도 반반을 가져가며 약세를 띄우지 않는다. 이 강한 라인전을 바탕으로 초반부터 발이 풀려 로밍으로 팀에 도움을 주는 플레이에 특히 강하다. 라인전을 먼저 이겨둔 후 적재적소에 등장해 팀원들의 생존을 돕고 갱킹을 성공시키는 등 사실상 정글링을 안 하는 정글러 같은 플레이를 자주 보여준다.

라인전이 눈에 띄게 강하지만 한타에서도 강점이 있는 선수로, 정확한 스킬샷과 뛰어난 스킬 배분으로 빈사 상태의 팀원들을 살려내거나 한타각을 만들어 팀원들이 활약할 수 있는 무대를 열어주는 말 그대로 '서포터'라는 포지션에 걸맞은 능력 역시 출중하다. 피지컬이 뛰어나 이니시에이팅뿐만 아니라 순간의 판단력과 반사신경으로 주도적인 메이킹과 클러치 플레이를 해내는 선수다.

과감한 이니시와 상반되는 침착하고 차분한 플레이 또한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2군 특성상 뇌절 플레이가 자주 나오는데, KT가 공격적임에도 운영상 실수가 거의 안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팀의 이성을 맡고 있는 웨이의 존재가 크다.

챔피언 폭도 빼놓을 수 없다. 룰루, 나미, 레나타, 카르마 같은 유틸 서포터부터 라칸, 뽀삐, 레오나, 알리스타, , 탐 켄치, 브라움 같은 탱커 서포터, 노틸러스, 블리츠크랭크, 쓰레쉬 같은 그랩 서포터, 세나, 애쉬 같은 딜러 서포터, 사파 픽인 흐웨이, 럼블, 세주아니파이크까지 거의 모든 서포터 챔피언들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넓은 챔피언 폭을 가지고 있다. 파트너인 하이프 역시 크게 종류를 타지 않는 넓은 챔피언 폭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조합을 소화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파괴력이 높은 조합은 하이퍼 캐리형 원딜 + 유틸폿이다. 하이퍼 캐리 원딜 + 유틸폿 메타이던 2024 스프링 때의 하이프-웨이는 단점이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 모든 챔피언을 통틀어 가장 좋은 승률을 보여주는 챔피언은 나미로, 9전 9승 KDA 21.3을 기록 중이다.

모스트 픽이자 자신있어하는 챔피언 종류는 탱커 서포터로, 모스트 2이자 가장 자신있어하는 라칸은 27전 승률 70%을 기록 중이며 뽀삐로는 2024 ASCI에서 극찬이 쏟아지는 플레이를 보여주며 새로운 시그니처 챔피언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그 밖에도 탱커 서포터 중에서는 레오나, 알리스타, 렐, 탐 켄치, 브라움 같은 챔피언을 수준급으로 사용하며 중계진들의 극찬을 받았다. 노틸러스는 프로 통산 모스트 1 챔피언이며 38전 승률 71%를 기록 중이고, 블리츠크랭크 역시 경기에서 활약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파 픽 또한 잘 다루는데, CL 최초로 서폿 흐웨이를 기용[7]했으며 4전 4승 KDA 6.6으로 전 세계 서폿 흐웨이 기용 선수들 중 승률이 가장 높고 CL 선수들 중 기용 횟수 4위로 미드 라이너보다도 승률과 KDA가 높다. 현재 CL에서 유일한 서폿 럼블, 세주아니 기용 선수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사실상 못 다루는 챔피언이 없어 등 2군에서는 밴픽으로 하이프-웨이를 억제할 수 없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2024 시즌에 기용한 챔피언 수는 총 25개로 챌린저스 선수들 중 세인트, 스매쉬와 함께 공동 1등이었으며, 승률 50% 미만 챔피언인 오른, 바드, 자이라를 제외하면 전체 1위이다. 아쉬운 챔피언으로는 오른, 바드, 밀리오 정도가 뽑힌다.

2군에서 보여준 플레이 스타일은 전성기의 메이코와 비슷하다는 평이 많다. 가장 큰 장점이 라인전, 못 다루는 챔피언이 거의 없는 수준의 넓은 챔피언 폭과 높은 기본기와 훌륭한 메카닉에서 나오는 다재다능함을 갖추고 있고, 사령관형이 아니라 정석적인 서포터형 선수라는 점이 굉장히 비슷하다.

2021년 11월 당시 아카데미 코치들이 뽑은 서포터 유망주 1위[8]에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마타가 떠오를 만큼 정교한 스킬샷과 게임 리딩, 로밍력이 뛰어난 높은 고점을 가진 선수라는 평을 받았다. 2021년 디스이즈게임의 아카데미 선수 스카우팅 리포트 명단에 이름을 올린 유일한 서포터이기도 하며, 1위 페이즈, 2위 퀴드, 3위 랩터, 4위 윌러, 6위 칼릭스에 이은 7위에 랭크되었다.

2023 시즌에는 뛰어난 피지컬을 바탕으로 상위권 서포터라는 평가를 받긴 했으나 기복이 있어 고저점 간극이 크다는 단점과 운영과 시야 장악 부분이 약해 좋은 무력과 2군에서도 눈에 띄는 수준의 운영 오더 능력을 가진 듀로보다 평가가 낮았지만, 2024 시즌에 운영과 시야 능력을 모두 탈CL급으로 끌어올리고 기복 없이 팀의 상수로 활약하며 CL 첫 연속 정규시즌 1위와 첫 연속 통합 우승에 롤 역사상 최초의 2군 골든 로드까지 달성, 스프링 시즌엔 경쟁자 듀로를 제쳤고 서머에는 경쟁자조차 없는 압도적인 챌최폿에 등극하며 서포터 포지션 첫 연속 ALL-CL을 수상했다. ALL-CL 서포터 포지션의 유일한 다회 수상자이자 최다 수상자이기도 하다. 또한 LCK CL에서 단 두 선수만 기록하고 있는 2군 전 대회 석권 기록을 가진 선수[9]이기도 하다.

이래서 콜업 당시까지만 해도 라인전+이니시+운영 3박자를 갖춘 대형 서포터 유망주이자, KT 입장에선 절반 긁었는데 '당'이 나온 복권과 같은 취급을 받으며 1군에서의 활약은 마치 당연한 수순으로 예견되었고 당연히 듀로와 같이 고착화된 LCK 상위권 서포터 체제를 위협할 신성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2.2. 2025 시즌

하지만 LCK 컵에선 CL 시절의 호평이 무색하게 파멸적인 부진으로 KT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 광탈의 가장 큰 지분을 가진 선수로 지목받고 있다. 어느 정도나면 웨이 못지않게 부진한 덕담커즈조차 웨이가 너무 못해서 제대로 된 판단이 안 된다며 신중론이 나올 정도이니 말 다 한 셈. 단순히 못하는 수준을 넘어서 LCK 역대 최악의 서포터로 꼽히는 눈꽃, 아이로브에 비견되는 것도 모자라 1군 수준이 아니라는 혹평을 받은 을 소환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1군과 2군의 격차가 얼마나 큰지만 보여주고 있다.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그 중에서도 제일 큰 문제는 필요 이상으로 과감한 플레이이다. 라인전 단계부터 공격적인 플레이를 즐겨 하는데, 문제는 이게 성공으로 이어지는 빈도가 현저하게 적고 실패했을 때 리스크가 큰데도 한 치의 고민 없이 계속해서 시도하다 보니 라인전부터 한타까지 계속해서 상대에게 킬을 헌납하고 시작한다는 점이다. 장점이라던 공격적인 라인전과 스킬샷이 1부 수준에서는 전혀 통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하필 파트너 덕담도 라인전이 약한 선수인데 웨이가 십중팔구 라인전에서 사고를 치고 시작하다 보니 해당 단점이 극대화되고 덕담도 폼이 엉망인 모습만을 보이다 보니 KT가 바텀에서의 약세를 극복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질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한타 단계에서도 뭔가 눈에 띄는 메이킹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데, 점멸-CC기 연계를 시도했다가 빗나가거나 맞추더라도 순식간에 빨려들어가 화려하게 실패하고 그대로 산화하는 모습만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웨이가 당장 LCK에서 통한다는 근거로 꼽혔던 탈챌코급 운영과 오더도 LCK 퍼스트 팀까지 먹은 베테랑 정글러 커즈와 함께하는데도 KT의 운영이 특출나게 돋보인다는 이야기는 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상대의 노림수에 다 걸려들거나 뻔한 수를 던졌다가 처절하게 응징당하기만 하면서 KT 팬들의 탄식을 자아내고 있다.

워낙 2군과 1군에서의 낙차가 크다 보니 정규시즌에서 반전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롤판 2군 본즈의 대표적인 사례로 두고두고 회자될 것으로 보이며[10], 결국 정규시즌 개막 전까지 상기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았는지 정규시즌 개막 전 팬미팅에서 2군 서포터였던 피터가 1군에 콜업된 게 밝혀지며 다시 2군으로 샌드다운되고 말았다.

3.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길/선수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길/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길/선수 경력#|]][[한길/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대회 경력

3.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LoL 부문 우승
대한민국 대한민국 중국
2024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우승
2024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우승
NS ESPORTS ACADEMY KT Challengers KT Challengers
2024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우승
DRX Challengers KT Challengers 미정
All-CL Team 선정
2024 LCK CL SPRING TEAM
2024 LCK CL SUMMER TEAM

4. 여담

5. 둘러보기

한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8dd9b> 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로고.svgAsia Star Challengers
Invitational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SUB_icon_black.png
SUB
파일:Coach_icon.png
COACH
<colbgcolor=#08dd9b><rowcolor=#61b52f> 2022 파일:EDward_Gaming_Youth_Teamlogo_square.pn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Solokill
파일:중국 국기.svg
Monki
파일:중국 국기.svg
Cyku
파일:중국 국기.svg
Leave
파일:중국 국기.svg
Xiamu
- 파일:중국 국기.svg
Ash
파일:대만 국기.svg
Hua
2023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ro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pon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eTa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eokd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lea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re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rush
2024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st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mBa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ini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yp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a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u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onst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ila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park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CL 로고 화이트 (2021~).svgLCK Challengers League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CK 폐지 후 LCK CL 출범.
2021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Roach · Mowgli · Mireu · Berseker · Asper · Hoit
서머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Lonely · Flawless · Karis · Ophelia · Dice · Envyy · Kael
2022 스프링 파일:DWG KIA 엠블럼.svg Thanatos · Lucid · Pullbae · Rahel · Bible · Kingdom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DnDn · Sylvie · FIESTA · Jiwoo · Peter · Goliath · Blessing
2023 스프링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Thanatos · Lucid · Pullbae · Saint · Rahel · Bible · Loopy
서머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Mihile · Sounda · Callme · Calix · vital · HH
2024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Casting · HamBak · Zinie · Pout · Hype · Way
서머
2025 킥오프 Casting · Sero · YoungJae · Zinie · Paduck · Peter
정규 시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CL 로고 화이트 (2021~).svg LCK Challengers League
ALL-CL TEAM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21 스프링 파일:T1 LoL 로고.svg Roach 파일:T1 LoL 로고.svg Mowgli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Mask 파일:T1 LoL 로고.svg Berserker 파일:T1 LoL 로고.svg Asper
2021 서머 파일:Afreeca Freecs 로고.png IlllIma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YoungJae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TolanD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Envyy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Kael
2022 스프링 파일:DRX 로고(2020~2022).svg Clear 파일:DRX 로고(2020~2022).svg Peach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VicLa 파일:DRX 로고(2020~2022).svg Pleata 파일:DRX 로고(2020~2022).svg Jun
2022 서머 파일:T1 LoL 로고.svg Photon 파일:DWG KIA 엠블럼.svg Lucid 파일:T1 LoL 로고.svg TolanD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yz 파일:T1 LoL 로고.svg Kabbie
2023 스프링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Clear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Lucid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Feisty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Pleata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Duro
2023 서머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Thanatos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Lucid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Callme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deokdam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Bible
2024 스프링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Rooster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HamBak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Zinie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Hype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Way
2024 서머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Siwoo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HamBak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Zinie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Hype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Way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 파일:ECEA 로고.svgEsports Championships East Asia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자
}}}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우승국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SUB_icon_black.png
SUB
파일:Coach_icon.png
COACH
<colbgcolor=#fff><rowcolor=#61b52f> 20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lllI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onni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lan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nvy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eong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cL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Bazi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hot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c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IEST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he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lan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l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oblesse
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oos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amBa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li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t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u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a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ell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ilac
2024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Nuo
파일:중국 국기.svg
climber
파일:중국 국기.svg
xqw
파일:중국 국기.svg
chips
파일:중국 국기.svg
Mitsuki
- 파일:중국 국기.svg
BoBo
}}}}}}}}} ||

[1] 덩치가 키에 비해 꽤 있어서 처음 웨이의 모습을 보고 무조건 180은 넘는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많았다.[2] 2022 CL 스프링에서 원딜로 경기에 출전한 경험이 있다.[3] 2021 전국 아마추어 e스포츠 대회(KeG)에 당시 KT Academy 소속이었던 선수들이 세종시 대표로 출전하였으며, 탑 퍼펙트, 정글 전준혁(현 OK저축은행 브리온 아카데미 소속 정글러), 미드 콜미, 원딜 양지혁, 서포터 웨이로 구성되었다. 2021년 8월 28일에 퍼펙트와 웨이만 닉네임을 달았기 때문에 당시 닉네임은 PerfecT, JUG, MID, ADC, Way로 출전했다.[4] 2022.01.01 ~ 2022.02.27 로스터 비활성화[5] #[6] KT 챌린저스가 가장 극찬 받았던 부분이 바로 1군급 운영이라는 걸 생각하면 KT 내에서 웨이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7] 여담으로 LCK 최초로 흐웨이를 기용한 팀도 KT다. 기용자는 서포터인 베릴.[8] 당시 탑 유망주 2위가 퍼펙트, 원딜 유망주 1위가 페이즈, 정글 1위가 함박이였으며, 네 선수 모두 LCK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9] LCK CL 스프링과 서머, ASCI,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나머지 한 명은 2023~2024 시즌에 같은 팀이었던 함박이다.[10] 다만 웨이의 부진에 대해선 CL에서 어떤 플레이를 시도해도 다 성공한 바람에 안 좋은 버릇이 들어버렸다고 보는 시선도 있다. 특히 웨이는 2022 시즌부터 2024 시즌까지 무려 3년 동안 KT 2군에 있다 보니 이런 버릇이 아예 플레이 스타일로 굳어진 지 오래고, 이 문제를 고치기에는 나이를 꽉 채워서 뒤늦게 데뷔하는 바람에 LCK에서는 CL에서 통했던 이니시가 전혀 통하지 않고 있다. 거기다 나이도 유망주라 하기엔 애매한 2002년생인지라 이러한 문제점을 고치지 않는다면 데뷔 시즌이 LCK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될 수 있다.[11] 이 중에서 웨이와드와 밀키웨이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은 본명에 웨이가 들어가서 스펠링이 Wei이고, 웨이와드와 밀키웨이, 한길은 Way로 표기한다.[12] 방송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솔랭 1페이지, 그 중에서도 안정권인 40등 이내였다고.[13] 얼마나 흉가였냐면 마지막으로 주전으로 뛰었던 성골 서포터가 2013년 KT에 합류한 하차니다.(...) 무려 11년 만에 KT 성골 서포터가 LCK에 데뷔한 셈.[14] 정글은 애로우즈, 불리츠 시절부터 인섹-카카오라는 한 시대를 풍미한 정글러가 양팀에 있었고 통합 이후엔 창단멤버이자 LCK 역사에 빼놓을 수 없는 스코어를 시작으로 블랭크-커즈-표식 등 굵직한 족적을 남긴 정글러들이 거쳐 갔다.[15] 실제로 서포터 선수 거의 대부분이 ISFP 혹은 ISTP이다.[16] 같은 방이었던 커즈는 웨이의 잠꼬대를 겪고는 바로 룸메이트를 바꿨다는 썰도 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