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 Nongshim RedForce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de2027><colcolor=#fff> 감독 | [[박승진(프로게이머)|박승진 Chelly ]] | |
코치 | [[김재희|김재희 Crazy ]]|[[김태양(프로게이머)|김태양 SSUN ]] | ||
로스터 | |||
TOP | Kingen ]] | ||
JGL | GIDEON ]] | ||
MID | Calix ]] | ||
BOT | Jiwoo ]] | ||
SPT | Lehends ]] | ||
LCK 참가팀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de2027> 파일:선현빈.svg | 선현빈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027><colcolor=#fff> 소속 구단 | | NONGSHIM ESPORTS ACADEMY |
2023 · 2024 | |||
| Nongshim RedForce | ||
2024 | |||
|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 ||
2025 | |||
| Nongshim RedForce | ||
2025 | |||
기록 | 주요 경력 |
| |
<colbgcolor=#de2027><colcolor=#fff> Nongshim RedForce Calix | |
선현빈 (Seon Hyun-bin) | |
출생 | 2007년 3월 22일 ([age(2007-03-22)]세) |
국적 |
|
포지션 | 미드 |
ID | 민 주 #3108 # |
소속 | NS Academy (2021.03.17 ~ 2023.01.05) NS ESPORTS ACADEMY[1] (2023.01.05 ~ 2024.07.18) Nongshim RedForce (2024.07.18 ~ 2024.11.28) NS Challengers (2024.11.28 ~ 2025.04.16) Nongshim RedForce (2025.04.16 ~ 2026.11.16예정) |
에이전시 | 쉐도우코퍼레이션 |
국가대표 |
(2023) |
1. 개요2. 주요 경력3. 선수 경력
3.1. 2023 시즌
4. 둘러보기3.1.1.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3.1.2.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3.1.3.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3.2. 2024 시즌3.3. 2025 시즌1. 개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의 농심 레드포스 소속 미드 라이너.2023 시즌 농심 챌린저스에서 데뷔 후 나이에 맞지 않는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항상 골칫덩이였던 농심의 미드 라이너 자리를 차지할 성골 유망주로 기대받고 있다.
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 ||||
2022 LCK Academy Series 상반기 아카데미 리그 우승 | ||||
Shadow deeplol | → | NS Academy | → | AMY |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우승 | ||||
DK Challengers | → | NS ESPORTS ACADEMY | → | KT Challengers |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LoL 부문 우승 | ||||
대한민국 | → | 대한민국 | → | 중국 |
준우승 경력 | ||||
2022 LCK Academy Series 3월 오픈 토너먼트 준우승 | ||||
Shadow Battlica | → | NS Academy | → | T1 Rookies |
수상 경력 | ||||
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 LoL 부문 MVP | ||||
최용혁 (대한민국) | → | 선현빈 (대한민국) | → | 미정 |
3. 선수 경력
3.1. 2023 시즌
3.1.1.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브리온 전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깔끔하게 2:0으로 승리했다.3.1.2. 2023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Callme 오지훈 선수가 챌린저스에 복귀하여 콜미 선수의 교체 멤버로 활약하였다.3.1.3. 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그룹 스테이지에서 Callme 오지훈 선수가 첫 세 경기에 출전하고, 나머지 세 경기에 칼릭스 선수가 출전하여 전승을 달성했다.IG Young과의 8강전에서 2:0으로 밀리고 있는 중 3세트에 교체투입되었으나, 결국 3:0으로 패배하고 탈락하였다.
3.2. 2024 시즌
3.2.1.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2024년 3월 22일 스프링 마지막 경기 FOX전에 선발 출전했다. 마침 이날이 칼릭스의 생일이라 17세가 되어 LCK의 나이 제한을 통과했기에, 말 그대로 출전 가능 신분이 되자마자 LCK 데뷔전을 치른 셈이 되었다. 1세트는 졌지만 2세트는 역전승하였고 3세트 때 원래 주전이었던 콜미랑 교체되었다. 팀은 2:1로 승리하였다.3.3. 2025 시즌
이후 2025년에는 CL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됐다.
3.3.1. 2025 LoL Champions Korea
2025년 4월 16일 T1전을 앞두고 피셔 대신 교체 출전하면서 LCK 복귀전을 치렀다. 경쟁자인 피셔가 나쁜 폼이 아니었기에 강팀 상대로 경험치를 먹이려는 의도로 생각하는 팬들이 많았지만 1세트는 사이드에서, 2세트는 한타에서 날카로운 모습을 보이며 페이커를 상대로 주눅 들지 않고 맹활약하며 주전 경쟁에 불을 지피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인터뷰에서 박승진 감독이 피셔에게 시즌 초부터 지적했던 부분이 계속 고쳐지지 않아 칼릭스를 콜업했다고 밝혔다.4월 23일 BFX전에서 1세트 라이즈, 2세트 아지르로 맹활약을 펼치며 본인의 LCK 통산 첫 승과 함께 POM까지 선정되는 기쁨을 누렸다.[2] 특히 2세트는 지우가 심각한 집중력 부족으로 연달아 잘리며 다 이긴 경기가 넘어갈 뻔했음에도 한타마다 하드캐리를 시전해 팀을 멱살잡고 이끌면서 고수진 해설로부터 "이게 페이커야 칼릭스야!"라는 극찬까지 들었다.[3]
4. 둘러보기
선현빈 관련 틀 | |||||||||||||||||||||||||||||||||||||||||||||||||||||||||||||||||||||||||||||||||||||||||||||||||||||||||||||||||||||||||||||||||||||||||||||||||||||||||||||||||||||||||||||||||||||||||||||||||||||||||||||||||||||||||||||||
|
[1] Nongshim RedForce
(2024.03.22 ~ 2024.03.25)[2] 만장일치도 노려볼 수 있었으나 아쉽게도 리헨즈가 한 표를 가져가면서 13표 중 12표를 받아 딱 한 표가 모자랐다.[3] LCK의 미드 라인은 전 세계 어떤 리그와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강력한데, 이런 와중에 신인 미드가 주목 받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5대미드는 차치하고, 못해도 클로저, 유칼과 맞댈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데뷔라도 가능한 상황. 특히나 최근 신인 선수들은 올드 챔피언에 대한 이해도가 아무래도 베테랑들에 비해 부족하다보니 아지르, 라이즈로 이 정도의 화제를 모은 것이 정말 대단한 일이다.
(2024.03.22 ~ 2024.03.25)[2] 만장일치도 노려볼 수 있었으나 아쉽게도 리헨즈가 한 표를 가져가면서 13표 중 12표를 받아 딱 한 표가 모자랐다.[3] LCK의 미드 라인은 전 세계 어떤 리그와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강력한데, 이런 와중에 신인 미드가 주목 받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5대미드는 차치하고, 못해도 클로저, 유칼과 맞댈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데뷔라도 가능한 상황. 특히나 최근 신인 선수들은 올드 챔피언에 대한 이해도가 아무래도 베테랑들에 비해 부족하다보니 아지르, 라이즈로 이 정도의 화제를 모은 것이 정말 대단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