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6:18:32

복자회


파일:라틴 십자가.svg
가톨릭의 수도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000>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황청 설립 수도회
<colbgcolor=#ffc224> 남자 수도회 <colbgcolor=#fff,#1c1d1f>가르멜회 · 구속주회 · 그리스도의레지오회 · 글라렛선교회 · 꼰솔라따선교회 · 도미니코회 · 마리스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의아들회 · 말씀의선교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 · 사랑의선교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성모승천회 · 시토회 · 아우구스티노회 · 예수회 · 예수고난회 · 예수성심의로가찌오니스티회 · 예수성심전교회 · 예수의작은형제회 · 오블라띠선교회 · 작은형제관상선교회 · 천주의성요한의료봉사회 · 카르투시오회 · 프란치스코회
여자 수도회 가난한이들의작은자매회 · 가르멜회 · 거룩한열정의딸수도회 · 골롬반회 · 그리스도왕선교수녀회 · 그리스도의교육수녀회 · 그리스도의성혈흠숭수녀회 · 글라렛선교수녀회 · 길의성모재속회 · 노틀담회 · 느베르애덕수녀회 · 도미니코회 · 도움이신마리아수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수녀회· 마리아의작은자매회 · 마리아의전교자프란치스코수녀회 · 마리아의종수녀회 · 메리놀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 · 보혈선교수녀회 · 복자회 · 안드레아수녀회 · 사랑의선교회 · 사랑의성모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샬트르성바오로수녀회 · 성령선교수녀회 · 성모마리아방문봉쇄수녀회 · 성모승천봉헌자선교수녀회 · 성심수녀회 · 성체선교클라라수녀회 · 성프란치스코병원수녀회 · 세례자성요한수녀회 · 시토회(트라피스트회) · 씨튼회 · 영원한도움의성모수도회 · 예수고난회 · 예수마리아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수도회 · 예수의작은자매들의우애회 · 원죄없으신마리아교육선교수녀회 · 위로의성모수녀회 · 자비의메르세다리아스수녀회 · 작은자매관상선교수녀회 · 착한목자수녀회 · 천주섭리수녀회 · 카르투시오회 · 트르와사랑의성모수녀회 · 프란치스코회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구 설립 수도회
남자 수도회 그리스도 수도회 · 꽃동네 수도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작은예수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여자 수도회 가르멜의모후수도회 · 거룩한말씀의회 · 꽃동네 수녀회 · 나자렛예수수녀회 ·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삼성산성령수녀회 · 섭리의딸수녀회 · 성가소비녀회 · 성령강림사도수녀회 · 성삼의딸들수녀회 · 성안드레아수녀회 · 수원성빈센트드뽈자비의수녀회 · 수원순교가르멜봉쇄여자수도원 · 순교자들의선교수녀회 · 순교자의모후전교수녀회 · 예수그리스도수녀회 · 예수성심시녀회 · 예수의선교수녀회 · 예수의성모수녀회 · 예수의소화수녀회 · 오순절요셉자매회 · 원죄없으신성모의기사성프란치스코수녀회 · 인보성체수녀회 · 작은예수회 · 천사의모후수녀회 · 티없으신마리아성심수녀회 · 파티마의성모프란치스코수녀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 한국성모의자애수녀회 · 한국외방선교수녀회
※ 이 표에 기재된 수도회 외에도 가톨릭의 수도회는 많습니다. 틀의 분량이 방대하므로 한국에서 활동하지 않는 수도회는 기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 여러 수도회를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하여 기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게 하였으나,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할 수 있는 수도회들이나 누락된 수도회들을 발견하신 분은 기여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전 세계의 수도회에 대한 정보는 영문 위키피디아 문서영문 위키피디아 틀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위키피디아 문서와 틀에 기재되어있지 않은 수도회도 있습니다.
}}}}}}}}}

복자회
{{{#!wiki style="color:#7E1416;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7E1416><colcolor=#FFFFFF> 복자회 수도 단체 <colcolor=#000000>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부속 제3회) · 한국순교복자수녀회 (부속 재속회) ·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
주보성인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와 101위 동료 순교자를 비롯한 한국의 순교자들
창설자 무아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
영성 복자회 영성 (면형무아 · 점성 · 침묵 · 대월 · 완덕오계 · 침묵십계)
본당 및 학교 천주교 서울대교구 새남터 성지 · 학교법인 복자학원 (복자여자중학교 · 복자여자고등학교)
}}}}}}}}}||
<colbgcolor=#7E1416><colcolor=white> 무아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 설립
복자회 수도가족
수도회
일람
한국
순교복자
성직수도회
한국
순교복자
수녀회
한국
순교복자
빨마수녀회
형태 교구 설립
수도회
교황청 설립
수도회
교구 설립
수도회
성별 남성 여성 여성
설립일 1953년 10월 30일 ([age(1953-10-30)]주년) 1946년 4월 21일 ([age(1946-04-21)]주년) 1962년 10월 1일 ([age(1962-10-01)]주년)
총원장 백남일 요셉 신부 이순이 베로니카 수녀 정춘자 성심데레사 수녀
국내
수도자
현황
[1]
종신성직수도자 65명
종신평수도자 26명
유기평수도자 22명
종신서원자 484명
유기서원자 25명
수련자 10명
종신서원자 51명
유기서원자 4명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BJBS 가톨릭 복자방송3. 역사4. 영성5.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6. 한국순교복자수녀회7.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8. 여담9.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복자회는 방유룡 신부가 창설한 가톨릭 남녀 수도회들을 모두 아울러 부르는 말이다. 복자회는 제1회[2]로서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제2회[3]로서 한국순교복자수녀회와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를 보통 일컫는다. 의미를 확장하면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에 부속된 제3회, 한국순교복자수녀회에 부속된 재속회까지를 포함할 수 있다.

2. BJBS 가톨릭 복자방송

3. 역사

천주교 경성대목구(현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이었던 방유룡 레오 신부(1900 - 1986, 1930년 수품)는 신학생 시절부터 수도생활에 뜻이 있었다. 당시 한국에는 자생한 토종 수도회가 없었고, 방 신부는 외래 수도회들을 방문해 보기도 하였으나 직접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방인(邦人)수도회를 창설하는 것이 자신의 사명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교구사제로서 본당 사목을 하면서 수도생활에 뜻이 있는 2명의 여성 평신도 윤병현(尹炳賢)과 홍은순(洪恩順)을 만나게 되었고, 이들과 함께 한국 최초의 방인 수도회인 한국순교복자수녀회를 1946년 창설하였다. 방 신부는 이어 1953년 한국 최초의 남성 방인 수도회인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를 창설하였고, 1962년에는 미망인들을 위한 수도공동체로서 한국순교복자빨마회를 창립하였다. 이후 한국순교복자빨마회는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로 발전하였다.

4. 영성

대부분의 수도회들은 서로 구분되는 고유한 영성 체계들을 각각 가지고 있다. 다양한 영성 체계들은 특히 강조하는 덕목, 주로 묵상하는 주제, 수도자에게 요구하는 인품, 사도직의 지향이 각기 다르다. 예컨대 예수회는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의 영성을 따르고, 베네딕토회는 성 베네딕토의 영성을 따르는 등 각 수도회의 영성은 서로 다르며 이는 여러 수도회의 제각각 다른 카리스마의 원천이 된다. 여러 가톨릭 수도회들의 다양한 영성 체계들은 보편교회의 가르침에 일치하고 있다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우월하다거나 어떤 것은 틀렸다고 이야기할 것은 아니며, 제각기 다른 검증된 영성 체계들은 그 자체로 존중할 만하다. 복자회 또한 다른 수도회들과 구분되면서도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과 일치하며 검증된 영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한국인의 심성에 맞는 한국적인 수도회 창설’이 목표였던 방유룡 신부는, 수도회의 영성과 목표에 대해서도 점성() · 침묵() · 대월() · 면형무아() · 완덕오계() · 침묵십계() 등의 동양적인 용어들을 많이 사용했다. 이런 개념들을 가진 복자회의 독창적인 영성 체계는 방유룡 신부의 한학에 대한 깊은 조예를 가톨릭 신앙에 융합시킨 사례로, 한국적 가톨릭 영성 발전의 기념비적 성취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술된 내용은 복자회 수도단체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안내하는 영성의 내용을 추린 것이다. 영성 체계에 대해서는 비전문가가 사견이나 분석을 덧붙이면 사소한 잘못으로도 심각한 오류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이하의 서술은 복자회 홈페이지의 내용을 길지 않게 정리했을 뿐인 개괄에 머무르고 있기에, 복자회 영성에 대한 더욱 자세하고 정확한 설명을 듣기 위해서는 복자회에서 직접 운영하는 BJBS 가톨릭 복자방송 유튜브 계정의 복자영성 재생목록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좋다.
BJBS 가톨릭 복자방송 복자영성 재생목록 中 복자영성 -예고편-

복자회의 영성은 점성 · 침묵 · 대월로 면형무아를 통해서 일상의 삶을 봉헌하며 그리스도께 나아가는 것이다. 이 가운데 ’면형무아‘라는 개념은 복자회 수도단체들의 회원들이 추구하는 영성의 정점이다. 사제의 미사 중 성체 축성을 통해 밀 제병의 실체는 없어지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어 성체가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되듯이, 수도자 개인의 인간적인 본성을 비워내어 하느님을 온전히 담아내며 하느님과 하나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면형무아의 덕에 이르기 위해 복자회원들은 ‘점성정신’을 지니며 ‘침묵’의 실천을 통해 ’대월생활‘을 하려고 노력한다.

점성정신은 면형무아의 경지에 이르는 여정의 근본이자 기초이며, 면형무아에 꼭 필요한 ’자기무화(自己無化)‘를 설명하기 위해 ‘점’의 성질에서 착안한 개념이다. 점은 존재하는 것들 중 가장 작으면서도 모든 선 · 면 · 부피 · 도형의 시작과 끝을 맺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정작 점 자신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다른 형상 속으로 숨는다. 방유룡 신부는 점의 특성이 자기 비움과 겸손의 덕목을 표현하기 적합하다고 보았다. 점성정신은 또한 점처럼 작은 일에도 소홀하지 않도록 수도회원들을 이끈다.

침묵은 방유룡 신부의 영성 체계 안에서 하느님과 하나 되기 위하여 영혼에게 요구되는 극기(克己)의 과정 전체를 의미한다. 여기서의 침묵은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자기 없음과 자아부정(自我否定)을 뜻한다. 침묵은 자아의 죽음, 즉 순교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희생은 침묵의 절정인 것이다. 인간적 한계로 인해 예수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위해 방해되는 것은 무엇이든 없애고 거부하는 침묵의 실천을 위한 일상생활에서의 지침으로 완덕오계와 침묵십계가 존재하는데, 각 계명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상술된 재생목록에서 배울 수 있다.

대월은 영혼이 현실적인 모든 것을 떠나 하느님을 대면하여, 하느님의 현존 속에서 누리는 신비적인 비상(飛翔)의 경지이다. 유교 선비들이 상제(上帝) 앞에 서 있다고 생각하고 몸과 정신을 가다듬어 깨어있는 경지를 일컫는 대월상제(對越上帝)라는 말에서 유래했다. 수도생활은 언제 어디서나 하느님을 의식하고 하느님과 더불어 사는 삶이므로, 수도생활이 곧 대월생활인 것이다. 또한, 하느님은 곧 사랑이시므로 대월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모든 인간적 한계를 뛰어넘어 항상 사랑을 실천하게 되기에 대월은 관상을 넘어 사랑의 실천에까지 연관된 개념이다.

5.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본원을 두고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새남터 순교성지 성당의 사목을 맡고 있으며, 피정의 집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 마카오필리핀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6.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동에 본원을 두고 있으며,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운영하는 복자여자중학교복자여자고등학교는 지역에서 명문학교로 [age(1961-01-01)]년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에는 관상(봉쇄) 수녀원도 있다.

7.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는 복자회 수도단체들 중 가장 나중에 설립되었으며, ’빨마회‘라고 줄여 불러도 이 수녀회라는 의미가 통한다. 본래 이 단체는 기혼자 미망인들을 위한 수도 단체로서 1962년 ‘한국순교복자빨마회’로서 설립되었는데, 이후 수녀회로 발전하였다. 복자회 수도단체들의 설립자인 방유룡 신부는 여러 수도회와 제3회 및 외부회를 통해 남성과 여성, 미혼자와 기혼자를 모두 아우르려는 의도를 가진 것이다. 그런 이유인지, 빨마회의 초기 수도자인 안 루시아 빨마회 초대 원장 수녀는 아들인 최 신부를 부산교구의 사제로 봉헌한 어머니이다.

방유룡 신부는 한국순교복자수녀회의 첫 수녀들인 윤병현 · 홍은순 두 수녀에게 빨마회의 설립을 허가하였고, 평신도로서 방유룡 신부의 영성을 따르는 신실한 제3회원이었던 두 미망인, 안 루시아와 하 발바라가 1962년 10월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에서 집 한 칸을 빌려 수도생활을 시작하였다. 이것이 빨마회의 시작으로, 1957년에는 오륜대로 새로이 본원을 지어 옮겼다고 한다. 1992년 부산교구 소속 수도회로 인가를 받은 빨마회는 ‘한국순교복자빨마원’으로 정식 명칭을 바꾸었고, 1996년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로 다시 이름을 바꾸었다. 초기에는 미망인들의 수도 공동체였던 빨마회는 회원들이 한때 부인이었던 사람들이기 때문에, 경험을 살려 사제관에서의 요리를 주된 소임으로 삼았다.

본원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소재하고 있으며, 한국 천주교 주소록에 따르면 분원은 하술할 사도직의 각 장소들인 서울특별시 성북구[4]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 인천광역시 강화군 · 경상북도 안동시 · 충청남도 금산군 · 경상남도 양산시 · 부산광역시 중구 ·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소재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사도직으로는 남매 수도회인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에 파견된 것을 비롯하여, 대전가톨릭대학교인천가톨릭대학교에 파견되어 주방 업무 · 재정 관리 · 전례 보조 · 세탁 업무 등의 소임으로 봉사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안동교구에서는 주교관에 파견되어 주교와 교구청 근무 사제들을 위하여 조리 등의 봉사에 임하고 있다. 이 밖에도 한국 천주교 주소록에 따르면 대전교구 관할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한 특수사목 사제관에서 봉사하고 있다고 한다.

본원이 위치한 부산교구의 관할 구역 내에서는 더욱 다양한 사도직을 수행하고 있는데,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부산교구 소속 피정의 집 ‘정하상 바오로 영성관’에 파견되어 피정객들을 맞아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양산시에 위치한 양로 시설 ‘양산 무아의 집’에서는 입주 노인들을 돌보는 사도직을 수행하고 있다. 부산교구의 공동 주교좌 본당들인 중앙성당과 남천성당 두 곳에서는 성물방을 운영한다. 오륜대 성지에서는 ‘빨마 피정의 집’이라는 피정의 집을 운영 중이라고 한국 천주교 주소록에 전해지나, 오륜대 성지가 대대적인 공사를 진행 중이기에 현재 운영 여부는 불명확하다.

8. 여담

9. 출신 인물



[1] 한국 천주교 통계 2023 기준[2] 어떤 수도단체의 남자 수도회를 제1회라고 부른다.[3] 어떤 수도단체의 여자 수도회를 제2회라고 부른다.[4]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본원의 주소와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