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의 수도회와 사도생활단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황청 설립 수도회 | |
<colbgcolor=#ffc224> 남자 수도회 | <colbgcolor=#fff,#1c1d1f>가르멜회 · 구속주회 · 그리스도의레지오회 · 글라렛선교회 · 꼰솔라따선교회 · 도미니코회 · 마리스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의아들회 · 말씀의선교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오딜리아 연합회 · 올리베따노 연합회) · 사랑의선교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성모승천회 · 시토회 · 아우구스띠노회 · 예수회 · 예수고난회 · 예수성심의로가찌오니스티회 · 예수성심전교회 · 예수의작은형제회 · 오블라띠선교회 · 작은형제관상선교회 · 천주의성요한의료봉사수도회 · 카르투시오회 · 프란치스코회 | |
여자 수도회 | 가난한이들의작은자매회 · 가르멜회 · 거룩한열정의딸수도회 · 골롬반회 · 그리스도왕선교수녀회 · 그리스도의교육수녀회 · 그리스도의성혈흠숭수녀회 · 글라렛선교수녀회 · 길의성모재속회 · 노틀담회 · 느베르애덕수녀회 · 도미니코회 · 도움이신마리아수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수녀회· 마리아의작은자매회 · 마리아의전교자프란치스코수녀회 · 마리아의종수녀회 · 메리놀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 · 보혈선교수녀회 · 복자회 · 안드레아수녀회 · 사랑의선교회 · 사랑의성모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샬트르성바오로수녀회 · 성령선교수녀회 · 성모마리아방문봉쇄수녀회 · 성모승천봉헌자선교수녀회 · 성심수녀회 · 성체선교클라라수녀회 · 성프란치스코병원수녀회 · 세례자성요한수녀회 · 시토회(트라피스트회) · 씨튼회 · 영원한도움의성모수도회 · 예수고난회 · 예수마리아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수도회 · 예수의작은자매들의우애회 · 원죄없으신마리아교육선교수녀회 · 위로의성모수녀회 · 자비의메르세다리아스수녀회 · 작은자매관상선교수녀회 · 착한목자수녀회 · 천주섭리수녀회 · 카르투시오회 · 트르와사랑의성모수녀회 · 프란치스코회 | |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구 설립 수도회 | ||
남자 수도회 | 그리스도 수도회 · 꽃동네 수도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작은예수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 |
여자 수도회 | 가르멜의모후수도회 · 거룩한말씀의회 · 꽃동네 수녀회 · 나자렛예수수녀회 ·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삼성산성령수녀회 · 섭리의딸수녀회 · 성가소비녀회 · 성령강림사도수녀회 · 성삼의딸들수녀회 · 성안드레아수녀회 · 수원성빈센트드뽈자비의수녀회 · 수원순교가르멜봉쇄여자수도원 · 순교자들의선교수녀회 · 순교자의모후전교수녀회 · 예수그리스도수녀회 · 예수성심시녀회 · 예수의선교수녀회 · 예수의성모수녀회 · 예수의소화수녀회 · 오순절요셉자매회 · 원죄없으신성모의기사성프란치스코수녀회 · 인보성체수도회 · 작은예수회 · 천사의모후수녀회 · 티없으신마리아성심수녀회 · 파티마의성모프란치스코수녀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 한국성모의자애수녀회 · 한국외방선교수녀회 | |
한국에서 활동하는 사도생활단 | ||
남자 사도생활단 | 과달루페외방선교회 · 대사제예수의사업 · 메리놀외방전교회 · 성골롬반외방선교회 · 성황석두루카외방선교형제회 · 천주교사도직회(팔로티회) · 천주교서울국제선교회 · 파리외방전교회 · 필리핀외방선교회 · 한국외방선교회 | |
여자 사도생활단 | 성빈첸시오아바오로사랑의딸회 · 성프란치스코하비에르사도회 · 성황석두루카외방선교자매회 · 프라도수녀회 | |
※ 이 표에 기재된 수도회 외에도 가톨릭의 수도회는 많습니다. 틀의 분량이 방대하므로 한국에서 활동하지 않는 수도회는 기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 여러 수도회를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하여 기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게 하였으나,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할 수 있는 수도회들이나 누락된 수도회들을 발견하신 분은 기여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전 세계의 수도회에 대한 정보는 영문 위키피디아 문서나 영문 위키피디아 틀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해당 위키피디아 문서와 틀에 기재되어있지 않은 수도회들도 많습니다. | }}}}}}}}} |
구속주회 Congregatio Sanctissimi Redemptoris | |||||
| |||||
<colbgcolor=#a91c1b,#a91c1b><colcolor=#fff,#fff> 정식 명칭 | 지극히 거룩한 구속주 수도회 | ||||
표어 | <colbgcolor=#a91c1b,#a91c1b><colcolor=#fff,#fff> 라틴어 | {{{#a91c1b,#a91c1b 'Copiosa apud eum redemptio'}}} | |||
영어 | With Him is Plentiful Redemption | ||||
한국어 | 주님께는 풍요로운 구속이 있나이다 | ||||
설립 시기 | 1732년 11월 9일 ([age(1732-11-09)]주년) | ||||
설립자 |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C.Ss.R | ||||
총장 | 초대 |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C.Ss.R | |||
현재 | 로게리오 고메스 C.Ss.R (Rogério Gomes) | ||||
규모 | 4,498명 (2025) | ||||
종교 | 가톨릭 | ||||
수호성인 | 성모 마리아 | ||||
웹사이트 | |||||
소재지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91c1b,#a91c1b><colcolor=#fff,#fff> 총회 | <colbgcolor=white,#1f2023>이탈리아 로마 구속주회 총회 (Via Merulana, 31 - 00185 Roma, IT) | |||
<nopad> |
언어별 명칭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91c1b,#a91c1b><colcolor=#fff,#fff> 라틴어 | <colbgcolor=white,#1f2023> Congregatio Sanctissimi Redemptoris | |||
영어 | Congregation of the Most Holy Redeemer | ||||
프랑스어 | Congrégation du Très Saint Rédempteur | ||||
스페인어 | Congregación del Santísimo Redentor | ||||
포르투갈어 | Congregação do Santíssimo Redentor | ||||
이탈리아어 | Congregazione del Santissimo Redentore | ||||
독일어 | Kongregation des Heiligsten Erlösers | ||||
네덜란드어 | Congregatie van de Allerheiligste Verlosser | ||||
폴란드어 | Zgromadzenie Najświętszego Odkupiciela | ||||
헝가리어 | Redemptoristák rendje | ||||
러시아어 | Конгрегация Святейшего Искупителя | ||||
일본어 | レデンプトール会 | ||||
인도네시아어 | Kongregasi Sang Penebus Mahakudus |
1. 개요
가톨릭의 수도회.하느님 말씀을 듣지 못하고 영성적으로 버림받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고유 카리스마다.
이탈리아의 주교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가 가장 가난하고 사회로부터 소외된 자들을 우선적으로 보살피고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 사명을 수행하고자 설립했다. 이러한 설립자의 정신을 기반으로 현재 100개가 넘는 국가에서 경제적으로 낙후되었거나 전쟁으로 인해 위험한 지역 등 사목적 필요가 절실한 곳을 찾아가 구호 및 선교 활동을 이행하고 있다. 구속주회에 소속된 일원은 이름 뒤에 C.Ss.R이 붙는다.
'구속'(救贖)의 의미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나라 간 전쟁으로 잡혀간 포로를 왕이 대가를 지불하고 찾아오는 행위를 가리킨다. 즉 하느님의 무한한 자비와 사랑을 함축하는 단어로써 사도 바오로는 그의 서간에서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으로 이뤄진 구원 사건을 표현하는데 사용했다. 구세주라는 단순한 표현을 넘어 십자가에 달려 죽음으로 자신의 생명과 우리 인간의 비참한 상태와 교환하신 사랑의 깊음과 처절함의 의미였다. 예수는 성부의 뜻을 따라 사랑을 살고 이를 완성한 구속자(救贖者, Redeemer)라 할 수 있는데 구속주회는 바로 그렇게 구속자로 산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라 성모 마리아를 공경하며 그리스도의 구속 사업을 수행하는데 최선의 삶을 추구한다.
교황 비오 9세는 1866년 특별히 구속주회에 영원한 도움의 성모에 대한 신심을 전파할 것을 맡겼는데 그런 배경으로 회원들은 전 세계 70여개국에서 '영원한 도움의 성모님께 드리는 9일 기도'를 통해 마리아론과 성모 신심을 전파하고 있다.
"본 회의 목적은 '주님께서 가난한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라고 나를 보내셨다'고 예수께서 선언하신 것 처럼 가난한 이들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전함으로써 구속주이신 그리스도를 모범으로 따르는데 있다"(회헌 1항)는 회헌에서처럼 이들이 사도직 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삼는 것은 '창립자 정신에 따라 가난하고 버림받고 소외된 이들에게 구원의 기쁜 소식을 전한다'는 것. 이를 위해 회원들은 각 사회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복음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교활동', '본당 사목 협조', '신앙쇄신 활동', '피정 및 영적지도', '영원한 도움의 성모 신심 전파' 등인데 선교 활동에서는 외방 선교뿐 아니라 국내 선교 영역에도 활동을 넓히고 있고, 본당 사목 협조시에는 구속주회 이념에 따라 해야 할 일, 즉 본당 구역내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영적으로 돌보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살피는 데 관심을 집중시킨다.
'본당 선교활동(parish mission)'은 구속주회만의 독특한 활동이라 할 수 있는데 일정 기간 동안 기존 신자들의 재교육을 맡아 피정 지도, 영적 상담 등의 활동을 한 후 6개월 내지 1년이 지났을 때 신자들을 재방문, 신앙 생활을 점검해 볼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신앙 쇄신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구속주회의 한국 진출은 1985년 열린 수도회 세계 총회에서 아시아 선교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비롯됐다. 이후 아시아 지역을 담당하는 헤차노바(Luis Hechanova) 참사는 수차례에 걸친 한국 방문 및 서울대교구와의 접촉을 통해 진출 가능성을 타진했다.
늘어나는 냉담자 문제, 신자들의 영성 교육, 신앙 생활의 심화 등 과제를 지니고 있던 한국 교회 상황에 부응하고, 향후 북한과 중국 선교를 위한 교두보 마련이라는 측면에서 한국 선교를 결정한 구속주회는 1991년 3월 서울대교구장 요청으로 공동체를 꾸렸다.
이들의 주요 활동은 본당에서의 미사와 고해성사, 피정지도, 영성지도, 사제들과 수도자들을 위한 영성지도,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한 사목 등이며 영원한 도움의 성모께 드리는 9일기도를 통한 성모 신심 전파에도 헌신하고 있다.
브라질과 필리핀 태국 관구에서 파견된 회원들로 출발한 구속주회 한국지구는 현재 사제 13명과 평수사 1명, 수련자 3명, 청원자 3명으로 구성돼 있다.
2. 구속주회 소속 인물
-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 성 요한 노이만[2]
- 성 제라르도 마젤라[3]
- 성 클레멘스 마리아 호프바우어[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