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1:47:33

플리머스 애로우

파일:1969 플리머스 로고.png
파일:플리머스 애로우.jpg
1979~1980년형 플리머스 애로우 GT
Arrow

1. 개요2. 상세
2.1. 1세대(7L24, 1976~1980)
3. 둘러보기


Plymouth Arrow / Dodge Arrow

1. 개요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크라이슬러 산하의 플리머스에서 판매했던 승용차이다.

2. 상세

2.1. 1세대(7L24, 1976~1980)

파일:1976 플리머스 애로우.jpg 파일:플리머스 애로우 구조도.jpg
1976년형 GT 사양 차량의 구조도
플리머스 크리켓의 후속 차종이었다. 미쓰비시 랜서 셀레스테를 기반으로 한 후륜구동형 해치백 쿠페 차량이다. 크리켓의 실패 이후 크라이슬러 그룹에서는 플리머스 배지를 단 소형차를 또 판매하는 걸 원했다. 당시에는 미쓰비시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미쓰비시 갤랑닷지 콜트로 북미 시장에 도입했는데, 콜트를 기반으로 한 승용차를 도입하게 되면 그 동안 미국에서 콜트를 독점판매하던 닷지와의 출혈경쟁이 이루어질 것을 염려하여 닷지 콜트의 베이스 모델이었던 갤랑, 그리고 추후 콜트 라인업에 합류한 랜서를 대신해 랜서 셀레스테를 기반으로 한 차량을 들여와 플리머스 브랜드로 판매된 것이 애로우였다.

랜서 셀레스테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세단, 쿠페, 하드탑, 왜건 등의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콜트와 달리 패스트백 스타일의 해치백 쿠페만 제공되었다. 이에 따라 애로우는 플리머스 바라쿠다더스터의 엔트리급 스포츠카 및 스포티카 포지셔닝도 같이 이어받았다. 콜트가 플리머스 브랜드로 도입된 캐나다에서는 닷지 애로우로 배지 엔지니어링 되었다.
<nopad> 파일:플리머스 애로우 후면부.png
1979년형 GS 사양의 후면부

1975년 9월에 1976년형으로 공개되었으며 기본형, GS, GT의 3개 트림을 제공했다.

또한 애로우는 해치백 쿠페라는 이점을 살려 해치게이트와 연결되는 텐트도 79.95달러 옵션으로 제공했다. 텐트를 적용한 모습은 폰티악 아즈텍의 텐트 옵션과 비슷했다.

이때 파워트레인으로 도입된 1.6L I4 엔진은 1.4L 엔진과 함께 SOHC 헤드를 탑재했으며, 애로우 GT에 탑재된 사양에는 "사일런트 샤프트"라는 밸런스 샤프트를 적용해 정숙성 항상을 노렸다. 서스펜션으로는 전륜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조합을 사용했으며 전장 4,245mm, 전폭 1,610mm, 전고 1,326mm, 휠베이스 2,340mm에 공차중량은 951kg~1,037kg이었다. 로드 앤 트랙의 1976년형 애로우 GT 시승기

당시 TV 광고에는 삽입곡으로 해리 닐슨의 1970년 히트곡 "Me and My Arrow[6]를 넣었으며, 크라이슬러 그룹의 홍보팀이 해리 닐슨에게 자동차[7]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사용권을 얻었다.[B]

5년 동안 144,000여 대가 판매되었으며, 플리머스 호라이즌 TC3, 플리머스 투리스모가 후속으로 등장했다.

애로우는 특유의 공기저항을 덜 받는 매끄러운 패스트백 스타일, 가벼운 공차중량, 타이트한 핸들링에 힘입어 1990년대 말까지 파이크스 피크, SCCA를 비롯한 각종 북미권 모터스포츠에 랠리카로 출전하는가하면 밥 글리든(Bob Glidden), 돈 프뤼돔(Don Prudhomme)[17]을 비롯한 모터스포츠 선수들이 드래그 레이싱에 애로우의 차체 형상을 반영한 드래그스터를 투입했다.[A][C][D]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단종 차량
<colbgcolor=#2688E8> 소형차 애로우 · 콜트 · 챔프 · 호라이즌
준중형차 밸리언트 · 크리켓 · 볼라레 · 더스터 · 선댄스 · 네온
중형차 벨베디어(1962~) · 사보이(1962~) · 새틀라이트 ·
퓨리(1975~) · 그란 퓨리(1982~) · 릴라이언트 ·
카라벨 · 어클레임 · 브리즈
대형차 크랜브룩 · 벨베디어(1954~1961) · 사보이(1954~1961) ·
케임브리지 · 콩코드 · 플라자 · 퓨리(1959~1974) ·
그란 퓨리(1975~1981)
퍼스널 럭셔리 카 퓨리(~1958) · 콩코드
스포츠카 삿포로 · 투리스모 · 컨퀘스트 · 레이저 · 프라울러
머슬카 바라쿠다 · GTX · 로드 러너(슈퍼버드)
SUV 트레일 더스터
픽업트럭 애로우 픽업 · 스캠프
MPV 콜트 비스타 · 보이저
드 소토의 차량
램 트럭스의 차량
닷지의 차량
지프의 차량
크라이슬러의 차량
임페리얼의 차량
}}}}}}}}} ||



[1] AllPar의 플리머스 애로우 페이지에는 애로우 140이 명시되어 있으나 당시 딜러 대상으로 제공된 비디오 카탈로그에는 애로우 160만 언급된다.[F] 1976년형 비디오 카탈로그[A] AllPar "The Plymouth Arrow"[4] Houndtooth. 주로 패션업계에서 쓰는 패턴 양식으로, 현대 캐스퍼의 실내 헤드라이닝에도 하운드투스 패턴이 들어간다. 개(Hound)의 이빨 모양을 닮아 하운드투스라는 이름이 붙었다.[F] [6] 해리 닐슨의 앨범 "The Point!"에 포함되어 있다.[7] 원래는 플리머스 신차를 제공하려고 했으나 해리 닐슨의 요청으로 메르세데스-벤츠를 대신 제공했다.[B] Mac's Motor City Garage "Straighter Than Narrow: The 1976-80 Plymouth Arrow"[A] [C] 위키백과 영어판 "Mitsubishi Lancer (A70)"[11] 차체 하단은 뒤로 갈수록 연해지는 그라데이션 효과의 사선 데칼으로 덮었으며, 보닛에는 폰티악 파이어버드의 불새 데칼을 따라 화살촉을 형상화한 역삼각꼴 데칼을 적용했다.[12] 1979년 기준 크롬도금 범퍼, 개폐식 2열 옆창문, 펜더 몰딩, 발열식 뒷창문, 모조 우드그레인 등이 적용되었다.[13] 애로우의 모든 기본사양에 동승석 백미러, 레이디얼 타이어, 센터 콘솔, 보닛에서 트렁크로 이어지는 전용 데칼, 타코미터, 발열식 뒷유리, 모조 우드그레인 등을 적용했다.[14]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린번 시스템의 일종으로 새로운 실린더헤드를 장착해 흡기, 배기 매니폴드 외에 엔진 연소실에 공기를 소용돌이치듯 주입하는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해 공기와 연료를 훨씬 효율적으로 섞어 연소시킴으로서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였다.[A] [C] [17] 지면광고에 등장한 애로우 드래그스터 "Arrow G-Whiz"가 돈 프뤼돔의 차량이다. 밥 글리든의 애로우는 좀 더 원형을 보존한 모습으로 만들어졌다.[A] [C] [D] Smog-Era.com "Plymouth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