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0:44:55

평택 전투

평택-안성 전투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36349> 1
9
5
0
북한군의 남침
<colbgcolor=#777,#222><colcolor=#FFF>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갈곶리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 화령장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 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
9
5
1
1월 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
9
5
2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
9
5
3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한국군•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1. 개요2. 전투 전 상황3. 전투 경과4. 여담

1. 개요

평택 전투 혹은 평택-안성 방어선 전투는 오산 전투가 개시된 1950년 7월 5일부터 7월 6일까지 미 제24사단의 34연대가 평택안성 일대에 방어선을 구축하고 펼친 지연전으로 평택에 전개했던 1대대는 전투을 벌리며 지연전을 펼쳤지만 안성에 전개했던 3대대는 전투없이 천안으로 철수하였다.

2. 전투 전 상황

7월 1일 오전 3시 미 육군 제24사단 선발대인 21연대 1대대(스미스 특수임무부대, 속칭 스미스 부대)가 부산 수영 비행장에 도착했으며, 이후 7월 4일 후속 도착한 사단의 주력이 대전으로 진출하였다.

한편 제24보병사단 사단장 윌리엄 F. 딘 소장은 스미스 부대를 오산 죽미령으로 보낼 때까지만 해도 북한군의 전력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으며, 스미스 부대가 저들을 지연시킬 동안 34연대를 안성-평택선에 전개하면 적의 남진을 충분히 막아낼 수 있으리라 판단했다.

7월 4일 오후 미 34연대 1대대가 연대의 선발대로 먼저 대전에 도착하자, 딘 사단장은 이들에게 스미스 부대의 철수를 엄호 및 수용하라는 임무를 부여한 뒤 평택으로 먼저 올려보냈다.

7월 5일 새벽 3대대와 연대본부도 후속 도착했으며, 34연대장 제이 B. 러브리스(Lovless)대령은 1대대는 이미 평택으로 향했다는 소식과 함께 3대대는 안성으로 보낼 것, 연대 지휘소는 성환읍에 설치할 것을 지시받는다. 그리고 병력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3대대 L중대는 연대 예비로서 성환읍의 연대본부에 잔류하게 된다.

7월 5일 오전 10시 오산시내가 함락되었고 오후 2시 30분 에는 오산 전투에서 싸우던 스미스 대대가 패퇴하였다.
이어서 오후 4시경 갈곶리 전투에서 싸우던 국군 17연대가 패배하며 철수하면서 오산 방어선이 붕괴되었다.

3. 전투 경과

파일:평택~ㅐ~전투.jpg
참고 자료

7월 5일 오전 5시 헤럴드 B. 에이리스(Ayres) 중령의 미 34연대 1대대는 평택으로 진출해 국도변의 민가에 지휘소를 개설하고 A, B 중대를 4km 전방에, C중대를 예비로 두었다. 그리고 이 무렵 조지 B. 바스(George B. Barth) 준장이 사령관 대리(정황상 부사단장)로 찾아와서는 오산 죽미령의 상황을 전달하면서 "곧 적의 전차가 들이닥치니 전방 경계를 강화하며 로켓포를 추진 배치하라"고 명령한다. 이에 예비인 C중대 1개 소대를 차출해 2.36인치 로켓포를 주고 찰스 E. 페이에(Charles E. Payne)중위의 지휘 하에 차량으로 추진시키는 한편 A중대에게도 대전차 차단진지를 구축하게 만든다.

이후 페이에 중위는 서정리 부근에서 전차가 선회한 자국을 발견했고, 뒤이어 말을 탄 한국군이 남쪽으로 내려오며 "전차다! 전차! 물러가라!" 를 외치는 걸 목격한다. 직후 북방 1.5km 지점에서 전차를 발견하고 로켓포를 쏘았으나 별 피해를 주지 못했고, 이 과정에서 케네스 R. 셰드릭 일등병이 전차 기관총에 맞아 전사했다.

한편 미 24사단 내에선 오산의 스미스 부대와 계속 연락이 안되는 것에 불안해 했고[1] 이에 딘 사단장도 이날 밤 평택의 34연대로 향했으나, 가장 가까운 아이레스 대대에서도 이들의 행방을 모르긴 매한가지였다. 게다가 적 전차가 서정리까지 왔다는 보고에 "그렇다면 스미스 애들은 어떻게 된 거지?" 하고 물었지만 그 뒤에도 아무런 소식은 들려오지 않았다.

7월 6일 오전 1시 딘 소장은 대전 지휘소로 돌아오면서 저들이 너무 앞에 있어서 전멸했다고 짐작한다. 그리고 얼마 뒤 스미스 부대의 낙오병들이 아이레스 대대로 남하하며 오산 쪽의 상황을 알려주었으며, 안성 방어선에도 52포병대대장 페리 중령이 도착함으로서 오산이 뚫렸다는 게 확실시됐다. 이에 아이레스 대대장은 부하들에게 "현 위치를 고수하되, 스미스 부대처럼 포위당해 궤멸당하진 마라"며 지침을 하달했다.

그러나 이 와중에 바스 준장은 러브리스 34연대장에게 평택의 1대대가 교전 직전이라며 연대를 천안 부근까지 철수하라고 명령했다. 비록 딘 사단장으로부터 직접 얘기를 듣지 못했고, 그것만으로 철수할 이유가 되는지 알 수 없었지만 이에 항명할 수도 없었다. 이에 러브리스 연대장은 연대 예비로 둔 L 중대에게 평택 남쪽의 고지를 점령시켜 전방 배치된 1대대의 철수를 엄호하며 함께 철수하도록 조치시킨다. 그리고는 아이레스 대대장에게도 "바스 준장께서 평택-안성선을 포기하라 하였으니, 철수 시기는 대대장이 알아서 하라"고 지시한다.

아침이 될 무렵 아이레스 1대대장은 A중대 지휘소가 있는 고지로 향했는데, 이 무렵 전차 13대가 안개 속에서 나타나 조그만 교량이 끊긴 걸 보고 멈춰섰다. 그리고는 전차 위에 타고 있던 보병들이 하차해 도섭하기 시작했는데, 이에 아이레스 대대장은 박격포 사격을 지시한다. 그러나 포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살상하는데 실패했으며, 전방 관측병까지 전차포 폭발로 공황상태가 되어 후속 포격도 불가능했다.

오전 9시 아이레스 대대는 지휘소를 철수해 L 중대의 엄호 속에 퇴각하는 작업에 착수했다.[2] 이후 일선 중대 모두가 평택 이남으로 내려오자 한국 교량폭파조가 평택 통복천 교량을 폭파했고, 천안으로 철수하는 과정에서 스미스 부대 잔존병들과도 합류했다.

오후 천안으로 물러난 이들은 바스 준장의 명령대로 스미스 부대 잔존병들은 국도 동쪽, 아이레스 대대는 서쪽을 맡아 방어선을 형성했고, 이 뒤로 3대대와 연대 본부를 위치시켰다. 그 뒤에도 스미스 부대의 잔존병들은 계속해서 천안으로 몰려들었고, 이에 딘 사단장은 전멸한 줄 알았던 스미스 부대의 피해가 의외로 경미한 걸 파악하게 된다.[3]

오후 4시 딘 사단장은 34연대장 러브리스 대령으로부터 "평택-안성선을 포기했다"는 보고를 수신받고 '대체 왜 안성천을 두고 방어선을 형성하지 않았는지' 짚차를 타고 63km나 떨어진 천안으로 향했다. 그리고는 "대체 누가 평택에서 철수해도 좋다 했는가?" 하며 책상을 내리쳤는데, 잠시 뒤 아이레스 1대대장이 "제가 책임을 지겠습니다" 라고 말했다. 직후 딘 사단장은 이 연대를 평택으로 돌려보낼까 생각했으나 야음 속에서 기습당할 우려가 있어 러브리스 대령에게 내일 일출 후 중대 하나를 북진시키고,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현 위치를 고수하라고 명령한 뒤 대전 지휘소로 돌아갔다. 바스 준장 역시 본 소속인 미 25사단으로 돌아갔으며, 그 다음날인 7월 7일부터 천안 전투가 시작된다.

4. 여담



[1] 이는 오산 전투 초반 남하하던 전차들이 전화선을 뭉갰고, 또 민간인으로 위장한 게릴라들이 곳곳에서 전화선을 절단한 것도 이유가 됐다.[2] 하지만 대대원들은 철수 과정에서 멋대로 대열을 벗어나 장비, 탄약, 옷을 버려 무게를 줄이려 했고, 이는 L 중대도 마찬가지라 엄호 도중 아무 보고 없이 멋대로 천안으로 철수해 버렸다.[3] 하지만 이들이 상대한 전차가 T-34란 것은 천안 전투가 본격화된 8일 때까지 모르고 있었던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