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춘향전 영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춘향전 (하야카와 고슈, 1923) | 춘향전 (이명우, 1935) | 그 후의 이도령 (이규환, 1936) | 춘향전 (이규환, 1955) |
대춘향전 (김향, 1957) | 춘향전 (안종화, 1958) | 탈선 춘향전 (이경춘, 1960) | 춘향전 (홍성기, 1961) | |
성춘향 (신상옥, 1961) | 한양에 온 성춘향 (이동훈, 1963) | 춘향 (김수용, 1968) | 춘향전 (이성구, 1971) | |
방자와 향단이 (이형표, 1972) | 성춘향전 (박태원, 1976) | 성춘향 (한상훈, 1987) | 성춘향뎐 (앤디 김, 1999) | |
춘향뎐 (임권택, 2000) | 방자전 (김대우, 2010) | }}}}}}}}} |
탈선 춘향전 (1960) 脫線 春香傳 | |
<colbgcolor=#444><colcolor=#fff> 감독 | 이경춘 |
원작 | 이주홍 |
각색 | 이경춘 |
제작 | 이수환 |
제작사 | 우주영화사 |
기획 | 김일두 |
촬영 | 이창현 |
조명 | 노상익 |
편집 | 서병헌 |
음악 | 백영호 |
미술 | 정응삼 |
출연 | 김해연, 박복남, 복원규, 강선희, 장혁, 유청강[숙] |
개봉일 | 1960년 9월 9일 |
개봉관 | 반도극장 |
[clearfix]
1. 개요
향파 이주홍 원작의 희곡 및 소설 〈탈선 춘향전〉을 원작으로 하는 1961년 개봉 영화. 이경춘 감독과 춘향 역의 배우 김해연 모두 이 작품이 데뷔작이다.〈탈선 춘향전〉은 본래 1949년 대중일보에서 연재된 희곡으로 1949년 동래중학교[2]에서 초연되었고 1951년 소설로 완성되어 남광문화사에서 간행되었다.
춘향전을 패러디한 작품으로 젊은 방자가 주인공으로 나서서 신분이 미천한 청춘의 고통을 과감하게 드러내며 질펀한 입담으로 이도령을 휘두른다. 원전 춘향전에서 주인공 춘향과 이몽룡의 갈등이 이몽룡 중심의 계급 구조로 흡수되며 해피 엔딩을 맞이하는 것과는 달리, 이몽룡에 비해 주변부 계급인 방자와 향단, 그리고 춘향 사이에 오가는 욕설과 재담을 통해 중심계급을 희화화하고, 풍자하는데 중점을 둔 작품이다. 표현에 있어서도 과거와 현재를 섞어 막걸리 대신 위스키를 마시는 방자, 말 대신 자동차를 타고 다니는 이몽룡, 택시를 타고 껌을 씹으며 댄스하는 춘향, 선글라스에 권총을 들고 변학도를 꾸짖는 장면이 등장하는 등 황당무계하여 실소를 자아니게 하는 작품이다.
이경춘 감독은 경상북도 예천군 출신으로 대구에서 성장, 수창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갔다가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 후 연극 활동에 매달렸다. 윤봉춘 감독 아래서 조감독으로 있다가 《탈선 춘향전》으로 입봉했다. 이후 6.25 전쟁 때 북으로 진격하는 국군들의 모습을 수록한 기록영화 《최후의 심판》을 연출했다. 나운규의 유작 시나리오 〈황무지〉를 영화화하려 노력한 끝에 장동휘, 박노식, 태현실 등 주연배우를 캐스팅하고 스태프까지 꾸려 1974년 황무지제작본부가 출범했으나 영화산업의 불황 속에 크랭크인 한 달 만에 제작 중단이 결정되었다. 이후 대구에서 아카데미영화학원을 설립해 영화인을 배출했다.
2. 등장인물
역대 춘향전 영화의 배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영화 | 성춘향 | 이몽룡 | 변학도 | 방자 | 향단 | 월매 |
춘향전 (1935) | 문예봉 | 한일송 | 박제행 | 이종철 | 노재신 | 김영숙 | |
춘향전 (1955) | 조미령 | 이민 | 이금룡 | 전택이 | 노경희 | 석금성 | |
춘향전 (1958) | 고유미 | 최현 | 김승호 | 허장강 | 김현주 | 전옥 | |
탈선 춘향전 (1960) | 김해연 | 박복남 | 장혁 | 복원규 | 강선희 | 유청강 | |
춘향전 (1961) | 김지미 | 신귀식 | 최남현 | 김동원 | 양미희 | 유계선 | |
성춘향 (1961) | 최은희 | 김진규 | 이예춘 | 허장강 | 도금봉 | 한은진 | |
한양에 온 성춘향 (1963) | 조미령 | 신영균 | 이예춘 | 구봉서 | 전계현 | 전옥 | |
춘향 (1968) | 홍세미 | 신성일 | 박노식 | 허장강 | 태현실 | 윤인자 | |
춘향전 (1971) | 문희 | 신성일 | 허장강 | 박노식 | 여운계 | 도금봉 | |
방자와 향단이 (1972) | 박지영 | 신성일 | 서영춘 | 박노식 | 여운계 | 사미자 | |
성춘향전 (1976) | 장미희 | 이덕화 | 신구 | 장욱제 | 최미나 | 도금봉 | |
성춘향 (1987) | 이나성 | 김성수 | 연규진 | 김성찬 | 곽은경 | 사미자 | |
성춘향뎐 (1999) | 강희선 | 홍시호 | 강구한 | 김소형 | 차명화 | 최문자 | |
춘향뎐 (2000) | 이효정 | 조승우 | 이정헌 | 김학용 | 이혜은 | 김성녀 | |
방자전 (2010) | 조여정 | 류승범 | 송새벽 | 김주혁 | 류현경 | 김성령 | }}}}}}}}} |
3. 관련 논문
- 권순긍, 「춘향전」의 근대적 변개와 정치의식 #
- 김남석, 1940-50년대 「탈선춘향전」의 변모 과정 연구 ― 이주홍의 원작 희곡과 각색 시나리오 「탈선춘향전」을 중심으로 #
- 정봉석, 이주홍의 춘향 제재 변용 희곡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