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중왕국 누비아왕조 파라오 카카레 이니 Qakare Ini | ||
카카레 이니의 이름이 새겨진 비문 | ||
<colbgcolor=#decd87><colcolor=#A0522D> 휘 | 카카레 이니(Qakare Ini)[1] | |
부왕 | 불명 | |
선대 | 불명 | |
후대 | 불명 | |
묘지 | 불명 | |
재위 | 이집트 파라오 | |
기원전 20세기 초 |
[clearfix]
1. 개요
카카레 이니는 고대 이집트 제11왕조 말기에서 제12왕조 초기에 걸쳐 누비아를 중심으로 활동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인물이다. 본명은 이니(Ini)이며, 일부 문헌에서는 인테프(Intef) 혹은 이니테프(Initef)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누비아가 제1중간기에 사실상 독립 상태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집트 세력이 남쪽 지역으로 재확장될 무렵까지 누비아 일대를 통치하려 시도한 지방 세력가 혹은 독자적 파라오로 추정된다.2. 기록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카카레 이니와 관련된 기록은 하부 누비아 여러 곳[2]에서 총 10여 건 이상 발견되었다. 이 중 16개까지 언급하는 연구도 있다. 발견된 암각 중에는 파라오가 쓰던 전체 파라오 칭호를 기재한 것도 있다. 이를 통해 카카레 이니가 단순한 지방 지배자를 넘어, 스스로를 정통 파라오로 칭하고자 했던 정황이 추정할 수 있다. 토슈카 지역에는 카카레 이니의 이름 옆에 이이브켄트레라는 또 다른 누비아 왕의 이름도 함께 새겨져 있으나, 두 인물 간 직접적인 관계를 설명해 줄 만한 추가 자료는 거의 없다.3. 이름
카카레는 보통 왕의 신성 칭호 중 하나인 태양신 라의 이름을 포함한 이름이며, 본명은 이니(Ini)가 기본으로 거론된다. 때로는 인테프(Intef) 혹은 이니테프(Initef)처럼 표기된 기록도 보이는데, 이는 이집트어 혹은 전사[3] 방식의 차이로 발생하는 혼동으로 추정된다. 일부 학자들은 카카레 이니의 호루스 이름 세네페르타우예프(Senefertaouyef)가 제11왕조 멘투호테프 3세의 호루스 이름 산크타우예프(Sankhtawyef)와 유사하다고 보고, 두 인물의 시대적 연관성을 보고 있다.4. 연대
카카레 이니의 활동 시기는 제11왕조 말[4]부터 제12왕조 초[5] 사이로 보는 견해가 오랫동안 주류를 이뤄 왔다. 특히 멘투호테프 4세와 아메넴헤트 1세 모두 고고학적·문헌적 기록이 빈약하거나 정통성이 완벽히 확립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해당 시기에 하부 누비아 지방 세력들이 독자 왕국을 표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반면 헝가리의 이집트학자 라슬로 토뢰크(László Török)는 이보다 훨씬 후대인 제13왕조 네페르호테프 1세 이후, 즉 제2중간기에 활동했다는 설을 주장했다. 하지만 체코의 고고학자 즈비네크 자바(Zbyněk Žába)나 영국의 이집트학자 대럴 베이커(Darrell Baker) 등은 카카레 이니가 제11왕조 말~제12왕조 초라는 기존 시기 설정이 더 타당하다고 보았다.[1] Kakare, Qaikare; In(tef), Ini(tef), Sa-Ra-Ini라고도 부르며 이중에 Sa-Ra-Ini는 라의 아들이라는 뜻이다.[2] 움바라캅, 무데네자르, 구티니스, 타이파, 아부심벨, 토슈카 등지[3] 글을 옮겨 베끼거나, 말소리를 문자로 옮기는 것을 뜻함[4] 멘투호테프 4세 시기 추정[5] 아메넴헤트 1세 초반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