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08:30:35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충남공업고등학교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000000,#e5e5e5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강서공업고등학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서울동구고등학교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동산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매그넷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반도체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신정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빅데이터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용산철도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염광메디텍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고등학교 금샘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 대양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명공업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고등학교 배정미래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부산항공고등학교 세연고등학교
세정고등학교 영산고등학교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달구벌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하이텍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산마을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인천금융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 인천보건고등학교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문곡고등학교 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한국글로벌셰프고등학교 한국주얼리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서진여자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장영실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 세종미래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가온고등학교 경기경영고등학교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대명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스마트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기폴리텍고등학교 경기항공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곤지암고등학교 광주중앙고등학교 광탄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 남양고등학교 남양주고등학교 다산고등학교
대부고등학교 덕영고등학교 동두천중앙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두원공업고등학교 마장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문산수억고등학교 문산제일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백암고등학교
부원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 삼일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신성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문화고등학교 안중고등학교 양동고등학교
양서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제일고등학교 연천고등학교 영북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문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이천세무고등학교 이천제일고등학교 이포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적성융합고등학교 전곡고등학교 조종고등학교 죽산고등학교
지평고등학교 진위고등학교 창의경영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 통진고등학교 파주여자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 평택여자고등학교 포천일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하성고등학교 한겨레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명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대진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 상지대관령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한국항공고등학교 현천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양업고등학교 영동미래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IT과학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충북비즈니스고등학교 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강경상업고등학교 공동체비전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공업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삽교고등학교 서산중앙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성환고등학교 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장항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청양고등학교 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태안여자고등학교 한국K-POP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강호항공고등학교 고산고등학교 군산상일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글로벌학산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만경여자고등학교 전북베이커리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 영선고등학교
전북유니텍고등학교 전북하이텍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지평선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푸른꿈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기술부사관고등학교
한국마사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고흥도화고등학교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삼계고등학교
송지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안좌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정남진산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골프경영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관광비즈니스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기계명장고등학교 경북드론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세무고등학교 경북소프트웨어고등학교 경북자연과학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북휴먼테크고등학교 경산제일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고령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명인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정보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예일메디텍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유니텍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흥해고등학교 효청보건고등학교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미래산업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철도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간디고등학교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승강기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전자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삼가고등학교 삼천포공업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녕여자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한일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합천평화고등학교 양산인공지능고등학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성산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남대전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고등학교 대전동산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대전성모여자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중앙고등학교 <colbgcolor=#fff,#1c1d1f> 대전한빛고등학교
청란여자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충남여자고등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external/www.goodmorningcc.com/30060_42480_5152.jpg
학교 전경
<colbgcolor=gray><colcolor=white>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忠南機械工業高等學校
Chungnam Mechanical Technical High School
파일:external/chungnam-mhhs.djsch.kr/logo.gif
개교 1963년 3월 6일
유형 특성화고등학교
군특성화고등학교
성별 남학교
형태 공립
교장 박인규
교훈 성실 협동 창조
교화 배롱나무
교목 설송
학생 수 743명[기준]
교사 수 113명[기준]
관할 교육청 대전광역시교육청
주소 대전광역시 중구 산성로 154 (문화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1.1. 교훈1.2. 교목1.3. 교화1.4. 교가
2. 학교 연혁3. 협약형 특성화고4. 공식 인스타그램5. 학과
5.1. 전기과5.2. 철도차량과5.3. 방산 설비과 5.4. 방산건설과5.5. 스마트융합기계과5.6. AI로봇운용과5.7. 방산장비설계과
6. 학교 시설
6.1. 설송관 (기숙사)6.2. 운동장6.3. 설송도서관6.4. 공동실습소6.5. 주요 행사6.6. 시간표
7. 운동부8.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2동에 위치한 공립 특성화고등학교이다. 약칭으로 '충남기공' 또는 '충기'로 불리며, 기계 및 전기·전자 분야의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 역사
- 1963년 3월 6일: 대전실업고등학교로 개교
- 1965년 3월 1일: 충남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75년 3월 1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74년 10월 28일: 정밀가공사 양성학교로 지정
- 1978년 11월 25일: 기숙사 완공 (1,000명 수용 가능)
- 1988년 3월 7일: 공동실습소 개소
- 1994년 3월 7일: 부설 직업훈련과정 2학급 설치

최근 변화 및 발전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2022년부터 학교 시스템 및 시설의 전반적인 개편을 진행하고 있다.
- 노후된 건물 및 설비를 교체하거나 재건설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최신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첨단 기자재를 도입하였다.
- 2023년에는 학과 개편을 단행, 절반 이상의 학과를 변경하여 시대에 맞는 기술 교육을 강화하였다.
- 2024년에는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되어, 정부 및 지역 기업과 협력하여 보다 체계적인 직업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보다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기술 교육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1.1. 교훈

파일:external/www.chungnam-mh.hs.kr/img_06_01.jpg

1.2. 교목

파일:external/www.chungnam-mh.hs.kr/img_06_02.jpg
한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고고함과 기개. 눈과 같이 맑고 깨끗하며 꿋꿋한 기상을 나타냄

1.3. 교화

파일:external/www.chungnam-mh.hs.kr/img_06_03.jpg
정열과 인내, 끈기의 상징으로 무더운 여름에 100일 동안 붉게 피는 나무로서 어떤 어려움도 참고 이겨내며 목표를 달성하는 진취적 기상을 나타냄

1.4. 교가

파일:external/www.chungnam-mh.hs.kr/img_06_04.jpg

2. 학교 연혁

일정 내용
1963. 03. 06. 대전실업고등학교 개교
1965. 03. 01. 충남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4. 10. 28. 정밀가공사 양성학교 지정
1975. 03. 01.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78. 03. 01. 정밀기계과 중심으로 학과 개편
1978. 11. 25. 기숙사 완공(1,000명 수용능력)
1981. 08. 22. 특수목적고등학교 지정
1988. 03. 07. 공동실습소 개소
1992. 07. 31. 전자기계과 3학급 신설(총48학급)
1994. 03. 07. 부설직업훈련과정(2학급)설치
1997. 07. 31. 본관교사 개축, 준공
2002. 02. 19. 대전광역시 교육청 고등학교 발명공작실 설치
2003. 03. 01. 전기과를 전기 전자과로 개편, 금속과를 귀금속과로 개편
2010. 09. 01. 제 16대 정충호 교장 선생님 취임
2012. 09. 01. 제 17대 박준태 교장 선생님 취임
2015. 02. 06. 제 50회 졸업 516명(총 31,462명)
2015. 03. 02. 2015학년도 신입생 입학(14학급 428명)
2016. 09. 01. 제 18대 황대연 교장 선생님 취임
2018. 02. 08. 제 53회 졸업 423명(총 32,844명)
2021. 03. 01. 제 20대 이종업 교장 선생님 취임
2022. 03. 01. 전자기계과를 스마트팩토리과로 학칙 개정)
2023. 01. 18. 제 58회 졸업 288명(총 34,286명)
2023. 03. 02. 2023학년도 신입생 입학(14학급 257명)
2024. 01. 08. 2024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방위산업)

3. 협약형 특성화고

ㆍ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2024년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2024년,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가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 산업의 인재를 양성하고, 취업과 정주(定住)까지 연계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지역 기업 등이 협력하여 운영하는 학교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보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직업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지역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얻을 수 있다.

ㆍ협약형 특성화고란?
협약형 특성화고는 정부가 주도하는 교육 정책 중 하나로, 특정 지역 내 산업과 연계하여 맞춤형 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이를 위해 학교는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실습과 취업을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또한, 기업과 협약을 맺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현장 경험을 제공하며, 졸업 후 취업까지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러한 방식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며, 학생들에게도 큰 혜택을 준다.

ㆍ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선정
2024년, 전국에서 단 10곳의 학교만이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되었으며, 그중 하나가 바로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이다. 이는 충남기계공고가 오랜 기간 동안 우수한 기술 교육을 제공해온 점, 그리고 지역 산업과의 협력 관계가 우수하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이다.

협약형 특성화고로 지정됨에 따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에는 다양한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주요 혜택이 주어진다.

- 국비 75억 원 지원 : 정부에서 학교의 교육 환경 개선과 실습 기자재 확충을 위해 75억 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최신 장비 도입, 실습실 리모델링, 교육 과정 개편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 기업 연계 강화 : 지역 내 주요 기업들과의 협약을 통해 학생들의 현장 실습 및 취업 기회가 크게 확대된다.
- 교육 과정 개편 : 최신 산업 동향에 맞춘 맞춤형 커리큘럼이 개발되어 학생들이 졸업 후 곧바로 실무에 투입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ㆍ앞으로의 전망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가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됨으로써,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기존에도 높은 취업률을 자랑하던 충남기계공고는 이제 더욱 체계적인 산업 연계를 바탕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학생들에게 더욱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의 지원과 기업 협력 체계를 통해 실습 환경이 더욱 개선되고, 보다 실질적인 직업 교육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에 따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전국에서 손꼽히는 직업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ㆍ왜 협약형 특성화고일까?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p/DDzLgovypJe/
ㆍ협약형 특성화고 공동 비전선포식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p/DB3HKY0zfv1/?img_index=1
ㆍ충남기계공고,교육부 2024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40521046700063
ㆍ충남기계공고,10개 고교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대전일보) : https://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32102

4. 공식 인스타그램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다양한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하며, 학교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활동을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학교 계정뿐만 아니라 홍보부, 밴드부 등의 부서별 계정도 별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 계정명: [@cmths_1963] (https://www.instagram.com/cmths_1963/)
- 설명: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공식 계정으로, 학교의 전반적인 소식과 행사, 공지사항 등을 게시합니다. 학사 일정, 주요 행사 사진 및 공지사항이 주로 올라오며, 재학생과 졸업생, 학부모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계정명: [@new_cmths] (https://www.instagram.com/new_cmths/)
- 설명: 홍보부에서 운영하는 계정으로, 충기에 대한 소개를 재미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행하는 각종 챌린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며, 학교 생활을 보다 흥미롭게 보여줍니다. 신입생들에게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매력을 어필하는 역할도 하며, 재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합니다.
- [ 주요 콘텐츠 ]
- 학생 인터뷰 및 학교 생활 소개
- 인기 챌린지를 활용한 학교 홍보 영상
- 교내 행사 및 활동 리뷰

- 계정명: [@band_cmths] (https://www.instagram.com/band_cmths/)
- 설명: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밴드부에서 운영하는 계정으로, 교내 공연 및 음악 활동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공연 연습 과정, 공연 일정 안내, 무대 영상 등을 게시하며, 밴드부 활동을 활발하게 홍보하고 있습니다.
- [ 주요 콘텐츠 ]
- 밴드부 연습 과정 및 비하인드 스토리
- 각종 교내외 공연 소식
- 학생들이 직접 연주하는 음악 영상

학교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들은 학생들과 교직원, 졸업생들이 더욱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다양한 매력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 학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학과를 크게 기계 계열과 전기 계열로 나누며, 2022년부터 군특성화 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24년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됨에 따라 학과 개편이 이루어졌다.

현재 운영 중인 학과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융합기계과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춰 기계 설계, 스마트 제조, 자동화 시스템, IoT 및 AI 기반의 기계 운용을 학습하는 학과이다. 첨단 제조업과 자동화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한다.

2. 철도차량과
철도차량 정비 및 유지보수를 담당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전기 및 기계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철도 일반과 정비 기술을 배운다. 현재 틸팅시험차량(TTX) 1량이 기증되어 실습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3. 방산설비과
산업설비 정비 및 유지보수를 중심으로 교육하는 학과로, 용접 실습, 산업 안전, 기계 유지보수 기술을 배운다. 기존 디지털설비과에서 2024년 방산설비과로 개편되었다.

4. 방산장비설계과
방위산업 관련 기계 및 장비의 설계, 개발을 담당할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CAD/CAM 설계를 중점적으로 학습하며, 정밀 가공 및 3D 모델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5. 방산건설과
건축 및 토목 기술을 학습하여 미래 건설 산업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기계 및 건설 기술을 함께 익히며, 2023년 학과 개편을 통해 신설되었다.

6. 전기과
전기 설비, 전력 관리, 자동화 시스템 등을 배워 전기 기술자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송·배전 시스템과 전기 기기, PLC 제어 기술 등을 학습한다.

7. AI로봇운용과
AI 기술과 로봇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자동화 기기 운용 및 유지보수를 배우는 학과이다. 인공지능, 로봇 프로그래밍, 센서 응용 기술 등을 중심으로 학습하며, 차세대 산업을 대비한 교육을 제공한다.

일부 학과는 신입생이 처음 접할 때 배울 과목과 교육 과정이 생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학과 선택 시 위 설명을 참고하여 자신의 관심 분야와 진로에 맞는 학과를 결정하는 것을 추천한다.

충기 학과소개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DA-cesDSHq2/?img_index=1

5.1. 전기과

전기과는 전기 에너지의 생산부터 송전, 배전, 변전 및 전력 활용에 이르는 전반적인 과정을 다루는 학과입니다. 학생들은 전기 설비, 전기 기기, 전자·전기 응용 분야, 자동제어 분야 등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활용하고, 기기의 제작, 설치, 운영 및 정비가 가능한 다기능 기술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ㆍ교육 내용
전기과에서는 기본적인 전기 이론부터 컴퓨터를 활용한 전기 설비 및 자동화 시스템 설계에 이르는 다양한 교과목을 학습합니다. 또한, 전기 및 산업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와 유지·보수 기술을 배워 현장 실무 능력을 강화합니다.

ㆍ졸업 후 진로
졸업생들은 한국전력, 통신공사, 전기기계업체, 전기전자 관련업체, 발전회사, 에너지 관련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설회사, 중공업회사, 자동차회사, 방위산업체, 기술직 공무원 등으로도 활동할 수 있습니다.

ㆍ팁
- 기초 이론의 중요성: 전기과에서는 회로이론과 전자장이론, 전자공학 등의 기초 과목을 배우므로, 수학과 물리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기초 지식을 탄탄히 다져야 심화 학습에서 어려움이 없습니다.

- 실습 참여: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을 통해 실제 전기 설비와 기기를 다루는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습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현장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자격증 취득: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등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 시 유리합니다. 자격증 공부를 통해 전문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산업 동향 파악: 전기 산업은 빠르게 변화하므로, 최신 기술 동향과 산업 정보를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미나, 워크숍, 관련 서적 등을 통해 최신 정보를 습득하세요.

- 협업 능력 배양: 전기 프로젝트는 팀 단위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5.2. 철도차량과

철도차량과는 철도차량 엔지니어(정비사) 및 각종 철도 관련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23년에 신설된 학과이다.

ㆍ교육 과정
철도차량과에서는 전기 및 기계 기초 지식을 기반으로 철도 일반, 차량 정비 등의 실무 교육을 진행한다. 하지만 신설 학과라는 특징으로 인해, 2023년 기준 철도 관련 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향후 교육 과정이 정비되면서 보다 체계적인 철도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ㆍ시설 및 장비
현재 교내에는 틸팅시험차량(TTX) 1량이 기증되어 있으며, 해당 차량은 철도차량과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 철도 차량을 활용한 실습을 진행하며, 철도 정비 및 유지보수에 대한 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ㆍ전망
현재 철도차량과는 신설 학과로서 과도기를 거치고 있으며, 향후 교육 과정이 안정화되면 국내 특성화고 중에서도 드문 철도 특성화 학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기존의 CNC밀링과가 철도차량과로 변경되면서, 보다 철도 산업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철도 분야 취업률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광역시교육청 철도차량과 안내 : https://blog.naver.com/djenews/223570428680
철도차량과 사이트 : http://fjecr.or.kr/

5.3. 방산 설비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방산설비과는 용접 및 각종 산업설비의 정비, 관리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용접 기술을 비롯하여 산업 안전, 기계 유지보수 등의 실무 교육을 진행하며, 학생들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다.

ㆍ교육 과정
방산설비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
- 용접 실습: 다양한 용접 기법(아크 용접, 가스 용접 등)을 익히고 실습을 통해 기술력을 향상한다.
- 산업 안전 교육: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안전 규정과 실무 대응 능력을 배양한다.
- 기계 정비 및 유지보수: 산업설비의 기본 구조와 유지보수 기술을 습득하여 현장 적응력을 높인다.

ㆍ학과 변경 및 발전
방산설비과는 기존에 '디지털설비과'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2024년 이후부터 방산설비과로 개편되었다. 개편을 통해 방위산업 관련 설비 유지보수 및 정비 교육을 강화하였으며, 방산업체 및 산업설비 관련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취업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ㆍ전망
방산설비과는 방위산업 및 일반 산업설비 분야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는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으로도 최신 기술 교육과 현장 실습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산업 현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AR용접시뮬레이터 활용 수업!: https://www.youtube.com/watch?v=o8GzMA48YXY

5.4. 방산건설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방산건설과는 미래의 건축 설계 및 현장 작업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학과이다. 건축과 토목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되며, 기계 관련 기술도 함께 익혀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종합적인 기술력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ㆍ교육 과정
방산건설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교육이 이루어진다.
- 건축 설계 및 시공: 기초적인 건축 설계 이론부터 실제 시공 과정까지 학습하며, 최신 건축 트렌드와 친환경 건축 기술도 교육한다.
- 토목 공학 기초: 구조물의 설계, 토목 공사의 기본 원리, 지반 공학 등을 학습하여 건설 산업의 기본을 익힌다.
- 기계 기술 교육: 건설 기계 및 장비 운용법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현장 적용 능력을 키운다.
- 산업 안전 및 시공 관리: 건설 현장에서 필수적인 안전 관리 및 프로젝트 관리 기법을 익혀 실무 적응력을 강화한다.

ㆍ학과 신설 및 발전
방산건설과는 2023년 학과 개편을 통해 신설된 학과로, 기존의 건축 및 토목 관련 교육을 더욱 체계적으로 개편하여 실무 중심의 교육 과정을 강화하였다. 특히, 방위산업 및 국가 인프라 건설 분야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취업 기회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ㆍ전망
방산건설과는 향후 건설 및 기계 산업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다양한 실습 및 기업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졸업 후 실무에 즉시 투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최신 건설 기술과 연계한 교육 과정 개편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5.5. 스마트융합기계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스마트융합기계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첨단 기계 기술을 교육하며, 스마트 제조 및 자동화 산업을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기존의 기계 설계 및 가공 기술에 IoT, AI, 로봇 기술을 융합하여 미래 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력을 갖춘 학생들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ㆍ교육 과정
스마트융합기계과에서는 기계 설계, 자동화 시스템, 스마트 제조 관련 기술을 종합적으로 교육한다.
- 기계 설계 및 가공: 3D CAD, CAM을 활용한 정밀 기계 설계 및 가공 기술 습득
- 스마트 제조 및 자동화: 스마트 팩토리 운영, 로봇 공학 및 PLC 제어 시스템 학습
- IoT 및 AI 응용: 산업 자동화와 AI 기반 품질 관리 기술 교육
- 기계 유지보수 및 정비: 첨단 기계 장비의 정비 및 유지보수 실무 능력 배양

ㆍ학과 신설 및 발전
스마트융합기계과는 기존의 기계 관련 학과에서 발전한 형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융합 기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다. 기존의 전통적인 기계 가공 및 설계 기술과 더불어, 스마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미래 산업과 연결되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한다.

ㆍ전망
스마트융합기계과 졸업생들은 첨단 제조업, 스마트 팩토리, 로봇 산업, 자동화 설비 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커리큘럼 개선과 기업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하며, 첨단 기계 산업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5.6. AI로봇운용과

AI로봇운용과는 미래 첨단 산업을 이끌어갈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전문적으로 배우는 학과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AI, 로봇 프로그래밍, 자동화 시스템 등의 교육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표다.

ㆍ교육 내용
AI로봇운용과에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배운다.

- 로봇 제어 및 운용 : 로봇팔,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로봇 장비 활용법 학습
AI 프로그래밍: Python, C++ 등을 활용한 AI 모델 및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
- 자동화 시스템 : 스마트 팩토리,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로봇 자동화
- 전자·전기 기초 : 로봇 제작 및 유지보수를 위한 기초 전기·전자 지식
- 3D 설계 및 제작 : 로봇 부품 및 구조 설계를 위한 3D CAD 활용

ㆍ졸업 후 진로
- 로봇 개발 및 유지보수 엔지니어
- 스마트 팩토리 자동화 엔지니어
- AI 소프트웨어 개발자
- 전기·전자 관련 기술직 공무원
- 대학 및 연구기관 진학

ㆍ특징 및 장점
ㆍ최신 로봇 및 AI 실습 장비 보유: 실무 중심의 학습이 가능
ㆍ산업체와 연계된 교육 과정: 현장 실무 경험을 쌓을 기회 제공
ㆍ미래 유망 직종 대비 학과: AI 및 자동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전망이 밝음

5.7. 방산장비설계과

방산장비설계과는 방위산업과 기계 설계를 접목한 특성화 학과로, 군사 및 방위산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표다. 3D 설계, 기계 가공, 방산 관련 기술 등을 배우며, 정밀한 방산 장비 개발에 필요한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ㆍ교육 내용
ㆍ기계 설계 및 CAD 활용: 3D CAD(솔리드웍스, CATIA 등)를 활용한 방산 장비 설계
ㆍ방위산업 개론: 방산 장비의 원리와 군수산업의 기본 개념 학습
ㆍ정밀 기계 가공 기술: CNC 가공, 용접 등 실제 장비 제작에 필요한 기술 습득
ㆍ전자·전기 기초: 방산 장비의 전자 및 전기 제어 기초 교육
ㆍ드론 및 무인기 설계: 최신 군사 기술 트렌드 반영

ㆍ졸업 후 진로
ㆍ방위산업체(한화, LIG넥스원, KAI 등) 취업
ㆍ기계 설계 및 가공 엔지니어
ㆍ군 기술부사관 및 방산 연구소 진출
ㆍ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진학

ㆍ특징 및 장점
ㆍ방위산업 특성화 학과로, 국내에서 희소성이 높은 교육 과정 제공
ㆍ실무 중심 교육으로 현장 경험을 쌓을 기회가 많음
ㆍ국방 관련 기관 및 방산업체와 연계된 취업 지원

6. 학교 시설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국내 특성화고등학교 중에서도 최상급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웬만한 대학보다도 뛰어난 환경을 자랑한다. 최신식 실습 장비와 쾌적한 학습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최고의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1. 대학급 수준의 우수한 시설
충남기계공고는 일반적인 고등학교와 달리,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최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어 실무 중심의 교육이 가능하다. 실습실, 강의실이 최신화되어 있으며, 쾌적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시설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2. 학과별 전용 스터디 카페
각 학과마다 학생들이 자유롭게 공부하고 토론할 수 있는 스터디 카페가 마련되어 있다. 이는 학생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으로, 최신식 인테리어와 편안한 좌석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별 프로젝트나 팀 스터디를 진행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3. 전면적인 리모델링으로 새롭게 탈바꿈
최근 몇 년 동안 학교 시설이 대대적으로 개편되어, 거의 모든 건물이 새것처럼 리모델링되었다. 최신 학습 환경에 맞는 스마트 보드, LED 스크린 등의 첨단 교육 장비가 도입되었다. 쾌적한 환경 속에서 학생들은 보다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4. 넓은 학교 부지와 쾌적한 공간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일반적인 고등학교보다 훨씬 넓은 부지를 가지고 있다. 캠퍼스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학생들은 여유로운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으며, 운동장과 녹지 공간도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은 학생들이 학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학생들의 휴식을 위한 2개의 카페
학교 내에는 2개의 카페가 운영되고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카페는 학업과 실습에 집중한 학생들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인기가 많다.한곳은 본관에 '나르샤실에있고 , 한곳은 '가람관'에있다.

6. 7개의 주요 건물 배치 (본관 제외)
본관을 제외하고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에는 7개의 건물이 있으며, 가나다순으로 명명되어 있다.
- 가람관
- 나슬관
- 다솜관
- 라온관
- 미소관
- 별하관
- 설송관

건물은 학과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실습실과 강의실, 스터디 공간이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건물 구조 덕분에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학과에서 보다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ㆍ충기 시설 둘러보기!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C78euL1vhaU/?img_index=1
ㆍ홍보 맛집 충기 (시설안내)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DBNkMT-Sgxt/
ㆍ미소관에 치어리더 등장?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C_iX8lmpxMw/
ㆍ충기 Let's go!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C8JAB4SyYYu/

6.1. 설송관 (기숙사)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학생들이 최적의 환경에서 학습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최신식 기숙사 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넓고 쾌적한 공간과 편리한 생활 환경이 갖춰져 있어, 전국의 특성화고 중에서도 최고 수준의 기숙사로 평가받고 있다.

1. 기본 생활 환경
- 기본 배정: 기숙사는 3인 1실 또는 2인 1실을 기본으로 하며,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생활비: 2025년 기준으로 , 식비 20만 원 , 생활비 5만 원
- 한 달 총 25만 원으로 매우 저렴하게 운영되고 있어,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다.

- 방 내부 시설 : 각 방에는 개별 화장실, 침대, 시스템 에어컨, 책상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웬만한 고등학교나 대학교 기숙사보다 뛰어난 환경을 자랑한다.

- 자유로운 생활 : 각 방에 개별 화장실이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씻을 수 있으며, 공용 샤워실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2. 식사 제공 및 급식 환경
기숙사에서는 학생들에게 아침, 점심, 저녁 총 3끼의 식사를 제공하며, 급식의 맛과 질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학생들의 건강을 고려하여 균형 잡힌 영양 식단이 구성되며, 다양한 메뉴가 제공되어 만족도가 높다.

3. 기숙사 건물 구조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기숙사는 총 6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인 층수 표기와 다르게 지하를 1층으로 부르는 방식을 사용한다.

- 1층 (지하층) : 급식실이 위치하여 학생들이 편리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 2층: 사감실과 홍보실이 위치하며,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에 관한 문의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3층: 사감교사실, 당구장, 학생 숙소가 위치하여 생활과 휴식 공간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 4층~6층: 학생 숙소가 배치되어 있으며,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4. 기숙사의 장점
- 저렴한 비용 대비 높은 퀄리티: 기숙사 비용이 매우 저렴한 편임에도 불구하고, 제공되는 시설은 웬만한 대학교 기숙사보다 훨씬 좋은 수준이다.
- 안전한 환경: 사감 및 사감교사가 상주하여 학생들의 생활을 관리하고 있으며, 24시간 보안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다.
- 쾌적한 생활 공간: 최신 시설과 청결한 환경이 유지되며, 학생들이 스트레스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신경 쓰고 있다.

기숙사 소개!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p/DBD0GCiTxu3/?img_index=1

6.2. 운동장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는 학생들이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최적의 운동 시설을 갖추고 있다. 최신 시설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체육 활동과 건강 증진을 지원하며, 지역 스포츠 팀과의 협력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1. 운동장 개요
- 운동장은 푹신한 인조잔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규격에 맞는 축구장이 조성되어 있다.
- 우레탄 트랙이 구비되어 있어 육상 훈련 및 달리기 연습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 족구 네트 2개가 설치되어 있어 학생들이 자유롭게 족구를 즐길 수 있다.
- 운동장의 한쪽 구석에는 농구 코트와 철봉이 마련되어 있어 다양한 스포츠 활동이 가능하다.

2. 대전하나시티즌 연습 공간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운동장은 프로축구팀 대전하나시티즌 유소년의 연습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축구에 대한 관심과 동기를 부여하는 기회가 된다. 또한, 축구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학습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운동장은 체육 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자율적인 스포츠 활동을 위해 개방되며, 학생들은 축구, 농구, 족구 등 다양한 운동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또한, 학교 행사 및 체육 대회 등이 운동장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운동장은 학생들의 체력 증진과 여가 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최신 시설과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프로팀과의 협력을 통해 더욱 특별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스포츠를 보다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6.3. 설송도서관

설송도서관은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내에 위치한 대표적인 도서관 시설로, 학생들의 학습과 독서를 위한 공간이다. 2003년 12월 3일 개관하였으며, 미소관 1층 전체를 차지하는 규모를 자랑한다. 다양한 전공 서적과 일반 도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학업 및 자기 계발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설송도서관의 특징
ㆍ넓은 공간과 학습 환경: 미소관 1층 전체를 도서관으로 활용하여 쾌적한 학습 공간을 제공
ㆍ다양한 도서 보유: 전공 서적, 참고서, 소설, 만화, 신문 및 잡지 등 다양한 자료 구비
ㆍ학생 참여형 도서 확충: 매년 학기 초, 학생들이 원하는 도서를 신청할 수 있도록 신청서를 배포하며, 해당 도서들을 구입하여 배치

주요 서비스 및 운영
ㆍ개방 시간: 학기 중 평일 08:30~17:00 (방학 기간은 별도 운영)
ㆍ대출 및 반납 규정: 1인당 최대 3권까지 대출 가능, 대출 기간은 2주
ㆍ자습 공간 운영: 시험 기간에는 자습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 가능

특징 및 장점
ㆍ학교 내 가장 조용한 학습 환경 제공
ㆍ다양한 도서 및 참고자료 구비로 학업에 도움
ㆍ학생 중심 도서 신청 제도 운영으로 원하는 책을 직접 신청하여 확보 가능
ㆍ도서관 리모델링 및 최신 도서 확충 노력으로 꾸준한 환경 개선 중

6.4. 공동실습소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에는 공동실습소가 마련되어 있어, 대전 지역 공업계열 고등학교 및 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체험학습, 산학협력 체험학습, 교사 일반연수, 대전 전문계 고교 직무연수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또한, 대전뿐만 아니라 산업고등학교 학생들도 실습을 위해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공동실습소 개요
ㆍ설립 연도: 1989년 3월 7일 개설
ㆍ위치: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나슬관 내
ㆍ운영 목적: 기계·전기·전자·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기술 교육을 지원하고, 실무 중심의 전문 인력을 양성
ㆍ수상 경력: 2003년 교육부 전국공동실습소 평가에서 우수공동실습소로 선정

공동실습소 활용 프로그램
ㆍ대전 지역 공업계열 고등학교·중학교 체험학습
ㆍ산학협력 체험학습 및 기업 연계 교육
ㆍ교사 일반연수 및 직무연수 프로그램
ㆍ전문계 고교 학생들의 실습교육 지원

6.5. 주요 행사

ㆍ[교내 체육대회]
매년 봄에 열리는 교내 체육대회는 축구, 농구, 족구, 탁구 등 다양한 종목으로 진행됩니다. 일부 종목은 체육시간이나 점심시간에 예선전을 치르고, 본선에서는 학생들이 활발히 참여하여 우승을 겨룹니다. 체육대회는 학생들에게 활력을 주고, 학년을 넘어서서 서로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영상으로 돌아보는 충기 2024년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DERSLBBS7xA/

ㆍ[설송제]
설송제는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의 겨울 축제로, 매년 겨울에 진행되는 큰 행사입니다. 설송제는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진행되며, 오전에는 교사들이 주관하는 다양한 체험 부스나 교실에서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체험행사가 마련됩니다. 이 행사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며, 그들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오후에는 노래대회가 열리며, 학생들의 뛰어난 실력과 재능을 발산할 수 있는 시간이 됩니다.
- 퀄리티 레전드 요즘 고딩무대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DFRgvLSSl4G/

ㆍ[UCC 콘테스트]
UCC 콘테스트는 매년 5월정도에 열리는 행사입니다. 이 두 가지 행사는 주로 1, 2학년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참가합니다.
학생들은 UCC 콘테스트에 참가하여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UCC(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해 창의성과 팀워크를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학교사랑 UCC PART 2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DBtZ7NAMjnr/

ㆍ[교내 합창 대회]
교내 합창 대회는 매년 겨울에 열리는 학교의 대표적인 문화 행사 중 하나로,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 축제입니다. 각 학급 또는 팀이 합창곡을 선정하고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협동심과 음악적 감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합창 대회는 학생들이 그동안 쌓아온 실력을 겨룰 수 있는 자리이자, 학교 생활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행사입니다.

ㆍ[E스포츠 대회]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에서는 e스포츠 대회가 열립니다. 학교의 우수한 컴퓨터 시설 덕분에, 학생들이 다양한 게임을 즐기고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대회는 학생들에게 게임 실력을 겨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또한 컴퓨터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행사입니다. 게임은 주로 롤,피파,발로란트 등온라인 멀티플레이어 게임들이며 팀을 이루어 경쟁하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 E스포츠 누가승자..?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C8_vb1uv7Th/

ㆍ[충기의 품격]
충기의 품격은 2023년에 새로 도입된 특별한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쿠폰복에 도장을 모아 여행을 가는 형식으로, 학생들에게 학업이나 생활에서 좋은 성과를 이룬 보상으로 제공되는 기회입니다. 전액 지원이 이루어지며, 매년 40명에서 50명의 학생들이 선발되어 제주도나 해외로 여행을 떠납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큰 동기부여가 되며, 평소 열심히 학업과 학교생활에 임한 학생들에게 특별한 보상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학생들은 더욱 폭넓은 경험을 쌓고, 다른 지역이나 문화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 충기의 품격 여행 영상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C9izsAxtK8F/

ㆍ[충기 Festival]
충기 페스티벌은 2024년 처음으로 열린 새로운 학교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체육관에서 진행되며, 각 학과마다 부스를 운영하여 다양한 활동과 체험을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각 부스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고, 학과별 특성을 살린 부스들이 마련되어 있어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충기 페스티벌은 학과 간의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는 행사로, 학교 내에서 큰 관심을 모은 새로운 전통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충기 페스티벌로 가볼까요?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C9L3-abP04l/
- 대전광역시 교육청 충기 페스티벌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djenews/223521183376

ㆍ[가을버스킹]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에서는 버스킹 행사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공연을 선보입니다. 이 행사는 타 학교와는 달리 전문 음향팀을 초청하여 공연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더 나은 무대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음악, 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며, 학교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기회를 갖습니다.
- 사제동행 밴드부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DB3LGmfplvp/
- 고등학교 밴드부 맞나요?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reel/DBztZsrJdEV/

6.6. 시간표

시작시간 종료시간 내용
- 오전 08 : 20 등교
오전 08 : 20 오전 08 : 30 조회
오전 08 : 40 오전 09 : 30 1교시
오전 09 : 40 오전 10 : 30 2교시
오전 10 : 40 오전 11 : 30 3교시
오전 11 : 40 오후 12 : 30 4교시
오후 12 : 30 오후 01 : 30 점심시간
오후 01 : 30 오후 02 : 20 5교시
오후 02 : 30 오후 03 : 20 6교시(수,목,금)
오후 03 : 30 오후 04 : 20 7교시(월,화)
오후 04 : 20 - 청소 및 종례

7. 운동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구단 기본 문서 모기업 하나금융그룹
연고지 대전광역시
구단 대전 하나 시티즌
유소년 18세 이하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 15세 이하 대전 하나 시티즌 U-15 | 12세 이하 대전 하나 시티즌 U-12
주요 인물 현재 황선홍 감독 | 선수단
역대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주요 선수 | 프랜차이즈 선수 | 임시 결번
18
김은중,
21
최은성
시설 관련 문서 홈구장 1군 대전월드컵경기장 | 2군 대전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
이전 홈구장 1군 한밭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2군 보은공설운동장
클럽 하우스 덕암축구센터
역사 구단 역사 대전 시티즌 시절 | 대전 하나 시티즌 시절 | 역대 시즌 | AFC 챔피언스 리그
기록 역대 엠블럼 | 역대 유니폼 | 역대 등번호 | 레전드 베스트 일레븐
K리그2
파일:K_League_Challenge_Trophy.png
2014
코리아컵
파일:대한민국 FA컵 트로피.svg
2001
현재 시즌 2025
팬덤 관련 문서 팬덤 규모와 인기 | 서포터즈 대전 러버스 | 유명인 팬
응원 응원가 | 응원단
팬 커뮤니티 구칠이공, 빵집넷
라이벌전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축구 수도 더비
논란 및 사건 사고 사건·사고
마스코트 대전이 | 사랑이 | 자주
기타 대대강광 | It's Daejeon 축구대회 | 하나플레이컵 | DH.CNJ
}}}}}}}}} ||

파일:K리그 로고(흰색/가로형).svg
K리그 주니어 U-18 2024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colcolor=#ffffff> A 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파일:FC 안양 로고.svg
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B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파일:수원 FC 로고.svg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C 파일:경남 FC 로고.svg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파일:대구 FC 엠블럼.svg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 ||


교내 축구부가 존재하며 프로 구단인 대전 하나 시티즌의 유소년 팀이다. K리그 소속 구단의 유소년 팀인 만큼 K리그 주니어에 참가하고 있으며 프로 구단에 진출하는 많은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다.

8. 출신 인물

검색사이트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특히, 네이버와 다음 등에 인물검색과 언론보도, SNS 프로필 등의 자료도 참고하였다.

정치인/군인
운동선수
연예계
교육/사회
기업인
대전 하나 시티즌 U-18

[기준] 2023학년도[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