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00:39:51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사하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사하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건국고등학교 다대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 <colbgcolor=#d6f0ff,#002033> 대동고등학교 동아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부산여자고등학교 부산일과학고등학교 부산자동차마이스터고등학교 부일외국어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삼성여자고등학교 성일여자고등학교 해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780001
'''[[틀:부일학원|{{{#003875,#8ac2fe {{{+1 학교법인 부일학원}}}}}}]]'''
특수목적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부일외국어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釜一電子디자인高等學校
Buil Electronics & Design High School
파일:부일logo.png
<colbgcolor=gray> 개교 1992년 6월 30일
유형 특성화고등학교
성별 남녀 공학
형태 사립
학교법인 부일학원
교장 박찬권
교감 장OO
교훈 성실(誠實), 창의(創意), 연마(硏磨)
교화 국화
교목 은행나무
학생 수 426명
(2024년 3월)
교직원 수 48명
(2024년 3월)
관할청 부산광역시교육청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로 73번길 36
(감천동)
홈페이지 홈페이지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표3.2. 교훈3.3. 교조3.4. 교목3.5. 교화3.6. 교가3.7. 마스코트
4. 학과5. 교복6. 생활
6.1. 일과
7. 시설
7.1. 본관7.2. 동백관
8. 창의관9. 국제관10. 교내 행사
10.1. 기업 탐방10.2. 취업 캠프
11. 방과 후 학교12. 학교 특징13. 교통
13.1. 버스13.2. 도보
14. 출신 인물15. 기타16. 둘러보기

파일:부일전자본관.jpg
학교 전경
<nopad>
▲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홍보 영상 (2024)


1. 개요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에 위치한 남녀 공학 사립 특성화고등학교특수목적고등학교다.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부일외국어고등학교랑 같은 부일학원 소속이기에 운동장, 강당, 급식실을 서로 나누어 쓴다.[1]

지원가능 내신 성적은 상위 80%~ 90% 정도이며 교명이 매우 길기에 흔히 부전디고나 부일전자, 부전디로 줄여 부른다.[2]

교육목표는 '인성 교육에 바탕을 둔 첨단 기술 연마로 창의적이고 성실한 기술인 육성'이다.

2. 학교 연혁

<colcolor=white><colbgcolor=gray> 날짜 연혁내용
1992.06.30 부일전자공업고등학교 설립 인가(학교법인 신민학원) 전자과, 전자계산기과, 디자인과 학년당 2학급 계 18학급, 남/여 공학
1993.03.01 초대 우영창 교장 취임
1993.03.02 제1회 신입생 입학식
1994.07.25 전자통신과 6학급 인가(총 24학급)
1996.02.15 제1회 졸업식 (졸업생 260명)
1996.04.30 제9대 서춘석 이사장 취임
1997.06.04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우수학교" 선정
2000.08.30 학칙변경 인가(교명변경:부일전자공업고등학교→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학과명 변경:전자과→정보전자과, 전자통신과→정보통신과, 디자인→그래픽디자인과)
2001.03.10 학교법인 정관 변경 (신민학원→부일학원)
2001.09.01 학칙변경 인가 (학과명변경:전자계산기과→컴퓨터과)
2005.03.05 2004학년도 교원업무경감 우수상 수상
2005.03.10 주5수업제 2회 우선시행학교 선정
2005.10.05 2004학년도 교실수업개선 최우수상 수상
2006.03.03 부일아카데미 개소(방과후교육활동)
2007.03.02 제6대 황자룡 교장 취임
2007.04.16 부산지방기능경기대회 IT분야 9연패 달성
2008.02.21 제13회 졸업식 (졸업생 264명, 총4,161명)
2008.03.03 IT특성화고등학교 선정 (지식경제부)
2008.03.04 제16회 입학식 (남자 141명, 여자 115명, 총 256명)
2009.02.10 제14회 졸업식 (졸업생 238명, 총졸업생수 4,399명)
2009.03.02 정부부처지정(중소기업청) 융합 IT 특성화고 선정
2009.03.04 제17회 입학식 (남학생 128명, 여학생 107명, 계 235명)
2009.07.16 영어전용 교과교실제 선정 (교과부지정)
2009.07.16 영어전용 교과교실제(영어로만 수업)선정-교육기술과학부에서 5억2천만원 지원
2009.09.01 제7대 문병섭 교장선생님 취임
2010.03.02 영어중점 교과 교실제 운영학교
2010.08.24 교육감지정 정보통신/컴퓨터보안 특성화고 지정 (정보전자과, 컴퓨터보안과, 디자인과)
2011.04.01 영어중점창의경영학교
2011.04.24 부산지방기능경기대회 IT분야 금메달(12회) 획득
2011.09.20 전국기능경기대회 정보기술분야 동메달 획득
2012.02.10 제16회 졸업식
2012.03.02 제20회 입학식
2012.09.01 제8대 박종호 교장선생님 취임
2013.04.08 부산지방경기대회 정보기술 분야 금메달(14회) 획득
2013.09.01 전자과(3), 컴퓨터보안과(3), 컴퓨터응용디자인과92)로 학과변경에 따른 학칙개정 인가
2014.02.12 제19회 졸업식(졸업생 245명 총 졸업생수 5,599명)
2014.03.01 교육부 지정 취업우수학교 선정
2014.03.03 제22회 입학식(남학생 127명, 여학생 82명, 계 209명)
2014.03.26 창업진흥원 지정 비즈쿨 운영학교 선정
2014.04.03 교육감지정 인성 및 자존감 증진 프로그램 운영학교 선정
2014.04.10 부산지방기능경기대회 IT분야 15연패 달성
2014.12.31 학교경여 우수학교 교육감상 수상
2015.02.11 제20회 졸업식(졸업생 221명 총 졸업생수 5,820명)
2015.03.03 제23회 입학식(남학생 104명, 여학생 79명, 계 183명)
2015.04.13 부산지방기능경기대회 게임개발 초대 금메달 수상
2015.09.01 학과변경 : 전자과(3), 컴퓨터과(2), 디자인과(2)
2016.02.12 제21회 졸업식(졸업생 203명 총 졸업생수 6,023명)
2016.03.01 전자과(3), 컴퓨터보안과(2), 디자인과(2)로 학과개편
2016.03.02 제 10대 서태원 교장 취임
2016.03.28 소프트웨어교육 선도학교로 선정
2016.04.04 비즈쿨(창업동아리) 운영학교로 선정
2016.11.10 도제학습 운영학교로 지정
2017.02.14 제22회 졸업식(졸업생 198명, 총 졸업생수 6,221명)
2017.03.02 제25회 입학식(남학생 107명, 여학생 70명, 계 177명)
2019.02.12 제24회 졸업식(졸업생 168명, 총 졸업생수 6,567명)
2019.03.01 신입생 학과 개편 : 전자과->전기전자과
2019.03.04 제27회 입학식(남학생 105명, 여학생 53명, 계 158명)
2021.02.04 2021학년도 혁신지원사업 운영학교로 선정
2021.04.09 부산지방기능경기대회 금메달 2, 은메달 1, 동메달 3 획득
2022.02.09 제27회 졸업식(졸업생 141명 총 졸업자수 7,014명)
2022.03.02 제30회 입학식(남학생 97명, 여학생 40명, 계 137명)
2023.02.08 제28회 졸업식(졸업생140명 총 졸업자수 7,154명)
2023.03.02 제31회 입학식(남106명, 여47명, 계 153명)
2024.02.07 제29회 졸업식(졸업생127명 총 졸업자수 7,281명)
2024.03.01 제12대 박찬권 교장 취임
2024.03.04 제32회 입학식 (남학생 105명, 여학생 43명, 계 148명)
2024.04.04 지방기능경기대회 은메달 2, 동메달 2 획득
2024.12.26 제30회 졸업식(졸업생 132명 총 졸업자수 7,413명)
2025.03.03 제33회 입학식 (남학생 95명, 여학생 44명, 계 139명)

3. 학교 상징

3.1. 교표

파일:부일logo.png
<colbgcolor=#113163> 교표
붉은색으로 된 메인 심벌과 그 바깥쪽 남색 바탕을 둘러싸고 있는 원은 ‘부산 제일’의 약자인 ‘부일’을 나타내며, 붉은 색깔 위로 틈이 난 것은 마음속의 열정을 위로 분출하는 ‘젊음의 기상’을 나타내고, 원 안의 남색 바탕은 ‘고결함’을 의미한다. 월계수 관은 ‘지혜와 영광’을 나타내므로 지혜롭고 영광스러운 사람이 되라는 의미이다. 맨 위의 방패는 컴퓨터 보안과를 상징하고, 방패에 적힌 ‘e’는 정보 전자과와 인터넷을 의미한다. 방패 밑에 그려진 ‘X’ 자 모양의 붓 두 자루는 ‘디자인과’를 상징한다.

3.2. 교훈

성실(誠實), 창의(創意), 연마(硏磨)

3.3. 교조

파일:OM.jpg
<colbgcolor=#113163> 교조 까치
* 까치: 대표적인 길조로 소개되며 비공식 국조이기도 하다. 민간 신앙에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거나, 헌 이를 주면 새 이를 가져다주는 이빨 요정의 역할도 해주는 등 행운과 희소식을 가져다 주는 전령사이기도 한다.

3.4. 교목

파일:994748335A09035F2E.jpg
<colbgcolor=#113163> 교목 은행나무

3.5. 교화

파일:/pds/200911/05/95/d0084795_4af2dda1424da.jpg
<colbgcolor=#113163> 교화 국화

3.6. 교가

파일:부일전자_교가.png

3.7. 마스코트

파일:깡치.png
<colbgcolor=#113163> 마스코트 깡치.
*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의 마스코트이다.

4. 학과

전기전자과, 컴퓨터과, 디자인과 총 3개(초기에는 전자통신과 까지 총 4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디자인과는 여학생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5. 교복

2013학년도부터 교복 디자인이 변경되었는데 이전까지는 그냥 진한 곤색 상하의로 지극히 평범한 교복이었지만 버건디에 가까운 갈색 하의에 흰색 와이셔츠와 테두리에 검은 줄무늬가 들어간 조끼, 카라와 어깨 뽕 부분에 금색 테투리가 둘러진 회색 부직포 계열의 자켓(마이), 빨간색 넥타이로 부산에서 나름 멋있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3]

바뀐 교복이 예쁘기 때문에 교복만 보고 이 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아졌다.[4]

6. 생활

6.1. 일과

08:30등교
08:50~09:00조례 및 자율학습 시간
09:10~13:001~4교시
13:00~14:00점심시간
14:00~16:505~7교시
17:00~19:00방과후 교육(1,2 학년은 18시 30분 까지)

7. 시설

7.1. 본관

파일:부일전자디자인고 본관.jpg
1층도서관,행정실,숙직실,인쇄실,교사용 화장실 등
2층취업보도실, 진로활동실, 교무실,컴퓨터보안실, CAD 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실2,Wee 클래스, 전산실, 교사휴게실, 화장실, 자판기, 방송실, 체력 단련실, 컴퓨터 기능부실 등
3층3학년 교실, English Zone, 세면장, 응용프로그래밍실3, 디자인 기능부실, 보건실, 화장실 등
4층2학년 교실,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실1, 전자기기제작실, 세면장 등
5층1학년 교실, 전자회로 실습실, 세면장, 과학실 등

산자락에 올라가있는 특성상 감천화력발전소와 아름다운? 감천항이 훤히 내려다보이며 수업 중에 뱃고동 소리를 들을 수 있다.

3~4층 정수기 뒤쪽 문을 열면 이동통신사의 중형 중계기가 들어있다.

3층까지는 추가증축이 되어있고 복도에 창문 대신 교실이 생겼기 때문에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고 공기 질이 좋지 않다.

최근 부일외국어고등학교와 외벽 리모델링을 하였다

7.2. 동백관

파일:동백관_신외벽.jpg
부일외고랑 같이 사용하는 강당 및 식당 건물 (2016년에 외벽 리모델링)
지하샤워실, 기계실
1층자판기,매점,매점 창고,식생활관[5], 세면대, 직원 화장실
2층부일외고가 사용하는 기숙사
3층체육관 (강당)
4층체육 준비실
(부일외고가 부일전자 기준 3교시 끝나고 먼저 식사를 한다. 그후 4교시 끝나고 1시부터 부전디고가 식사)

8. 창의관

파일:부일전자디자인고 창의관 정면.jpg
1층 전기전자과, 디자인과 실습실, 체육준비실,화장실 등
2층컴퓨터 그래픽실, 디자인 기능부실, 화장실 등

9. 국제관

파일:국제관_현재.jpg
1층화장실, 컴퓨터실 2개, 외고 사감실, 라운지
2층 ~ 옥상외고 학생들 기숙사로 사용

10. 교내 행사

10.1. 기업 탐방

파일:부일전자_기업탐방.jpg

10.2. 취업 캠프

파일:부일전자_취업캠프.jpg

11. 방과 후 학교

1,2학년은 18시 30분까지 일반 자격증 공부를 해야 한다.(자율 신청)
3학년은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준비를 하는데(주 5회) 방과후 19시까지 남아서 한다.
전자과는 전자기기기능사를 공부한다. (회로기판에 납땜을 하여 작품을 만든다.)
컴퓨터과는 웹디자인기능사[6], 정보처리기능사[7] 등을 공부한다.

12. 학교 특징

같은 재단 소속인 부일외고와 생각보다 교류가 없다.

특성화고답게 대학보다 취업을 우선시하는 고등학교다.[8]

3학년이 되면 취업정보부에서 취업관련 정보지를 반 칠판옆 게시판에 부착한다.

교무실 앞 게시판에도 공고가 올라오니 참고하는 것도 좋은방법.

2016년 KT&G 에서 채용공고가 내려왔다.

2017년 졸업생 경험상 취업은 직원 수 3~7명 소규모 기업은 피하는게 좋으며 검증되지 않은 개인회사, 특히 스타트업은 더더욱 피하는게 좋다.[9]

회사에 현장체험을 하러 가기도 하고 (그곳의 취업 결과는 모두가 참담하였음) 벡스코나 부산광역시청, 부산중소기업지원청, 사하구청 등지에서 열리는 취업박람회 같은 행사에 학생들이 참관하러 간다.

3학년 1학기 중간고사를 치고나면 취업을 나가는 학생들이 종종 보이기 시작하며 날이 갈수록 반에 학생들이 취업을 나가기 시작해서 3학년 말이 되면 반 학생 수가 현저히 줄어든다.

13. 교통

택시를 타고 올때는 부일외고, 삼성여고를 기사한테 말해야 알아듣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학교 교문 바로 밑 서점 까지 택시를 타고 올라올 수는 없다. (타고 올라오면 잡힌다.)
택시를 타고 올 경우 중앙U병원 앞 큰 도로변의 횡단보도쪽에서 내린 후 걸어서 올라오자.

13.1.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c1d1f> 부일전자디자인고교 ||
일반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c1d1f> 부일외국어고교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c1d1f> 감천사거리 ||
좌석

13.2. 도보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쭉 걸어올라가다 보면 학교 교문이 나온다.[12]

현관까지 약 400여개나 되는 어마어마한 계단을 걸어올라야 하며 이로 인해 신입생, 선생님, 방문객의 HP와 멘탈이 터진다고 한다.

학교를 다니다 보면 근육이 없던 다리에 근육이 생긴다. (학생들은 이걸 등교근이라고 부른다.)

14. 출신 인물

15. 기타

부산광역시 소속 버스 회사부일여객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13]

1998년까지 카누부가 있었다.

현재까지 진행중이다.
1990년대 중후반에는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는 방학기간 동안 컴퓨터 실습실을 지역 주민에게 오픈하여 무료로 기본적인 컴퓨터 활용 교육(MS-DOS 및 워드 프로그램)을 진행 하기도 했다.

1학년 신입생들은 맨 윗 층에 반이 배정되므로 아래쪽에 위치한 매점에 갈 때 진짜 지옥이다.

쉬는 시간에 매점갔다오면 계단타고 올라가는 사이에 먹은거 다 소화되고 10분이 지나서 수업종이 친다.

학교 체육복 색깔은 2024년 기준 (사이클 예상) 1학년 주황색, 2학년 파랑색, 3학년 초록색이다.
예를 들어 3학년이 졸업하면 3학년이 쓰던 초록색 체육복을 새로 들어오는 1학년이 쓰게 되는 식으로 체육복 색이 정해진다.

컴퓨터 실습실 마다 자동 복구 프로그램이 깔려있다.
웹프로그래밍실 (Reparo 2.0), 컴퓨터 보안실(Reparo 2.0), 운영체제실(Rpoint) 기타 등등 실습실

컴퓨터과가 배우는 언어는 Java,PHP,HTML,SQL,Unity,Python,XML 이다.

금요일에는 동아리 활동이나 교육을 받아서 빨리 마친다.

복도 전체에 CCTV가 달려 있기에 사각지대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매 주 교무실에서 교직원 회의가 열린다.

2024년 교장으로 박찬권(전 교감), 교감은 장미혜(전 진로 선생님)

버스가 다니는 큰길~본건물까지 가파르고 계단이 상당히 많은데, 계단에서 넘어져서 구르는 경우가 많으니 조심하자.

16.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동구고등학교 서울동산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디지털콘텐츠고등학교 서울매그넷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반도체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백영고등학교 서울신정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빅데이터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용산철도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염광메디텍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고등학교 금샘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 대양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명공업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고등학교 배정미래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해연여자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부산항공고등학교 세연고등학교
세정고등학교 영산고등학교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달구벌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하이텍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산마을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인천금융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 인천보건고등학교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문곡고등학교 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한국글로벌셰프고등학교 한국주얼리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서진여자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장영실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 세종미래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가온고등학교 경기경영고등학교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대명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스마트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기폴리텍고등학교 경기항공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곤지암고등학교 광주중앙고등학교 광탄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 남양고등학교 남양주고등학교 다산고등학교
덕영고등학교 동두천중앙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두원공업고등학교 마장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문산수억고등학교
문산제일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백암고등학교 부원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삼일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신성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문화고등학교 안중고등학교 양동고등학교 양서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제일고등학교 연천고등학교 영북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문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이천세무고등학교 이천제일고등학교 이포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적성융합고등학교
전곡고등학교 조종고등학교 죽산고등학교 지평고등학교
진위고등학교 창의경영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
통진고등학교 파주여자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
평택여자고등학교 포천일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하성고등학교
한겨레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명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거진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 상지대관령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한국항공고등학교 현천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양업고등학교 영동미래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IT과학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충북비즈니스고등학교 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강경상업고등학교 공동체비전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국방항공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삽교고등학교 서산공업고등학교 서산중앙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성환고등학교 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 장항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청양고등학교 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태안여자고등학교 한국K-POP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강호항공고등학교 고산고등학교 군산상일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글로벌학산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만경여자고등학교 전북베이커리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 전북인공지능고등학교
전북유니텍고등학교 수소에너지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지평선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푸른꿈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기술부사관고등학교
한국마사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고흥도화고등학교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삼계부사관고등학교
송지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안좌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전남미래자동차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골프경영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관광비즈니스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기계명장고등학교 경북드론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세무고등학교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경북자연과학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북휴먼테크고등학교 경산제일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명인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전자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예일메디텍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유니텍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효청보건고등학교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미래산업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명장고등학교 한국철도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간디고등학교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승강기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전자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삼가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녕여자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한일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합천평화고등학교 양산인공지능고등학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성산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예술계 특성화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북미용예술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K-POP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서울) 홍익디자인고등학교(경기)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 서울정화고등학교
}}}}}}}}} ||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대한민국 운영기관

The Duke of Edinburgh’s International Award
파일: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jpg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Buil Electronics & Design High School

[1] 복도 중간에 철문으로 막혀있다.[2] 이는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부산컴과고)도 마찬가지다.[3] 마이를 빼고 춘추복 기준으로는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와 교복이 거의 비슷하다.[4] 비슷한 이유로 부산외고보다 부일외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도 많다.[5] 식당에서 이동통신사의 LTE 수신률이 현저히 낮다.[6] Html5, Css3, javascript[7] DB, 알고리즘,JAVA[8] 선 취업 후 진학. 대학 진학을 희망할 경우 취업부 선생님들이 취업을 권장한다.[9] 취업했던 개인회사가 얼마안가 도산하였다.[10] 부산역 방향 한정, 역방향은 부산천연가스발전소 정류장 승하차[11] 감천사거리에 하차하고 부산 버스 16을 타고 부일전자디자인고교 정류장에서 하차한다.[12] 학교로 올라오다 보면 때때로 수능학원, 미용학원 등등에서 휴지를 나눠준다.[13] 다만 한자는 모두 釜一을 사용하며 부일여객 소속 노선들은 1011번을 제외하고는 부일외국어고와 부일전자디자인고가 위치한 감천동을 전혀 경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