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남지고등학교 | 영산고등학교 | 창녕고등학교 | 창녕대성고등학교 | ||
◈ 창녕슈퍼텍고등학교 | 창녕여자고등학교 | 창녕옥야고등학교 | ◈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00A651><colcolor=#fff> 창녕여자고등학교 昌寧女子高等學校 Changnyeong Girls' High School | |
| |
개교 | 1959년 4월 20일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성별 | 여자고등학교 |
형태 | 사립 |
학교법인 | 세종학원 |
교장 | 김태완 |
교훈 | 애국 애족(愛國 愛族), 자중 자립(自重 自立), 착실 노력(着實 勞力) |
교화 | 목련 |
교목 | 향나무 |
학생 수 | 266명[기준] |
교직원 수 | 34명[기준] |
관할청 | 경상남도창녕교육지원청 |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신당길 30 (말흘리 51)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말흘리에 위치한 일반계 여자고등학교.2. 학교 연혁
- 2025년 3월 4일: 2025학년도 입학식 거행(신입생 59명)
- 2025년 3월 1일: 제13대 김태완 학교장 취임
- 2025년 1월 2일: 제56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10,020명)
- 2024년 3월 4일: 2024학년도 입학식 거행(신입생 94명)
- 2024년 1월 4일: 제55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941명)
- 2023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89명)
- 2022년 12월 30일: 제54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873명)
- 2022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83명)
- 2022년 1월 5일: 제53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814명)
- 2021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77명)
- 2021년 3월 1일: 제12대 박형진 학교장 취임
- 2021년 1월 15일: 제52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728명)
- 2020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61명)
- 2020년 2월 7일: 제51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663명)
- 2019년 9월 1일: 제11대 이지원 학교장 취임
- 2019년 3월 4일: 입학식 거행(신입생103명)
- 2019년 3월 1일: 경상남도 교육청 자율학교 재지정(2019~2021)
- 2019년 2월 8일: 제50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565명)
- 2018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77명)
- 2018년 2월 9일: 제49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451명)
- 2017년 9월 1일: 제10대 김석우 학교장 취임
- 2017년 5월 8일: 고 하상세 교장선생님(설립자 및 애국지사) 국립대전현충원 이달의 현충인물 선정
- 2017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111명)
- 2017년 2월 11일: 제48회 졸업식 거행(총졸업생 9,351)
- 2016년 6월 1일: 국가보훈처장 감사패 수여
- 2016년 3월 2일: 제9대 박태곤 학교장 취임
- 2016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120명)
- 2016년 2월 11일: 제47회 졸업식 거행 (총 졸업생 9,243명)
- 2015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100명)
- 2015년 2월 13일: 제46회 졸업식거행 (총졸업생 9,126명)
- 2014년 9월 1일: 제8대 김정국 학교장 취임
- 2014년 3월 3일: 입학식 거행(신입생111명)
- 2014년 2월 14일: 제45회 졸업식거행(총 졸업생 9025명)
- 2013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123명)
- 2013년 3월 1일: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 및 교과교실제 과목중점형 (국어, 영어, 수학)시행 학교 지정
- 2013년 2월 15일: 제44회 졸업식거행(총 졸업생 8914명)
- 2012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111명)
- 2012년 2월 9일: 제43회 졸업식거행(총 졸업생 8801명)
- 2011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111명)
- 2011년 2월 10일: 제42회 졸업식 거행(총 졸업생 8683명)
- 2010년 9월 1일: 제7대 강창수 학교장 취임
- 2010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신입생 121명)
- 2010년 2월 11일: 제41회 졸업식 거행(총 졸업생 8,561명)
- 2009년 9월 1일: 제6대 김상운 학교장 취임
- 2009년 3월 2일: 입학식 거행(자율학교 3차년도 운영시작)
- 2009년 2월 14일: 제 40회 졸업식 거행(총 졸업생 8,433명)
- 2007년 12월 28일: 세종문화 체육관 및 급식소 준공
- 2005년 1월 4일: 별관 3개 교실 완공
- 2004년 3월 25일: 교육부 특별교부금 신관건물 준공
- 1999년 7월 15일: 학칙변경 인가(보통과3, 정보처리가1, 경영정보과1)
- 1999년 3월 2일: 창녕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9년 2월 20일: 학교 급식소 준공
- 1999년 2월 10일: 멀티미디어실 완공
- 1998년 9월 1일: 제 5대 강창수 학교장 취임
- 1998년 8월 18일: 학교법인 세종법인 제 16대 하태욱 이사장 취임
- 1997년 7월 2일: 정보처리과 --> 정보처리과 2, 사무자동화과2로 개편
- 1994년 2월 5일: 제 4대 최현집 학교장 취임
- 1993년 3월 28일: 현대식 화장실 준공
- 1992년 6월 2일: 목련관(기숙사)개관식
- 1990년 8월 29일: 제 12대 강창수 재단 이사장 취임
- 1989년 12월 21일: 제 3대 하천명 학교장 취임
- 1982년 10월 22일: 학칙변경(보통과6, 상업과15, 총 21학급)
- 1978년 10월 30일: 학칙변경(보통과3, 상업과15, 총 18학급)
- 1977년 9월 26일: 학칙변경(보통과3, 상업과12, 총 15학급)
- 1977년 8월 25일: 창녕여자종합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77년 3월 21일: 본관 준공
- 1973년 10월 12일: 창녕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72년 12월 23일: 학칙변경인가(보통과3, 상업과3, 총6학급)
- 1970년 10월 26일: 창녕여자종합교등학교 교명 변경
- 1967년 3월 1일: 창녕여자 상업고등학교 개교
- 1966년 12월 30일: 창녕여자 상업고등학교 교명 변경
- 1966년 11월 17일: 창녕여자고등학교 3학급 설립인가
- 1966년 11월 17일: 초대하상세 학교장 취임
- 1959년 4월 20일: 창녕고등공민학교 개교
3. 학교 상징
- 출처: 창녕여자고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화
목련
숭고한 정신과 우애를 대표하는 꽃으로 창녕여고인의 순수하고 단정함을 상징함.
숭고한 정신과 우애를 대표하는 꽃으로 창녕여고인의 순수하고 단정함을 상징함.
3.3. 교목
향나무
사철 푸르고 곧게 자라나는 향나무는 창녕여고인의 푸른 꿈과 바르고 곧은 마음을 상징함.
사철 푸르고 곧게 자라나는 향나무는 창녕여고인의 푸른 꿈과 바르고 곧은 마음을 상징함.
3.4. 교훈
애국 애족(愛國 愛族), 자중 자립(自重 自立), 착실 노력(着實 勞力)
3.5. 교육목표
3.6.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교복, 명찰, 체육복 등을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6.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6.3. 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30 | 등교 |
7. 운동부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3] |
템플릿:버스 정류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9.2. 철도
10.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