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5:57:41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동구고등학교 서울동산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디지털콘텐츠고등학교 서울매그넷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반도체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백영고등학교 서울신정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빅데이터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용산철도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염광메디텍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고등학교 금샘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 대양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명공업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고등학교 배정미래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해연여자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부산항공고등학교 세연고등학교
세정고등학교 영산고등학교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달구벌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하이텍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산마을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인천금융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 인천보건고등학교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문곡고등학교 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한국글로벌셰프고등학교 한국주얼리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서진여자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장영실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 세종미래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가온고등학교 경기경영고등학교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대명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스마트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기폴리텍고등학교 경기항공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곤지암고등학교 광주중앙고등학교 광탄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 남양고등학교 남양주고등학교 다산고등학교
덕영고등학교 동두천중앙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두원공업고등학교 마장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문산수억고등학교
문산제일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백암고등학교 부원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삼일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신성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문화고등학교 안중고등학교 양동고등학교 양서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제일고등학교 연천고등학교 영북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문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이천세무고등학교 이천제일고등학교 이포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적성융합고등학교
전곡고등학교 조종고등학교 죽산고등학교 지평고등학교
진위고등학교 창의경영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
통진고등학교 파주여자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
평택여자고등학교 포천일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하성고등학교
한겨레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명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거진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 상지대관령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한국항공고등학교 현천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양업고등학교 영동미래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IT과학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충북비즈니스고등학교 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강경상업고등학교 공동체비전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국방항공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삽교고등학교 서산공업고등학교 서산중앙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성환고등학교 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 장항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청양고등학교 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태안여자고등학교 한국K-POP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강호항공고등학교 고산고등학교 군산상일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글로벌학산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만경여자고등학교 전북베이커리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 전북인공지능고등학교
전북유니텍고등학교 수소에너지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지평선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푸른꿈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기술부사관고등학교
한국마사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고흥도화고등학교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삼계부사관고등학교
송지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안좌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전남미래자동차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골프경영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관광비즈니스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기계명장고등학교 경북드론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세무고등학교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경북자연과학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북휴먼테크고등학교 경산제일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명인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예일메디텍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유니텍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효청보건고등학교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미래산업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명장고등학교 한국철도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간디고등학교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승강기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전자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삼가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녕여자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한일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합천평화고등학교 양산인공지능고등학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성산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

파일:창녕군 CI_White.svg 경상남도 창녕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남지고등학교 영산고등학교 창녕고등학교 창녕대성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녕여자고등학교 창녕옥야고등학교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nopad> 파일:한과고전경.jpg
학교 전경
<colbgcolor=#1d2860><colcolor=white>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Korea Science Technology High School
파일:창녕공고로고.jpg
<nopad>
개교 1972년 3월 1일
유형 특성화고등학교
성별 남녀 공학
형태 사립
학교법인 아하브교육재단
이사장 서종범
교장 이종현
교감 장대영
교훈 나를 위하고 민중을 위하고 나라를 위한다.
교화 동백꽃
교목 전나무
학생 수 221명[기준]
교직원 수 49명[기준]
관할 교육청 경상남도교육청
주소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창밀로 286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포3.2. 교화3.3. 교목3.4. 교훈3.5. 교육 목표3.6. 교가
4. 학과
4.1. 정밀기계조립과4.2. 스마트팩토리과4.3. 컴퓨터응용기계과4.4. 전기전자과
5. 학교 특징
5.1. 복장
5.1.1. 교복
5.1.1.1. 동복5.1.1.2. 하복
5.1.2. 체육복
6. 학교 시설
6.1. 본관
6.1.1. 1층
6.1.1.1. 중앙홀6.1.1.2. 교실6.1.1.3. 학습카페6.1.1.4. 행정실6.1.1.5. 교장실6.1.1.6. 이사장실6.1.1.7. 보건실6.1.1.8. 상담실
6.1.2. 2층
6.1.2.1. 영어 교과교실6.1.2.2. 방송실6.1.2.3. 전산 정보실6.1.2.4. 교무실6.1.2.5. 학습 자료실6.1.2.6. 기술가정실6.1.2.7. 취업 정보실
6.1.3. 3층
6.1.3.1. 수학 교과교실6.1.3.2. 과학실6.1.3.3. 진로활동실6.1.3.4. 교육정보실6.1.3.5. 음악실
6.1.4. 4층
6.1.4.1. 소강당
6.2. 체육관6.3. 운동장6.4. 도서관
6.4.1. 직업체험실
6.5. 급식실6.6. 기숙사
6.6.1. 제1기숙사6.6.2. 제2기숙사
6.7. 지도관6.8. 교직원 기숙사6.9. 실습동
6.9.1. 1층
6.9.1.1. 컴퓨터활용생산실6.9.1.2. 자동제어기기제작실6.9.1.3. CAD실6.9.1.4. 수동가공조립실6.9.1.5. 선반가공실
6.9.2. 2층
6.9.2.1. 전자기기제작실6.9.2.2. 전자기기개발실6.9.2.3. 정보통신기기생산실
7. 학교 생활
7.1. 주요 행사7.2. 학교 일과7.3. 시간표
8. 출신 인물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10. 사건 사고11. 기타

1. 개요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창밀로에 위치한 특성화고등학교.

2. 학교 연혁

<colbgcolor=#1d2860><colcolor=white> 날짜 연혁
1970.10.14 학교법인중야학원 설립인가(이사장 손무상)
1971.12.27 창녕종합고등학교 설립인가 (기계2학급, 전기1학급, 상과1학급)
1972.03.01 창녕종합고등학교 개교 초대 교장 김진구 취임
1972.12.08 학칙변경 (보통교과1학급, 기계과2학급, 전기과1학급, 상과2학급)
1973.04.01 2대 교장 전종국 취임
1973.12.29 학칙변경 (보통2학급, 기계과4학급, 전기과3학급, 상과2학급)
1977.07.06 3대 교장 박성윤 취임
1978.08.26 기아산업(주) 중야학원 인수
1978.09.11 2대 이사장 김명기 취임
1978.11.15 학칙변경 교명을 "창녕공업고등학교"로 (기계과6학급, 전기과2학급)
1978.12.01 정관 변경 "학교법인 학산의숙"으로
1979.05.30 3대 이사장 조성욱 취임
1981.01.07 4대 이사장 김명기 취임
1981.07.18 5대 이사장 홍복률 취임
1982.04.26 6대 이사장 김선홍 취임
1985.07.22 4대교장 김희철 취임
1985.09.18 학생 제1기숙사 준공(4층 77실)
1987.12.18 교직원 아파트 준공(4층 28세대)
1994.03.01 5대 교장 오종욱 취임
1995.06.29 학생 제2기숙사 준공 (4층 66실)
1996.07.23 학칙 변경 (기계과6학급, 전기과1학급, 전자과1학급)
1998.09.01 6대 교장 김규원 취임
1999.06.01 7대 이사장 박홍래 취임
2000.07.10 학칙 변경 (정밀기계과2학급, 전산응용기계과2학급, 컴퓨터제어전기과1학급, 컴퓨터응용전자과1학급)
2001.01.19 교사 신축공사 기공
2001.09.01 학칙 변경(정밀기계가공과1학급, 정밀기계조립과1학급, 컴퓨터응용기계과1학급, 컴퓨터응용설계과1학급, 컴퓨터제어전기과1학급, 컴퓨터응용전자과1학급)
2002.03.02 본관동 준공 및 이전
2002.11.17 실습동 준공 및 이전
2004.04.30 학산도서관 신축공사 준공
2004.09.30 운동장트랙 우레탄공사 준공
2006.07.10 학산문화체육관 준공
2007.02.15 8대 이사장 윤현자 취임
2010.08.11 학칙 변경 (정밀기계조립과 1학급 , 컴퓨터응용기계과2학급, 전기전자과1학급)
2011.04.28 9대 이사장 김용석 취임
2011.09.05 10대 이사장 정창훈 취임
2012.08.13 11대 이사장 손희상 취임
2012.09.01 7대 교장 조병암 취임
2015.11.12 12대 이사장 김용배 취임
2017.11.24 13대 이사장 안병철 취임
2019.05.20 14대 이사장 손희상 취임
2020.03.01 8대 교장 송영기 취임
2022.01.14 15대 이사장 서종범 취임
2022.02.28 정관변경 "학교법인 아하브교육재단"
2022.09.01 학칙변경 교명을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로(정밀기계조립과 1학급, 컴퓨터응용기계과 1학급, 스마트팩토리과 1학급, 전기전자과 1학급)
2024.02.02 제50회 졸업/총 누적 졸업생 수 13,538명
2024.03.01 9대 교장 조용환 취임
2025.02.07 제51회 졸업/총 누적 졸업생 수 13,568명
2025.09.01 10대 교장 이종현 취임

3. 학교 상징

3.1. 교포

파일:창녕공고로고.jpg
교표

3.2. 교화

파일:창녕공고교화.png
동백꽃
꽃 : 동백꽃 하얀 눈꽃 속에서도 붉게 피어나는 동백꽃의 정열과 강한 의지는 농촌의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새 기술과 학문을 익히겠다는 우리 학도의 정열적 의지의 표상과도 같아 꽃로 정했다.

3.3. 교목

파일:창녕공고교목.png
전나무
나무 : 전나무 전나무는 곧고 단단하며 그 나무됨이 뛰어나다. 튼튼한 몸과 마음을 길러 나라의 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함이 우리 학교 창학의 기본정신과 같아 전나무를 나무으로 정했다.

3.4. 교훈

나를 위하고 민중을 위하고 국민을 위한다.

3.5. 교육 목표

인 ·의 ·예 ·지 를 갖춘 성실한 기술인 양성

3.6. 교가

파일:창녕공고교가.png
[ 가사 ]
||화왕산 서린 정기 빼낸 터전에
슬기의 배움터인 아하브는
어지신 선열들의 그 뜻을 받아
보람찬 새역사를 창조하리라
지혜와 총명 성실 덕성 표대를 삼아
줄기차게 뻗어난다 한국과기고||

4. 학과

4.1. 정밀기계조립과

파일:창녕공고정밀기계조립과.png
1반으로 배정된다.

기계 산업에서 절삭 가공의 핵심인 범용 공작 기계의 가공 방법을 익히고, 공장 자동화를 위한 자동화 설비 운용 기술을 배워 현장 중심형 전문 기술 인력 양성, 인성과 실력을 겸비한 인재육성을 목표로 한다.

전공교과는 공업일반, 기초제도, 재료일반, 기계수동조립, 선반가공, 밀링가공, 성공적인 직업생활이다.

관련 자격증은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기계가공조립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자동화설비기능사 등이 있다.

졸업 후 진로 및 취업처는 공작기계, 산업기계 등 기계제작 업체, 자동차회사 및 자동차부품 생산업체, 조선업체, 정밀기계부품 제조업체, 병역특례 업체, 대기업, 공기업, 기술직 공무원, 군 기술병, 부사관 등이 있고, 진학의 경우 4년제대학 및 전문대학 기계계열학과, 항공 우주공학, 컴퓨터 관련학과 등 모든 공업계학과 진학이 가능하다.

4.2. 스마트팩토리과

파일:창녕공고스마트팩토리과.png
2022년에 신설된 학과로 2반으로 배정된다.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 기술인 스마트 팩토리 관련 분야에 필요한 과정을 준비하고, 새롭게 신설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인을 양성한다.

전공교과는 공업일반, 기초제도, 전자기계이론, 기계수동조립, 기계소프트웨어 개발, 기계요소설계, 선반가공, 컴퓨터활용생산, 성공적인 직업생활이다.

관련 자격증은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기계가공조립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자동화설비기능사 등이 있다.

졸업 후 진로 및 취업처는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기계관련 업체, 공작기계, 산업기계 등 기계제작업체, 항공, 자동차 부품생산 및 조립 업체, 병역특례 업체, 대기업, 공기업, 기술직 공무원, 군 기술병, 부사관 등이 있고, 진학의 경우 4년제대학 및 전문대학 기계계열학과, 항공 우주공학, 컴퓨터 관련학과 등 모든 공업계학과 진학이 가능하다.

4.3. 컴퓨터응용기계과

파일:창녕공고컴퓨터응용기계과.png
3반으로 배정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에 필요한 기초과정을 준비하고, 미래 산업사회를 주도할 공장 자동화 시스템의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첨단 학과로서, CNC선반, 머시닝 센터, 3D프린터, 레이저조각기 등 첨단 산업기계를 다룰 수 있는 기술인을 양성한다.

전공교과는 공업일반, 기초제도, 재료일반, 기계요소설계, 선반가공, 밀링가공, 컴퓨터활용생산, 측정, 성공적인 직업생활이다.

관련 자격증은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기계가공조립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자동화설비기능사 등이 있다.

졸업 후 진로 및 취업처는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기계관련 업체, 공작기계, 산업기계 등 기계제작업체, 항공, 자동차 부품생산 및 조립 업체, 병역특례 업체, 대기업, 공기업, 기술직 공무원, 군 기술병, 부사관 등이 있고, 진학의 경우 4년제대학 및 전문대학 기계계열학과, 항공 우주공학, 컴퓨터 관련학과 등 모든 공업계학과 진학이 가능하다.

4.4. 전기전자과

파일:창녕공고전기전자과.png
4반으로 배정된다.

전기 • 전자 분야의 체계적인 이론과 실험 실습을 바탕으로 산업 기술의 변화에 대처하는 적응능력과 산업 현장 응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무적이고 창의적인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한다.

전공교과는 공업일반, 기초제도, 전기전자기초, 디지털논리회로, 전자기기개발, 정보통신기기개발, 성공적인 직업생활이다.

관련자격증은 전기기능사, 전기공사기능사, 승강기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전자계산기기능사, 전자캐드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등이 있다.

졸업 후 진로 및 취업처로는 전기 • 전자 관련 업체, 자동화 설비 및 자동제어장치의 설계 및 조작관리업체, 전기 • 전자기기 제조업체 변전실, 가전업체 등 전기 • 전자 관련 업체, 국가 관련 공기업체, 기술직 공무원, 병역특례업체, 군 기술병 지원 등이 있고, 진락의 경우 4년제대학 및 전문대학의 전기 • 전자 계열학과, 항공 우주공학, 컴퓨터 관련학과 등 모든 공업계 학과 진학이 가능하다.

5. 학교 특징

학생 전원이 기숙사 생활을 한다.

2025년부터 금연 학교를 실시한다.

5.1. 복장

크게 교복체육복으로 나누어진다.

교복의 명찰색과 체육복의 무늬는 해당년도에 졸업하는 학년의 명찰, 무늬 색상을 배정받는다.[3]
1학년 노란색
2학년 초록색
3학년 파란색

5.1.1. 교복

동복과 하복으로 나누어져있다.
5.1.1.1. 동복
상의는 밤색 마이와 연노랑색 조끼, 흰색 와이셔츠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의는 밤색 바지, 밤색 치마로 이루어져 있다.
5.1.1.2. 하복
상의는 남색 반팔로 이루어져 있고, 하의는 회색 긴바지로 이루어져 있다.

5.1.2. 체육복

동복은 상하의 공통적으로 검은색이며 하복은 상하의 공통적으로 진한 남색이다. 상의의 팔과 하의의 허리쪽에 무늬가 있다.

6. 학교 시설

6.1. 본관

층마다 끝에 화장실이 배치되어 있다.[4]

6.1.1. 1층

6.1.1.1. 중앙홀
학교 로비. 정관이 학산의숙에서 아하브교육재단으로 바뀐 뒤부터의 연혁이 적혀 있고, 중앙에는 로봇이 배치되어 있다.
6.1.1.2. 교실
학생들이 수업을 하는 공간이다. 앞에는 전자칠판과 화이트보드, 교탁이 있고 왼쪽에는 사물함이 있다.
6.1.1.3. 학습카페
학생들이 공부를 하는 카페. 이곳에서 강연을 하기도 한다.

6.1.1.4. 행정실
학교의 행정을 관리하는 곳이다.
6.1.1.5. 교장실
6.1.1.6. 이사장실
6.1.1.7. 보건실
6.1.1.8. 상담실

6.1.2. 2층

6.1.2.1. 영어 교과교실
영어 교과수업을 하는 곳이다.
6.1.2.2. 방송실
교내 방송을 하는 곳이다. 점심 시간에는 이곳에서 신청곡을 틀어 준다.
6.1.2.3. 전산 정보실
6.1.2.4. 교무실
교사들이 근무를 하는 장소.
6.1.2.5. 학습 자료실
6.1.2.6. 기술가정실
기술가정 교과수업을 하는 곳이다.
6.1.2.7. 취업 정보실

6.1.3. 3층

6.1.3.1. 수학 교과교실
수학 교과 수업을 하는 곳이다.
6.1.3.2. 과학실
과학 교과 수업을 하는 곳이다.
6.1.3.3. 진로활동실
진로 교과 수업을 하는 곳이다.
6.1.3.4. 교육정보실
사실 이름은 교육정보실이지만 현재는 E스포츠실로 쓰이고 있다. 이곳에서 E스포츠 경기를 진행한다.

경기는 이 채널에서 볼 수 있다.
6.1.3.5. 음악실
음악 교과 수업을 하는 곳이다.

6.1.4. 4층

6.1.4.1. 소강당
파일:한과고홈베.jpg
강연을 하는 장소. 홈베이스라는 명칭도 사용한다. 보드게임, 강의실, 동아리실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6.2. 체육관

정식 명칭은 학산문화체육관이다. 체육 수업을 하는 곳이다. 방과 후 시간이나 저녁 시간 이후에 이곳에서 운동을 할 수도 있다.[5] 1층에는 무대와 음향실, 창고가 있고, 2층에는 헬스장, 관중석이 있다.

6.3. 운동장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운동장이다. 풋살장, 농구장, 족구장을 구비하고 있다.

6.4. 도서관

정식 명칭은 백양도서관이다. 학생들이 책을 읽을 수 있는 도서관이다. 그러나 기숙사 옆에있어 접근성이 많이 떨어지다 보니 학교 일과시간 중에는 잘 이용하지 않는것으로 보인다.

6.4.1. 직업체험실

도서관 바로 윗층에 있다. 여러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다. VR, 드론, 레고, 3D프린터, 레이저조각기 등 다양한 시설이 구비되어있다.

6.5. 급식실

급식을 먹는 곳이다. 학생 모두가 들어갈 수 있을만큼의 크기이다. 기숙사와 연결되어있다.

6.6. 기숙사

현재 기준으로는 제2기숙사만이 사용되고있다.

6.6.1. 제1기숙사

전에 쓰던 기숙사이다. 화재로 인해 폐쇄된것으로 추정된다.
파일:한국과학중학교.jpg
2025년 8월 20일쯤에 한국과학중학교라는 글자가 붙었으며, 실제로 개교를 목표로 하고있다고 한다.

6.6.2. 제2기숙사

정식 명칭은 중야생활관이다. 학생들이 하교를 한 뒤 생활하는 곳이다.

1층은 여학생 2~4층은 남학생이 쓰며 5층은 세탁실이다.

1층에 사감실과 세탁기가 있고, 5층을 제외한 층의 끝에는 공용 화장실과 샤워실이 있다.

기숙사는 2~4명으로 배정되며, 양 옆의 2층침대와 사물함, 작은 탁자와 의자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TV와 의자, 청소기가 배치되어 있다. 작은 베란다도 있다.

6.7. 지도관

파일:한과고지도관.jpg
2025년 5월에 완공된 체육시설이다.

태권도, 검도, 유도 등 다양한 체육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2025년 8월 22일 개관식을 진행했으며, 학교 내 윈드 오케스트라가 참여했다.

6.8. 교직원 기숙사

교사들이 학교 내에서 생활하는 곳이다.

6.9. 실습동

학생들이 실습을 하는 장소.

6.9.1. 1층

6.9.1.1. 컴퓨터활용생산실
컴퓨터응용기계과 실습실이다.

CNC, 머시닝 센터 등이 구비되어있다.
6.9.1.2. 자동제어기기제작실
정밀기계조립과 실습실이다.

PLC 등이 구비되어있다.
6.9.1.3. CAD실
컴퓨터응용기계과 실습실이자 실용경제 교과 수업을 하는 곳이다.

드론, 3D 프린터 등이 구비되어있다.
6.9.1.4. 수동가공조립실
정밀기계조립과 실습실이다.

범용밀링, 범용선반, 드릴링 머신 등이 구비되어있다.
6.9.1.5. 선반가공실
스마트팩토리과 실습실이다.

범용밀링, 범용선반, 머시닝 센터, 연삭숫돌 등이 구비되어있다.

6.9.2. 2층

6.9.2.1. 전자기기제작실
전기전자과 실습실이다.
6.9.2.2. 전자기기개발실
전기전자과 실습실이다.
6.9.2.3. 정보통신기기생산실
전기전자과 실습실이다.

7. 학교 생활

7.1. 주요 행사

추가하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하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 주세요.
파일:한과고썸페.jpg
여름방학 며칠 전 진행하는 행사이다.

7.2. 학교 일과

동절기, 11월 ~ 3월
~ 07:00 기상
07:20 ~ 08:00 조식 / 등교준비
08:00 ~ 08:20 등교
17:40 ~ 18:40 석식 / 휴식
18:40 ~ 20:20 자기역량 개발 활동
20:20 ~ 21:30 세면 및 청소
21:30 ~ 22:00 인원 파악
22:20 ~ 취침
하절기, 4월 ~ 10월
~ 06:30 기상
07:00 ~ 08:00 조식 / 등교준비
08:00 ~ 08:20 등교
17:40 ~ 18:40 석식 / 휴식
18:40 ~ 20:20 자기역량 개발 활동
20:20 ~ 21:30 세면 및 청소
21:30 ~ 22:00 인원 파악
22:20 ~ 취침

7.3. 시간표

월요일은 10시에 시작한다. 금요일은 5교시 까지이다.
08:40 ~ 08:50 조례
08:50 ~ 09:40 1교시
09:50 ~ 10:40 2교시
10:50 ~ 11:40 3교시
11:50 ~ 12:40 4교시
12:40 ~ 13:30 점심시간
13:30 ~ 14:20 5교시
14:20 ~ 15:20 6교시
15:30 ~ 16:20 7교시
16:20 ~ 16:30 청소·종례
10:00 ~ 10:05 조례
10:05 ~ 10:40 1교시
10:50 ~ 11:40 2교시
11:50 ~ 12:40 3교시
12:40 ~ 13:30 점심시간
13:30 ~ 14:20 4교시
14:20 ~ 15:20 5교시
15:30 ~ 16:20 6교시
16:20 ~ 16:30 청소·종례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노선 번호[6]
템플릿:버스 정류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10.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비리 의혹이 있었다.

11. 기타

학교 이름과 다르게 과학고등학교가 아닌 공업고등학교이다.

학교의 계열와는 다르게 오케스트라나 무도관같은 예체능쪽에 집중을 하는 추세이다.

창녕슈퍼텍고등학교[7]와 함께 창녕군에 단 둘뿐인 특성화고등학교이다.

매우 긴 계단이 있다. 급식실과 기숙사가 언덕 위에 있어서 하루에 최소 두 번은 타야 한다.

2024년, 2025년 김해외국어고등학교와 함께 키르기스 공화국 국제교류를 2년째 실시하고 있다.

윈드 오케스트라 악단이 존재한다. 보통 행사에서 배경음을 깔아주는 역할이며[8] 현재까지도 단원을 받는 등 활발히 활동을 하고있다.
[기준] 2025년 3월 4일[기준] [3] 예를 들면 전년도에 졸업한 학년의 명찰, 무늬의 색이 초록색이라면 다음년도의 입학생들이 초록색 명찰, 무늬를 사용한다.[4] 여자화장실은 2,3층의 오른쪽 끝에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남자화장실이다.[5] 졸업식 등 체육관을 써야하는 일이 있기 전날에는 체육관 사용이 금지된다.[6] 나무위키 내 해당 정류소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문서와 연결. 예를 들어 대구서부고등학교 앞에는 524를 추가하듯 각 지자체 버스 노선에 맞게 버스 노선 문서의 링크를 거시면 됩니다.[7] 구 창녕제일고등학교. 2018년 교명 변경[8] 현재까지는 무도관 개관식, 10대 교장의 취임식에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