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3:48:03

메이지진구 야구장

진구구장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홈구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센트럴 리그(Central League)
구단 홈구장 제2 홈구장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돔 -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한신 타이거스 한신 고시엔 구장 교세라 돔 오사카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요코하마 스타디움 -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히로시마 도요 카프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메이지진구 야구장 -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주니치 드래곤즈 반테린 돔 나고야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퍼시픽 리그(Pacific League)
구단 홈구장 제2 홈구장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로고.svg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미즈호 PayPay 돔 후쿠오카 -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치바 롯데 마린즈 ZOZO 마린 스타디움 -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엠블럼.svg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라쿠텐모바일파크 미야기 -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오릭스 버팔로즈 교세라 돔 오사카 홋토못토 필드 고베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베루나 돔 -
지방 구장 목록 · 2군 구장 목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3180><tablebgcolor=#073180>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원형 엠블럼.svg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일반 문서
<colbgcolor=#96c800><colcolor=#073180>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야쿠르트 혼샤 로고.svg 야쿠르트 혼샤 | 과거 모기업 파일:일본국유철도 로고.svg 일본국유철도 · 파일:external/sankei.jp/logo_01.gif 산케이 신문
일본시리즈 우승
★★★★★★
1978 · 1993 · 1995 · 1997 · 2001 · 2021
리그 우승
(9회)
1978 · 1992 · 1993 · 1995 · 1997 · 2001 · 2015 · 2021 · 2022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9 · 2011 · 2012 · 2015 · 2018 · 2021 · 2022
시즌별 요약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경기장 1군 메이지진구 야구장 · 2군 야쿠르트 토다 구장 · 지방구장 봇찬 스타디움, 시즈오카 쿠사나기 구장
현역 선수 경력 무라카미 무네타카/선수 경력 · 아오키 노리치카/선수 경력 · 야마다 테츠토/선수 경력 · 오쿠가와 야스노부/선수 경력
홈 중계 채널 파일:후지테레비1 로고.jpg 후지 테레비 1
주요 인물 단장 오가와 준지 · 감독 타카츠 신고 · 선수회장 시미즈 노보루 · 주장 야마다 테츠토
구단 상세 정보 구단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유니폼 · 응원가 · 도쿄온도 · 츠바쿠로 · 도쿄 시리즈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파일:메이지진구 야구장 로고.svg
<colbgcolor=#073180><colcolor=#fff>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메이지 진구 야구장
明治神宮野球場 | Meiji Jingu Stadium
위치 도쿄도 신주쿠구 카스미가오카마치 3-1
기공 1925년 12월
개장 1926년 10월 22일
홈 구단 토에이 플라이어즈 (1962~1963)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1964~ )
수용인원 30,703석
건축비용 1926년 기준 약 53만 엔
크기 좌우측 폴대 - 97.5m
좌우중간 - 112.3m
중앙 - 120m
펜스 높이 - 3.5m
잔디 인조잔디
덕아웃 1루(홈) | 3루(원정)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메이지진구1.jpg
파일:메이지진구2.jpg

1. 개요2. 상세
2.1. 프로야구 경기2.2. 대학야구의 성지2.3. 역사2.4. 재건축 계획
3. 여담4. 교통편

[clearfix]

1. 개요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의 가스미가오카마치(霞ヶ丘町)에 소재한 야구장. 간사이한신 고시엔 구장과 쌍벽을 이루는 일본 학생 야구의 성지이며, 일본프로야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홈구장이다. 구장 명칭은 구장의 부지가 메이지 신궁의 외원(진구가이엔)[1]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지어진 것으로 구장의 소유권 또한 메이지 신궁 법인이 갖고 있다. 부속 시설로 주로 고교 야구 및 골프연습장으로 사용되는 제 2구장이 있다.

일본프로야구 12개 구단 본거지 중 고시엔 다음으로 오래된 구장으로 개장 100년이 가까워진 데다 증축이나 리모델링을 제대로 한 적이 없어 시설 측면에서 낙후되어 있다. 진구가이엔의 재개발에 맞추어 럭비장과 부지를 맞바꾸어 재건축이 될 예정이다.

2. 상세

2.1. 프로야구 경기

파일:Jingu3.jpg
이 구장에서 처음으로 프로야구 경기가 개최된 것은 1945년 11월 23일,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부터 정확히 100일 후 개최된 제9회 직업야구 동서대항전[2]이었고, 역사상 최초의 일본시리즈1950년 일본시리즈의 기념비적인 1차전이 이곳에도 열리기도 했다. 이 외에도 동시기에 몇 번씩 프로야구 경기가 열리기도 했으나, 본격적으로 프로야구를 시작하게 된 것은 1960년대부터였다.

프로야구팀의 홈구장이 된 계기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전신 토에이 플라이어즈가 이전의 본거지인 코마자와 구장이 1964 도쿄 올림픽 축구장 부지로 선정되어 철거되는 바람에 떠돌이 신세가 되자 1962년에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하면서부터였다. 처음엔 새 홈구장을 찾을 때까지 잠깐만 쓰고 나갈 예정이였고 실제로 토에이는 2년 만에 예전 홈구장이자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쓰던 코라쿠엔 구장을 같이 쓰기로 합의하면서 진구에서 나갔다.

그런데 이번엔 코라쿠엔 구장을 쓰던 야쿠르트의 전신 코쿠테츠 스왈로즈가 갑자기 진구를 1964년부터 홈구장으로 쓰겠다고 선언했고[3], 학생야구의 성지를 2년 동안 토에이가 임시로 쓰는 것조차 싫어한 일본학생야구협회에서는 코쿠테츠의 입주를 맹반대했다. 다만 코쿠테츠가 무작정 밀고 들어온 건 아니었고 본래는 바로 옆의 제2구장을 증/개축하여 자신들이 사용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던 것인데, 여기에는 꽤 복잡한 사정이 있다.

당시 코쿠테츠의 명목상 구단주는 일본국유철도[4]였으나, 이 시점에서는 자금 문제로 구단 양도를 전제로 자본제휴 관계를 맺은 후지테레비, 산케이 신문의 모기업 후지산케이그룹이 사실상 구단을 운영하는 상황이었다.[5] 이 때문에 함께 코라쿠엔 구장을 쓰던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계열사 니혼테레비가 경쟁사인 후지테레비의 중계를 반대하며 코라쿠엔 경기 중계를 독차지했고[6], 이 때문에 후지테레비는 자신들의 구단인 스왈로즈의 경기를 중계할 수 없게 되어 그 대안으로 아예 홈구장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선택을 했고 그 대상으로 메이지진구 제2구장이 걸린 것. 그러나 코쿠테츠의 제2구장 사용 희망은 본래 용도와도 맞지 않는 데다 증/개축도 어려워서 결국 반려되었다.

어쨌든 코쿠테츠의 입성을 놓고 치열한 논의를 거친 끝에, 결국 진구구장 및 학생야구 측은 학생야구 경기 일정과 프로야구 경기 일정이 겹치는 경우 학생야구 측에 우선 사용권을 주는 조건으로 코쿠테츠의 입주를 허용했다. 이 때문에 야쿠르트가 처음으로 진출한 1978년 일본시리즈에서 야쿠르트는 학생야구 측과의 일정 조율 협의에 실패해 코라쿠엔 구장에서 홈경기를 개최해야 했다.

그러나 아마추어 경기만을 개최하던 구장이라 프로 경기에 적합하지 않았기에, 모기업인 일본국유철도에서 구장 증/개축을 실시하게 된다. 인터넷상에 국철이 적자에 허덕이면서도 심지어 1980년대에도 자비를 들여 야구장을 보수해 준 것처럼 되어있지만,[7] 구장에 입성해서 한 일은 프로경기가 가능하도록 여러 증/개축을 거친 과정이었다. 구장 증/개축 공사가 1965년 팀을 산케이신문에 매각하고도 계속 이어졌다보니 국철이 호구처럼 돈을 퍼준 마냥 잘못 알려져 있다.

다만 메이지진구 야구장을 사용하는 프로팀은 계속해서 진구 구장을 아마 야구인들을 위해 개보수하는 의무를 지게 하였다. 가장 최근의 리모델링은 2007년 시즌 종료 후 이루어졌다. 아마와 프로가 함께 쓰는 구장이면서도 상당히 깔끔하고 편한 상태를 유지 중이다. 그래도 지은 지 오래된, 프로와 아마가 함께 쓰는 구장에 프로팀 자체가 다른 구단들에 비해 돈이 많은 것도 아니라 다른 프로팀의 홈 구장들에 비해서는 락커룸이나 기타 선수들을 위한 제반시설이 다소 열악한 편으로, 2000년대 이후 야쿠르트에서 자주 부상자가 나오는 이유[8]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2.2. 대학야구의 성지

진구 구장은 야쿠르트의 홈 경기장일 뿐만 아니라, 일본 고교야구에서 한신 고시엔 구장을 성지로 여기는 것처럼 대학 야구에선 진구 구장이 성지로 여겨진다. 1929년부터 도쿄 6대학 리그, 도토 대학야구연맹 리그 경기 및 전일본대학야구선수권대회가 열린다.

고시엔의 도쿄 지역 예선도 동-서지구 공통으로 8강전부터 여기서 치르며, 고시엔의 도쿄 예선은 전국구 레벨로 치열하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열린 여름 고시엔 중 2번을 (2006년의 와세다 실업 고교, 2011년의 니혼대학부속 제 3고교 등) 서도쿄지구 출신 팀들이 제패한 바 있다. 그래서 아다치 미츠루가 그린 고교야구 만화에서는 고시엔보다 진구 구장이 더 자주 나온다.[9]

대학야구 스케줄 때문에 메이지진구 구장에서는 주말 경기 상당수가 야간에 편성된다. 오후에는 대학야구 경기가 있기 때문. 또한 월요일에 이 구장에서 대학야구 경기를 하기도 한다.

2.3. 역사

파일:external/www.jingu-stadium.com/img_history_01_02.jpg
건설 당시 모습.
카스미가오카(霞ヶ丘)는 원래 다이묘의 사격장과 구 육군의 연병장 부지가 있던 곳으로, 메이지 덴노 사후 신궁과 더불어 서양식 공원으로 조성된 부지이다. 이후 1910~20년대에 일본에서 학생계몽운동 등으로 '학생들에게 좋은 시설을 주자'는 시류를 따라 육상경기장과 야구장 등의 체육시설이 조성되었으며, 이 때 야구장은 공사비를 신궁 측의 후원단체와 도쿄 6대학 야구 연맹이 분담함에 따라 구장은 신궁이 보유하고 대학을 중심으로 한 아마추어 경기를 우선으로 하게 되었다.
파일:external/www.jingu-stadium.com/img_history_01_14.jpg
파일:external/www.library.metro.tokyo.jp/31_008.jpg
완공 직후 모습. 위는 사진이고 아래는 조감도.

1925년 10월 22일에 국립 경기장이 완성되었는데, 야구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1926년 10월 22일에 완공되었다. 총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53만 엔으로[10] 이 중 48만 엔을 메이지 신궁 봉찬회에서, 5만엔을 도쿄 6대학 야구 연맹에서 부담하였다. 이후 1931년 도쿄 6대학 연맹에서 다시 55만 엔을 들여 확장 공사를 했다. 1934년 베이브 루스를 필두로 한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방일했을 때 이곳에서 경기를 가졌다. 미국의 야구장들이 대부분 재개발되면서 2023년 현재 베이브 루스가 뛴 경기장은 메이지진구를 포함해 전세계에 3곳밖에 남지 않았다.

1956년에는 진구 가이엔의 관할이 정리되어 육상 경기장은 정부(문부성)로 이관되고 야구장을 포함한 나머지 시설은 메이지 신궁 법인에 불하되었다. 원래 가이엔과 무관하게 민간에서 건설한 럭비장은 1962년 국가 관할에 들어갔다.

이 곳에서 1958 도쿄 아시안 게임1964 도쿄 올림픽이 개최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일본 스포츠의 성지와도 같은 곳. 야구장도 한신 고시엔 구장 다음으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오래되었다. 한국의 동대문야구장보다 1년 늦게 지어졌으며, 실제로도 위상이 비슷하다.
파일:external/www.library.metro.tokyo.jp/31_007.jpg
완공된 직후의 카스미가오카.

구장 근처에는 국유 시설인 국립 카스미가오카 경기장이 있다. 북서쪽으로 2020 도쿄 올림픽의 주경기장인 도쿄 국립경기장[11], 남쪽으로는 치치부노미야 럭비장이 인접해 있다. 육상 경기장은 원래 야구장과 같이 메이지 신궁의 소유였다가 1956년 국가에 이관된 것이며, 럭비장은 처음부터 메이지 신궁과 무관했다.
파일:zjfGdqFr.jpg
도쿄 국립경기장의 전경.
위에서부터 치치부노미야 럭비장 / 메이지진구 야구장 / 메이지제2구장 /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12] 이다.
파일:TokyoOLstadium6.jpg
도쿄 국립경기장이 완공된 이후의 전경.

아울러 구장의 소재지는 하라주쿠에 인접하고 그 땅값 비싼 아오야마 일대로, 국유지 없이 경기장을 만든다면 저런 노른자위같은 땅에 짓기는 애초에 무리일 정도로 입지가 좋다.

2.4. 재건축 계획

개장 90년을 넘긴 현재 노후화 문제가 지적되어 2020년 올림픽 후에는 인접한 럭비장과 함께 재건축될 예정이다. 2017년에 보도된 기사에 의하면 우선 북쪽의 제2구장을 철거하여 럭비장을 1단계 신축하고, 다시 럭비장을 철거한 부지에 야구장을 신축할 계획에 있다. 신축 구장의 개장은 2032년으로 예정되어 있다.(기사)

그러나, 구장 주변 진구가이엔 재개발 계획에 대한 도쿄도민들의 반응은 녹지가 부족한 도쿄에서 나무를 베고 이를 고층 빌딩으로 채운다는 점에서 의외로 부정적이다. 사카모토 류이치도 생전에 반대 의견을 표하기도 했으며, 샌드위치맨 다테, 토미자와도 재개발이 꼭 필요하냐고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이 외에도 쿠와타 케이스케, 무라카미 하루키 등의 유명 인사들도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논란 이후 개발 계획을 다시 고쳐 벌채를 최대한 줄이고, 오히려 나무 수를 늘리는 계획안이 공개되었다. ##

3. 여담

4. 교통편

인근 지하철역으로는 긴자선가이엔마에역이 가장 가까우며, 긴자선, 한조몬선, 오에도선아오야마잇초메역, 오에도선 코쿠리츠쿄기죠역, 그리고 츄오-소부선시나노마치역이 있다. JR 센다가야역도 도보 권역이긴 하나 국립경기장의 공사 탓에 경로가 불편한 편. 여담이지만 너의 이름은.에서 자주 등장한 시나노마치역 앞 육교 등의 배경 스팟이 줄줄이 나온다.[14] 레이싱 게임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에서 3부터 단골로 나온 도쿄 R246 코스에서도 진구구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 神宮外苑. 메이지 신궁 본체와는 센다가야 시가지를 사이에 두고 1km 이상 뚝 떨어져 있다.[2]일본프로야구 올스타전의 전신으로 1937년부터 1949년까지 개최되었다.[3] 그 뒤 토에이의 후신인 닛타쿠홈과 닛폰햄을 포함해 1980년까지 다른 구단들의 준본거지 구장으로서 많은 시합이 열렸고 1973~1977년엔 집시 롯데 시기였던 롯데 오리온즈가 몇몇 홈경기를 이곳에서 개최했다.[4] 단 창단 당시부터 일본국유철도는 국유철도라는 특수한 입장 때문에 이름만 빌려준 정도였고 실제 모기업은 관련 타 기업들이 모인 후원회였다. 자세한 것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모기업 목록 참고.[5] 실제로 다음 해인 1965년 5월에 정식으로 구단이 후지산케이그룹으로 매각되면서 구단명이 '산케이 스왈로즈'로 변경되었고, 후지산케이그룹은 구단을 야쿠르트에 매각한 현재도 스왈로즈의 지분 20%를 보유하고 있다.[6] 예외적으로 코라쿠엔 입주 후의 토에이 플라이어즈 경기는 NET테레비가 중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7] 1980년대 국철은 이미 국철재건법을 통해 갱생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적자노선 폐선, 시티열차로 대표되는 단거리 통근열차 운행체계 도입 등을 통해서 적자를 줄여나가며 생존을 위한 노력을 했으나, 1987년 4월 1일 결국 분할민영화되었다.[8] 이를 두고 나온 말이 "야전병원(ヤ戦病院)".[9] 고시엔 구장을 중점적으로 등장시키는 만화는 주인공 팀들이 결승까지 올라가는 H2 정도. 나머지 터치크로스 게임 등에서는 도쿄 지역예선을 제패해 고시엔에 진출하는 정도에서 스토리를 완결하므로 고시엔을 그릴 일이 별로 없다.[10] 일본은행 자료의 기업물가로 환산할 경우 2017년 가치로는 2.8억 엔이 된다.[11] 사진 왼편에 보이는 건물이다. 2015년까지는 구 국립 경기장(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이 있었다.[12]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은 2020 도쿄 올림픽을 위해 철거되었고, 도쿄 국립경기장이 그 자리에 건설되었다.[13] 대학야구에 우선 사용권을 주는 대신 야쿠르트는 주말 야간 홈경기를 많이 한다.[14] 아닌 게 아니라 시나노마치역 인근이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생활권이어서 인근 배경이 감독의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한다. 언어의 정원에 등장하는 신주쿠 교엔도 멀지 않은 곳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