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9:25:27

젖산

유기화합물
Organic Compound

유기화합물 - 카복실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373a3c><colbgcolor=#ffee88> 지방산 포화지방산
탄소 개수로 표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2 · 24 · 26 · 28 · 30 · 31 · 32 · 33 · 34 · 35 · 36
불포화지방산 cis-3:1ω1 cis-14:1ω5 cis-16:1ω7 cis-16:1ω10 trans-18:1ω7 cis-18:1ω9 trans-18:1ω9 cis-18:2ω6 trans-18:2ω6 cis-18:3ω3 cis-18:1ω6 cis-20:1ω7 cis-20:5ω3 cis-22:1ω9 cis-22:6ω3
아미노산 구성 아미노산 글루타민 · 글루탐산 · 글리신 · 라이신 · 류신 · 메티오닌 · 발린 · 세린 · 시스테인 · 아르기닌 · 아스파라긴 · 아스파르트산 · 알라닌 · 이소류신 · 트레오닌 · 트립토판 · 티로신 · 페닐알라닌 · 프롤린 · 히스티딘
비단백 아미노산 감마아미노부탄산 · 셀레노메티오닌 · 셀레노시스테인 · 시트룰린 · 오르니틴 · 카르니틴 · 테아닌 · 피롤라이신 · 아스파탐
기타 글루카르산 · 글루콘산 · 글루크론산 · 글리세린산 · 나이아신 · 나프록센 · 레불린산 · 말레산 · 말론산 · 말산 · 벤조산 · 살리실산 · 시트르산 · 아디프산 · 아세토아세트산 · 알다르산 · 알돈산 · 앱시스산 · 옥살산 · 우론산 · 이부프로펜 · 이소시트르산 · 점액산 · 젖산 · 크실론산 · 타타르산 · 탄산 · 판토텐산 · 피루브산 · 감마수산화부탄산 · 하이드록시시트르산 · 디클로페낙 }}}}}}}}}
파일:lactic acid.png
젖산의 구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22px-Racemic_lactic_acid_sample.jpg

1. 개요

Lactic Acid
2-hydroxypropanoic acid
C3H6O3

락트산, 유산(乳酸)이라고도 불리며 카복실산 중 하나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황산을 유산(硫酸)이라고 불러서 한자는 다르지만 한국어 발음이 같아 젖산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황산구리를 중국과 일본에서는 유산동(硫酸銅)이라고 부르거나 황산으로 섬유를 분해한 화학종이인 기름종이(parchement paper)를 유산지(硫酸紙)라고 부른다. 기름 유(油) 유산지가 아니다.

근육글리코젠을 사용하여 분해되면서 생기거나[1][2] 미생물이 젖당이나 포도당 등의 발효로 생긴다. 보존식품에 매우 중요한 물질로 김치, 요구르트, 치즈가 대표적인 젖산 함유 식품이다. 젖산을 함유한 식품은 오랫동안 보존 가능하며 상쾌한 신맛을 낸다.

한동안 지연성 근육통의 원인이라 널리 알려졌다. 하지만 2000년도 이후 연구 결과들을 통해 젖산은 지연성 근육통을 유발하는 인자가 아닌 근육의 활동을 증진시키는 인자이고, 이로 인해 증가된 칼륨이나 칼슘의 농도에 의해서 지연성 근육통이 유발된다고 밝혀졌다. 기사. 지연성 근육통의 원인이 젖산이 아니라는 것 자체는 밝혀진 상황이고 정확한 기전은 추후 연구로 밝혀질 듯 하다.

또한 충치의 원인이기도 하다. 충치의 원인균인 S.mutans의 분비물이자 배설물이 바로 젖산이다. 다만, S.mutans는 유산균은 아니다.

링거, 정확히는 산성혈증(Acidosis)의 치료제인 하트만 수액의 성분으로 쓰인다. 양쪽성을 가지고 있어서 산성을 띠는 피를 정상인의 pH로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다만 이나 에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포도당에서 L-젖산이 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 과정은 '무산소성 해당(解糖)과정'이라고 한다.
포도당(헥소키나아제, ATP) → 포도당-6-인산(헥소 이성질화효소) → 과당-6-인산(인산-과당-인산화효소, ATP) → 과당-1-6-인산(알도나아제) → 글리세르알데히드-3 인산 2분자 (이성질화효소) → 제1인산 2분자와 NAD+ 2분자 추가(NAD+는 NADH+ H+ 2분자와 어우러짐) → ADP 2분자는 인산 2분자와 ATP로부터 생성 → 재배열 → H2O 2분자 생성 → ADP 2분자는 인산 2분자와 ATP로부터 생성 → 피루브산 2분자 → 젖산 2분자 (젖산 발효).

한편 이것이 사슬형태로 이어지면 PLA(Poly Lactic Acid)가 된다.

2. 젖산염

고강도상황등에서 무산소조건의 운동시 젖산(CH3CH(OH)COOH)으로부터 COOH쪽의 H(수소)1개가 떨어져 나가고, 이러한 젖산염(CH3CH(OH)COO-)이 으로 배출된다.

3. 관련 문서



[1] 젖산 발효 문서의 2문단 참조[2] 이렇게 생성된 젖산은 에서 포도당 생합성에 재활용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