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정선군
정선군 교통체계 | ||
<colbgcolor=#3772b8> 철도 | 태백선 | 예미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 |
정선선 | 민둥산역, 별어곡역, 선평역, 정선역, 나전역, 아우라지역 | |
도로 | 고속도로 | |
국도 | 35번 국도, 38번 국도, 42번 국도, 59번 국도 | |
지방도 | 28번 지방도, 410번 지방도, 414번 지방도, 415번 지방도, 421번 지방도, 424번 지방도 | |
버스 |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 정선군 농어촌버스, 정선버스터미널, 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
[clearfix]
1. 철도
과거 경제 성장기에는 태백선(예미 - 고한 구간)이 지나는 광업의 메카였으며 정선선이라는 군내 전용지선까지 보유할 정도로 철도교통이 발달되어 있었다. 그러나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 이후 탄광업이 몰락하면서 정선선의 수요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정선선의 종점이었던 구절리역은 아예 반 폐역이 되었으며, 정선선을 진부까지 연결하자는 계획도 흐지부지되었다. 오히려 정선선은 극도로 심한 적자 때문에 폐선하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사회간접자본인데다 정선 중북부의 도로교통 사정이 워낙에 괴악한지라 정선군의 반발이 우려되어 어쩔 수 없이 정선아리랑열차를 주말 및 정선 5일장(2,7일) 에만 운행하는 방식을 통해 존치시키고 있는 중이다.이러한 부실한 배차와 청량리역까지 3시간이 넘게 걸리는 이유로 인해, 태백선 연선 지역이 아닌 정선읍, 북평면, 여량면 등지에서 철도를 이용하여 원주, 서울 방향으로 나가는 사람들은 자가용 혹은 1일 5회 운행하는 21번 버스를 통해 진부역을, 임계에서는 강릉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고한읍 모노레일이라는 특이한 명물이 있다. 국내 최초로 모노레일을 교통목적으로 활용한 사례.
2. 도로
2.1. 고속도로
지나지 않으나, 평택제천고속도로의 연장선인 제천삼척고속도로가 군의 남부 지역을 지나게 될 계획이다가 2025년 1월 23일 예타통과했다. 문서 참조.정선읍에서 수도권, 춘천, 원주 방향으로 가려면 개량된 59번 국도를 타고 진부 나들목, 속사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를,[1] 혹은 42번 국도를 통해 새말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를 타거나 38번 국도를 통해 제천 나들목, 평창부터 82, 88번 지방도를 통해 신림 나들목에서 중앙고속도로를 탈 수 있다. 어느 나들목을 이용해도 소요시간에는 큰 차이가 없으니 취향껏 이용하면 된다. 강릉으로는 42번 국도와 35번 국도를 통해 임계를 거쳐서 가는 방법과 59번 국도를 타고 진부 나들목에서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가는 방법이 있다. 전라도, 충청도 방향으로 가려면 남제천 나들목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를, 경상도 방향으로는 남제천 나들목이나 북단양 나들목, 혹은 태백을 경유하여 영주 나들목에서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면 된다.
2.2. 국도
35번 국도, 38번 국도, 42번 국도, 59번 국도가 있다. 동서축인 38번 국도와 42번 국도가 주요 간선이고, 생활권도 두 국도 연선이 다르다. 그리고 이 두 국도를 59번 국도가 연결하고 있다.- 38번 국도: 2008년 말에 4차로로 건설된 이후 정선 남부의 대동맥 역할을 하고 있는 정선에서 가장 고속화된 도로다. 영월에서 넘어와 신동읍(예미리), 남면, 사북읍, 고한읍을 거쳐 태백으로 넘어간다. 신동교차로를 지나 영월방향으로는 제천IC까지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정선 - 태백 구간은 험한 지형을 관통하는 구간답게 왕복 4차선 국도임에도 불구하고 민둥산사거리 앞에서는 시속 60km/h의 과속 단속 카메라가 존재하고, 태백 방향으로 마차재 - 문곡교차로 구간 및 두문동재삼거리~추전역삼거리 구간에서 각각 80km/h와 60km/h 구간단속이, 제천 방향으로는 두문동재삼거리 - 상갈래교차로에서 60km/h, 고한터널 - 증산터널 구간 및 마차재휴게소 - 예미교차로 구간에서 80km/h 구간단속이 시행 중에 있다.
- 42번 국도: 평창군에서 넘어와 정선읍내를 우회하여 북평면, 여량면, 임계면을 거쳐 동해시로 넘어간다. 42번 국도 연선은 영월이나 태백 생활권에 속하는 38번 국도 연선과는 다르게 강릉 생활권인 임계를 제외하면 정선읍 생활권에 속한다. 여량까지는 평창올림픽을 대비하여 왕복 2차로이긴 해도 선형 개량이 진행되었지만 여량 - 임계 - 동해로 이어지는 구간은 태백산맥을 넘어가는 구간이기 때문에 운전하기 아주 까다로운 편이다. 백복령터널 건설을 비롯한 이 구간의 개량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에 있다.#
- 59번 국도: 38번 국도와 중첩되어 오다가 남면 문곡교차로에서 분기하여 정선읍 방향으로 향한다. 정선역을 지나 덕송리에서 42번 국도와 잠시 중첩되었다가 나전1교차로에서 다시 분기하여 오대천을 타고 진부로 향한다. 전 구간 왕복 2차로이지만 나전 - 진부 구간은 중간에 있는 정선 알파인 경기장 덕에 올림픽 버프를 제대로 받아 터널을 통해 개량이 비교적 많이 진척되었다.
2.3. 국가지원지방도
- 28번 지방도 : 서남쪽 방향으로 영월읍에 북동쪽방향으로는 삼척을 거쳐 동해시로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