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03:58:28

예미역

예미역
민둥산
17.9 ㎞ →
역명 표기
태백선 예미
Yemi
禮美 / 礼美 / [ruby(礼美, ruby=イェミ)]
함백선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함백로 55
(예미리 200-1)
관리역 등급
보통역
(민둥산역 관리/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운영 기관
태백선 한국철도공사
함백선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함백선 1957년 3월 9일[1]~
1966년 1월 10일
1966년 1월 15일[2]
정선선 1966년 1월 10일[3]~
1973년 10월 16일
태백선 1973년 10월 16일[4]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정선아리랑열차 2015년 1월 22일 }}}}}}}}}
철도거리표
태백선
예 미
기점
함백선
예 미
파일:예미역.jpg
현 역사(1977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운전취급
3. 역 주변 정보4. 승강장5. 일평균 이용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산 이름도, 마을 이름도, 역 이름도 '예미'
예미역이 위치한 예미마을은 그 이름처럼 예미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란 의미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당시, 여미산을 지금의 예미산으로 바꿔 부르는 과정에서 마을 이름이 되었다. 산과 마을, 역의 이름이 같은 셈이다. 이름처럼 예미역은 탄광의 석탄과 철광석을 나르던 산의 역사(驛舍)이다. 예미역과 조동역 사이의 구간은 대한민국 철도 중에서 가장 가파른 구간으로 때문에 과거에는 피난선이 설치, 위급 상황을 위한 구원 목적으로 보조 기관차가 항상 대기하고 있었다고 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태백선함백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함백로 55(예미리 200-1번지) 소재.

강원특별자치도 깊숙이 들어왔는데도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가 아닌 충북본부 관할인 것이 특이점. 실제로 태백선추전역부터 강원본부 관할이고 고한역까지는 전부 충북본부에 속한다.

2. 역 정보

1일 14회 무궁화호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태백선치고는 굉장히 많은 편이다.

이곳부터 자미원역까지는 약 30퍼밀[5]대한민국 철도에서 가장 가파른 구간이다 보니 피난선이 설치되었고 보조 기관차 또한 항시 대기하고 있었다.[6] 이후 동력차 성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2009년에 피난선이 철거되고 보조 기관차 사업도 종료되었다.

과거 태백선이 완전 개통 되지 않았을 때는 함백역까지 가는 함백선이 태백본선이었지만, 지리적 특성상 함백역에서 바로 연장하기가 너무 어려워서 예미역에서 조동신호장으로 신선을 부설하고, 예미~함백 구간은 함백선이라는 별개의 지선이 되었다. 그러나 이 구간이 경사가 너무 심해 결국 함백역 동쪽에 루프 터널을 새로 관통하여 조동신호장까지 연결하게 되었다. 결국 예미~조동 구간은 영동선동해역~묵호역 구간과 비슷하게 2개의 노선이 병행하는 구간이 되었다.

이 역과 조동신호장 사이의 태백선 본선 구간은 조동철교로 이어지며, 이곳부터 태백역까지 고도가 높아진다.

화물 취급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 취급은 무연탄과 백운석을 취급한다.

2021년 10월부로 승차권 차내취급역으로 전환되어 승차권 발권이 중지되었다. 코레일톡이나 네이버 승차권, 카카오T를 이용하거나 열차에 탑승하여 열차 승무원에게 발권받아야 한다.[7]

2.1. 운전취급

예미역부터 자미원역까지의 구간은 구배가 상당하고 조동신호장의 경우 태백본선은 대피가 불가능하다 보니 운전 취급 지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예미역장은 열차 운전 취급 시 다음 사항을 따라야 한다.

1. 예미역에서 태백선 상·하 열차와 함백선 상·하 열차가 각각 지정 선로로 상호 경합 시에는 상행 열차를 우선 취급 할 것
2. 예미역에서 태백본선 상행 열차와 함백선에서 태백본선으로 진입하는 열차가 상호 경합 시에는 태백본선 열차를 우선 취급 할 것
3. 예미역~조동신호장 간 태백본선 하행 열차와 자미원역~조동신호장 간 태백본선 상행 열차를 운전시킬 때는 예미역~자미원역 간에 1개 열차만 운전 취급 할 것
4. 예미역장은 함백선을 경유하는 상행 열차와 태백본선 하행 열차가 조동신호장에서 교행하는 경우는 하행 열차를 조동신호장에서 정지시키지 않도록 운전 정리를 할 것
5. 태백본선 및 함백선을 경유하는 하행 열차가 조동신호장에서 열차 시각이 경합되는 경우에는 태백본선 하행 열차를 우선 취급 할 것

3. 역 주변 정보

제천역에서부터 태백선 철도와 병주하는 38번 국도(강원남로)가 이 역에서부터 민둥산역까지 따로 떨어져 부설되어 있다. 자미원역이 있는 수리재[8] 의 험준함 때문에 38번 국도는 마차령(해발 800m, 가사리)을 경유하기 때문이다.

예미역 주변으로는 신동우체국, 신동대체산업단지, 신동119안전센터, 신동읍 행정복지센터가 있으며, 38번 국도와 붙은 쪽에 예미 농공단지와 샤론농원, 신동 졸음쉼터가 있다.

4. 승강장

민둥산
영월
태백선·정선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정선아리랑열차
]]
제천·원주·청량리 방면
태백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사북·태백·동해 방면
정선선 [[정선아리랑열차|
정선아리랑열차
]]
민둥산·정선·아우라지 방면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119명
2005년 124명
2006년 112명
2007년 114명
2008년 105명
2009년 100명
2010년 96명
2011년 98명
2012년 106명
2013년 112명
2014년 108명
2015년 96명
2016년 93명
2017년 89명
2018년 88명
2019년 90명
2020년 59명
2021년 61명
2022년 68명
2023년 68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6. 둘러보기

태백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안함
}}}}}}}}}

함백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여객영업 안함
}}}}}}}}}



[1] 함백선 영월 - 함백 구간 완공과 동시에 영월선(제천 - 영월 구간)이 함백선에 통합된 날짜.[2] 정선선의 예미 - 함백 구간이 함백선으로 분리된 날짜 (철도청고시 제208호)[3] 정선선 예미 - 증산 구간 개통과 동시에 함백선이 정선선에 통합된 날짜.[4] 정선선 제천-증산 구간·고한선·황지지선이 통합된 날짜.[5] ‰(천분율), 30퍼밀은 1km마다 30m씩 고도가 높아짐을 의미함[6]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경우처럼 괴물 같은 급구배 구간이 여럿 생긴 2017년 지금에서도 일반 열차가 골고루 운행하는 간선 철도에서는 아직도 이곳이 최급구배 지역 중의 하나이다.[7] 차내 승차권 발권 시 코레일 멤버십 이용 실적은 적립되지 않으므로 이용 실적 적립을 하려면 레츠코레일 홈페이지, 코레일톡이나 타 유인역에서 발권하면 된다.[8] 자미원길이라는 이름으로 421번 지방도가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