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신호장 | ||
역명 표기 | ||
태백선 | 조동 Jodong 鳥洞 / 鸟洞 / チョドン | |
함백선 | ||
주소 |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매화동길 81-17 (舊 방제리 244-8) | ||
관리역 등급 | ||
신호장 (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 ||
운영 기관 | ||
태백선 | 한국철도공사 | |
함백선 | ||
개업일 | ||
태백선 | 1977년 3월 1일 | |
함백선 (1차) | ? ~ 1976년 이전 | |
함백선 (2차) | 1977년 3월 1일 | |
철도거리표 | ||
제천 방면예 미 ← 6.6 ㎞ | 태백선 조 동 | 백산 방면자미원 4.4 ㎞ → |
예미 방면함 백 ← 4.4 ㎞ | 함백선 조 동 | 종점 |
|
현 역사(1976년 준공, 1977년 개업) |
[clearfix]
1. 개요
태백선과 함백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매화동길 81-17 (舊 방제리 244-8번지) 소재.2. 역 정보
원래는 함백선이 호황할 때에 임시승강장으로 개업하였으나, 폐지되었다. 구 역터 주소는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 291-1. [1]개업할 때부터 신호장이었다. 한때 화물을 약간 받기도 했지만 2011년 기준으로는 화물도 안 받는다. 다만 본선인 태백선은 단선 그대로 뻗어 있고 오히려 지선인 함백선 쪽이 선로가 더 많은 희한한 상황이 되었다. 현재는 역무원도 철수하고 무인신호장이 된 상태다.
이 역과 예미역 사이에는 조동철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역에서 자미원역까지는 올라가는 경사도 가파르고 산 능선을 빙빙 돌고 여러 터널을[2] 넘어가기까지 한다. 그래서 가끔 여기서부터 열차가 서행하기도 한다.
역명은 매봉산의 매에 쫓긴 새 무리가 새골에 내려앉은 형상을 해 조동이라 이름 지었다고 전해진다. 현재의 역사는 재개업 2개월 전인 1976년 12월 24일에 완공되었다.
3. 둘러보기
태백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입석리† - - 연당† - 청령포† - - 탄부† - 연하† - 석항† - - - 조동† - 자미원† - - - - 추전† - - 문곡† - 백산† | }}}}}}}}} |
함백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함백† - 조동† †:여객영업 안함 | }}}}}}}}} |
[1] 현재의 역 이름은 구 역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는데, 애초에 현 역은 방제리에 위치한다...[2] 짧은 터널도 나오며 길이 1,900여m인 수리재터널을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