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0:47:44

영월역

폐역 영월 - [ruby(정양, ruby=~2007)]
영월역
청량리 방면
제 천
← 34.7 ㎞
동해 방면
민둥산
35.1 ㎞ →
예 미
17.4 ㎞ →
역명 표기
태백선 영월
Yeongwol
寧越 / 宁越 / [ruby(寧越, ruby=ヨンウォル)]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월로 2106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민둥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운영 기관
태백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월선 1956년 1월 17일~
1957년 3월 9일
함백선 1957년 3월 9일~
1966년 1월 10일[1]
정선선 1966년 1월 10일~
1973년 10월 16일[2]
태백선 1973년 10월 16일[3]
정양선 1964년 4월 1일~2007년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A-train 2015년 1월 22일 }}}}}}}}}
철도거리표
태백선
영 월
파일:영월역.jpg
현 역사(1955년 준공, 1956년 개업)[4]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일평균 이용객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고풍스러운 한옥 역사와 궁서체 역명판
영월역은 1956년 1월 태백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64년 화력발전소 전용선이 부설되었으며 1974년 태백선 전철이 개통하였다.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하는 지역 교통의 거점으로, 1955년 준공한 고풍스러운 느낌의 한옥 역사가 오랜 시간 동안 영월의 관문으로 역할해오고 있다. 단종의 능이 있는 지역적 특색을 반영하여 탄생한 단청이 고운 한옥 역사이다. 한자로 쓰인 역명판과 함께 궁서체로 새겨진 한글 역명판이 특히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또한 역사 광장에는 김삿갓 동상이 세워져 있어 영월의 유명 관광지, 김삿갓 계곡과 김삿갓 문학관 등을 대표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파일:영월역 스탬프.jpg
영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태백선정양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월로 2106 (덕포리 507번지) 소재.

2. 역 정보

1955년 12월 30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고, 1956년 1월 17일 영월선의 제천-태백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 등급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한옥 스타일의 역으로 유명하며, 역명판 역시 광화문의 명판처럼 한자새겨져 있다.[5] 한글역명은 처마에 궁서체로 써 있는 수준. 얼마전에 플랫폼의 역명판을 새로 도색하면서 특유의 바랜 색깔이 없어졌다.

1964년 4월 1일부로 영월화력발전소 전용선이 부설되었고, 1972년 2월 10일부로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 3월 26일부로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으로 지정되었으나,[6] 2007년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392호에 의거하여 화물 취급이 중단되었다.

청령포역에서 이 역까지의 철교는 당시로서는 최신식 공법인 철근 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하여 밑이 뻥 뚫려 있지 않은 무척 튼튼한 형태로 지어져 있다. 1990년 9월 11일 홍수로 기존 철교가 완전히 붕괴되어 새로 짓는 김에 튼튼하게 지은 것이다.

규모가 되는 여타 철도역에서는 비치된 PC 시설이 유료였고 그나마도 상당히 비싼 편이었지만[7] 영월역에서는 특이하게도 맞이방에서 무료로 컴퓨터를 할 수 있었다.#[8] 현재는 맞이방이 리모델링되면서 철거되었다.

2.1. 승강장

예미
1 2
쌍룡
1 태백선 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고한·태백·동해 방면
정선선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
민둥산·정선·아우라지 방면
2 태백선·정선선 파일:ITX-마음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
제천·원주·청량리 방면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파일:ITX-마음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
2004년 438명
2005년 412명
2006년 394명
2007년 456명
2008년 450명
2009년 415명
2010년 455명
2011년 463명
2012년 505명
2013년 577명
2014년 573명
2015년 509명
2016년 432명
2017년 415명
2018년 392명
2019년 406명
2020년 273명
2021년 366명
2022년 458명
2023년 153명 473명 626명 [9]
출처
철도통계연보

4. 둘러보기

태백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안함
}}}}}}}}}

정양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취소선:폐역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e499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e4997>
파일:영월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ITX-마음 BI_White.png 영월
무궁화호 쌍룡
석항, 연당, 연하, 청령포, 탄부
}}}}}}}}}



[1] 함백선 영월 - 함백 구간 완공과 동시에 영월선(제천 - 영월 구간)이 함백선에 통합된 날짜.[2] 정선선 예미 - 증산 구간 개통과 동시에 함백선이 정선선에 통합된 날짜.[3] 정선선 제천-증산 구간·고한선·황지지선이 통합된 날짜.[4] 철도 역사 중에서는 매우 드물게도 선개통 후완공 기법이 아닌 선완공 후개통 기법이 적용되었다. 쌍룡-영월 구간이 역사 완공 시기(1955년 6월 30일)보다 7개월 정도 더 늦은 1956년 1월 17일에 개통했기 때문이다.[5] 다만 보통 한자 현판은 우횡서로 쓰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역의 현판은 좌횡서로 되어있다. 그 외에 舊 경주역도 승강장측 역명판이 한자로만 쓰여 있다.[6]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17호, 1973년 3월 26일[7] 15분에 500원, 30분에 1천 원으로, 출혈경쟁으로 1시간에 500원이라는 가격을 선보이기까지 했던 동시기 PC방의 이용요금과 비교해보아도 상당히 비싼 편이었다.[8] 운영체제는 Windows XP이며, 귀혼을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한야성과 혈인농원, 구 UI와 지도맵이 있는 것으로 보아 2008년~2009년으로 추정. 2007년 6월에는 Windows 98을 사용하고 CRT 모니터를 장착한 타워형 컴퓨터였다.[9]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