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15:46:48

정균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고창군)
선거구 개편
전종천[1]
유갑종[2]
제13-15대
정균환
선거구 개편
정균환[3]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고창군·부안군)
선거구 개편
정균환[4]
김진배[5]
제16대
정균환
제17-19대
김춘진
대한민국 제13-16대 국회의원
정균환
鄭均桓 | Chung Kyun-hwan
파일:정균환 전 국회의원.jpg
<colbgcolor=#45BABD><colcolor=#fff> 출생 1943년 7월 23일 ([age(1943-07-23)]세)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광대리[6]
본관 진주 정씨
현직 사단법인 한국정치아카데미 이사장
사단법인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회장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5BABD><colcolor=#fff> 배우자 이옥자[7]
자녀 딸 정소아
학력 선동국민학교[8] (졸업)
고창중학교 (졸업)
고창고등학교 (40회 / (졸업)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9] / 석사[10])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 / 박사 과정 수료)
충북대학교 (정치학 / 명예박사)
종교 개신교(장로교)[11]
병역 소집면제 (장기대기)
소속 정당
파일:새미래민주당 흰색 워드마크.svg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3, 14, 15, 16
경력 민주화추진협의회 운영위원
민주연합청년동지회 중앙회장
제13대 국회의원 (전북 고창군 / 평화민주당)
제14대 국회의원 (전북 고창군 / 민주당)
민주당 전라북도 지부장
제15대 국회의원 (전북 고창군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지방자치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회 부의장
새정치국민회의 사무총장
새정치국민회의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총재 특별보좌역 단장
새정치국민회의 신당창당준비위원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새천년민주당 조직책선정위원회 위원장
제16대 국회의원 (전북 고창군·부안군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총재 특별보좌역 단장
새천년민주당 전라북도 지부장
성균관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새천년민주당 원내총무
제16대 국회 전/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태권도청소년연맹 총재
새천년민주당 중앙당후원회 회장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민주당 전라북도당 위원장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
통합민주당 최고위원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더불어민주당 일반고문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 ||
1. 개요2. 생애
2.1. 정계 입문 이전2.2. 정치 활동
3. 선거 이력4. 소속 정당5.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

2.1. 정계 입문 이전

1943년 7월 23일, 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광대리에서 태어났다.

선동국민학교, 고창중학교, 고창고등학교(40회),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82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외교학 전공으로 정치외교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2. 정치 활동

성균관대학교 재학 중이던 1960년대 통일사회당에서 당직자 활동을 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12]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북도 부안군-고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호종 후보와 무소속 박용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7년, 통일민주당에 입당해 당보 편집국장을 역임했고, 이어 평화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겨 지방조직4국장을 역임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고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새정치국민회의의 사무총장을 역임하였고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고창군·부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서 이듬해인 2001년까지 새천년민주당 원내총무를 역임하면서 국회운영위원장도 겸직했으나, 이후엔 노무현 대통령과 상당히 껄끄러운 관계를 유지했고[13] 2003년 말 새천년민주당 분당 당시에는 열린우리당 입당 대신 잔류를 선택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전북 고창군·부안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김춘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지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김완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14]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전북 고창군·부안군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4년전에 겨룬 상대이자 같은당이 된 김춘진에게 밀려 경선에서 탈락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정치적 기반이자 고향인 전라북도를 떠나 서울특별시 송파구 병으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하였으나, 배우 출신인 새누리당 김을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15][16]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과정에서 탈당하여 국민의당에 합류하였다. 다만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불출마했다. 이후 다시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에는 반대하면서 대부분의 다른 호남계들과 마찬가지로 탈당, 민주평화당에 합류하였으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라북도지사 후보로 출마해달라는 당의 요청을 거절했다. 그 이후로는 나이 문제도 있고 하니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했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약 6년 만에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여 이재명 후보의 지지를 선언하였고, 이후 더불어민주당 고문을 맡았다. #

2024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새로운미래에 합류해 전당대회 의장을 맡았고 이후 새미래민주당 소속이다.

3.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rowbgcolor=#45BABD><tablebordercolor=#45BABD><tablebgcolor=#ffffff,#1f2023>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6[17]

[[무소속(정치)|
무소속
]]
6,675 (5.21%) 낙선 (5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고창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31,188 (54.31%) 당선 (1위) 초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26,061 (53.22%) 재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27,575 (67.3%) 3선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고창·부안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50,873 (70.63%) 4선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19,204 (29.85%) 낙선 (2위)
2006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지사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295,891 (36.53%)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송파 병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53,840 (46.36%)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균환 10대.jpg 파일:정균환 13대.jpg
10대 총선 (전북 6[18]) 13대 총선 (전북 고창군)
파일:정균환 14대.jpg 파일:정균환 15대.jpg
14대 총선 (전북 고창군) 15대 총선 (전북 고창군)
파일:정균환 16대.jpg 파일:정균환 17대.jpg
16대 총선 (전북 고창군·부안군) 17대 총선 (전북 고창군·부안군)
파일:정균환 4지.jpg 파일:정균환 19대.jpg
4회 지선 (전라북도지사) 19대 총선 (서울 송파구 병) }}}}}}}}}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파일:통일사회당 글자.svg
1967 - 1973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73 - 1974 정당 해산

파일:통일사회당(1974년) 흰색 로고타입.svg
1974 - 1980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0 - 1987 정당 해산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7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7 탈당[19]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7 - 1991 창당


[[신민주연합당|
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
1991 당명 변경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1 - 1995 합당[20]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5 탈당[21]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2000 창당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5 합당[22]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5 - 2007 당명 변경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2007 합당[23]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 당명 변경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합당[24]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 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 합당[25]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 합당[26]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16 당명 변경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6 탈당[27]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 - 2018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8 탈당[28]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8 - 2020 창당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2022 합당[29]
정계 은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2 탈당[3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2 - 2024 복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4 탈당[31]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svg
2024 창당

파일:새미래민주당 흰색 워드마크.svg
2024 - 현재 당명 변경

5. 둘러보기

정균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내총무
초대
박상천
제2대
정균환
제3대
이상수
권한대행
송훈석
제4대
정균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내대표
제5대
유용태
제6대
이낙연
}}}}}}}}}}}}}}}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지사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열린우리당 김완주 당선
2 한나라당 문용주
3 민주당 정균환
4 민주노동당 염경석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전남 · 대구 · 경북 · 부산 · 울산 · 경남 · 제주
1960년12345678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시장 인천시장 광주시장 대전시장
박주선 신경철 박광태 최기복
경기지사 강원지사 전북지사 전남지사
박정일 유재규 정균환 박준영
}}}}}}}}}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가로 로고.svg 사무총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조순형
제2대
한광옥
제3대
김충조
제4대
정균환
제5대
한화갑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국회운영위원장
제15대 후반기
박상천
제16대 전반기
정균환
제16대 전반기
이상수
제16대 전반기
이상수
제16대 후반기
정균환
제16대 후반기
유용태
}}} ||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전라북도 제13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 갑 전주 을 군산 이리 정주·정읍
오탄 손주항 채영석 이협 김원기
남원시·군 완주 진안·무주·장수 임실·순창 고창
조찬형 김태식 이상옥 홍영기 정균환
부안 김제 옥구 익산
이희천 최락도 김봉욱 김득수
선거 결과
}}}
전국구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경기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전라북도 구 휘장(1969–1997).png 전라북도 제14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 덕진 전주 완산 군산 이리 정주·정읍
오탄 장영달 채영석 이협 김원기
남원시·군 완주 진안·무주·장수 임실·순창 고창
양창식 김태식 황인성 홍영기 정균환
부안 김제시·군 옥구 익산
이희천 최락도 강철선 최재승
선거 결과
}}}
전국구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경기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전라북도 휘장(1997-2009)_White.svg 전라북도 제15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 완산 군산 을 익산 갑
장영달 정동영 채영석 강현욱 최재승
익산 을 정읍 [[김제시(선거구)|
김제
]]
[[완주군(선거구)|
완주
]]
이협 윤철상 조찬형 장성원 김태식
진안·무주·장수 임실·순창
정세균 박정훈 정균환 김진배
선거 결과
}}}
전국구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경기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전라북도 휘장(1997-2009)_White.svg 전라북도 제16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주 덕진 군산 익산 정읍
장영달 정동영 강봉균 이협 김원기
남원·순창 김제 진안·무주·장수 완주·임실 고창·부안
이강래 장성원 정세균 김태식 정균환
선거 결과
* 군산 강현욱 사퇴 (2002.5.27.)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82634><tablebgcolor=#d82634>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심볼.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82634><tablebgcolor=#d8263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금식 권노갑 김대중 김덕규 김봉호
김영도 김영배 김영진 김원기 김인곤
김정길 김종완 김주호 김충조 김태식
김현 노무현 류인학 류준상 문동환
박상천 박석무 박실 박영숙 신기하
신순범 양성우 오탄 이경재 이교성
이기택 이동근 이상수 이수인 이영권
이재근 이철 이해찬 이협 이희천
장석화 정균환 정기영 정대철 정상용
조세형 조순승 조승형 조찬형 조홍규
채영석 최락도 최봉구 최영근 최훈
한광옥 허경만 허만기 허탁 홍기훈
홍영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9A44><tablebgcolor=#009A44>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9A44><tablebgcolor=#009A4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이종찬 정대철 조세형 김덕규 신계륜
김원길 조순형 임채정 손세일 이원형
김상현 김영배 최두환 이경재 김병오
장석화 박실 한광옥 하근수 신기하
정상용 임복진 박광태 이길재 조홍규
이윤수 문희상 이석현 안동선 장영달
채영석 이협 김태식 정균환 이희천
강철선 최재승 권노갑 김충조 김장곤
신순범 김명규 조순승 박상천 이영권
김영진 김봉호 유인학 김인곤 한화갑
박정수 }}}
신한국당 · 새정치국민회의 · 통합민주당 · 자유민주연합 · 무소속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현욱 국창근 권정달 길승흠 김경재
김근태 김길환 김명규 김명섭 김민석
김병태 김봉호 김상우 김성곤 김영배
김영진 김영환 김옥두 김운환 김원길
김인곤 김인영 김종배 김진배 김충일
김충조 김태랑 김태식 김홍일 남궁진
노무현 박광태 박범진 박상규 박상천
박정수 박종우 박찬주 방용석 배종무
서정화 서한샘 설훈 손세일 송현섭
송훈석 신기남 신낙균 안동선 양성철
원유철 유선호 유용태 유재건 윤철상
이강희 이규정 이길재 이동원 이미경
이상수 이석현 이성재 이성호 이용삼
이윤수 이재명 이해찬 이협 이훈평
임복진 임채정 장성원 장영달 장영철
장을병 장재식 정균환 정동영 정동채
정세균 정영훈 정호선 정희경 조성준
조세형 조순승 조순형 조찬형 조한천
조홍규 채영석 천정배 최선영 최재승
최희준 추미애 한영애 한화갑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추미애 조순형 설훈 함승희 장재식
유용태 이훈평 김성순 심재권 조한천
김경천 강운태 김상현 전갑길 이윤수
안동선 최선영 김영환 박병윤 이희규
박종우 송훈석 유재규 이용삼 이협
장성원 김태식 정균환 김홍일 김충조
김경재 배기운 정철기 김효석 박상천
김옥두 이정일 한화갑 이낙연 고진부
최영희 장태완 이만섭 김운용 박상희
최재승 김방림 김기재 윤철상 조재환
최명헌 구종태 안상현 황창주 한충수
양승부 박금자 이종성 안희옥 }}}
}}}}}}



[1] 정주시·정읍군·고창군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이다.[2] 정주시·정읍군·고창군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이다.[3] 고창군·부안군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이다.[4] 고창군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5] 부안군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6]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광대리 #[7] 李玉子.[8] 現 선동초등학교[9] 국제정치외교학 전공[10] 석사 학위 논문: 美·中共關係變化와 東北亞 勢力 均衡의 方向 (1982)[11] 김영진 前 의원과 같은 강남교회에 출석한다.[12] 심연식 전 통일사회당 정치위원이 쓴 글[13] 노 대통령이 정균환과 박상천이라는 두 사람의 이름만 들어도 거부감을 표했다는 설이 있다.[14] 만일 선거 기간이 조금만 더 길었더라면 당선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만큼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 암흑기였고, 그래도 열린우리당이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답게 전북지사만큼은 가져갈 수 있었던 거는 당시 당의장(지금의 당대표)였던 정동영 고향이 전북이라서 가능했던 일이다.[15] 송파구 병 지역구는 그때까지 강남3구 지역들 중 유일하게 민주당계 정당의 우세 지역이고, 단 한 번도 보수정당에 자리를 내 준 적이 없는 나름 철옹성 지역구였으나, 기어이 보수정당 출신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다만 현재까지 송파구 병 지역에서 보수정당 소속 국회의원은 김을동이 유일하다. 지금 현 국회의원은 민주당계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소속 남인순 의원이다.[16] 비단 정균환 뿐만 아니라 고향이 호남 출신이자 호남 다선 중진들이었던 정세균, 정동영, 천정배, 김효석, 조순용 등의 여러 다선 의원들이 서울 격전지 지역에 차출되었는데, 정세균만 유일하게 생환하였다. 정세균은 이 때를 기점으로 호남권 중진에서 전국구 거물 정치인이 되었고, 2016년 총선에도 무려 재선 서울특별시장을 한 오세훈을 꺾고 연임에 성공해 국회의장과 문재인 정부 중반기에 국무총리까지 하면서 승승장구하게 된다.[17] 고창군, 부안군[18] 고창군·부안군[19]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0] 민주당과 신설 합당[21] 새정치국민회의 합류를 위한 탈당[22]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23] 중도개혁통합신당과 신설 합당[24] 대통합민주신당과 신설 합당[25]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26]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27]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8]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9] 바른미래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3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31]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