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14대 박태영 | → | 제15대 국창근 | → | 선거구 개편 김효석[1] |
전라남도의회의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3대 의회 |
김창선 | 정문갑 → 정의식 | 최의남 | 차운영 → 최월근 |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국창근 | 배광언 |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이완식 | 차봉근 | 이윤석 → 박병열 | 김철신 |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종철 | 박인환 → 강우원 | 이호균 | 김재무 → 서옥기 | |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명현관 | 임명규 | 이용재 | 김한종 | |
제1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2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서동욱 | 김태균 | }}}}}}}}}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국창근 鞠瑲根 | Kook Chang-keun | |
| |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출생 | 1939년 1월 31일[2] ([age(1939-01-31)]세)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면 객사리[3] | |
본관 | 담양 국씨(潭陽 鞠氏)[4] |
호 | 서송(瑞松) |
배우자 | 허정자 |
자녀 | 2남 1녀 |
학력 | 광주서중학교 (졸업) 목포덕인고등학교 (졸업) 광주대학교 경상복지대학 (경제학 / 학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정치법학 / 석사[5]·박사[6])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의병 제대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 요셉)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15 |
경력 | 5.18 광주민중항쟁 유족회 고문 5.18 광주민중항쟁 구속자 동지회 지도위원 평화민주당 전라남도지부 부지부당 신민주연합당 전라남도지부 부지부당 민주당 전라남도지부 부지부장 전라남도의원 전라남도의회 의장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 국회 원내부총무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 특보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및 간사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운영위원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 |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본관은 담양(潭陽), 호(號)는 서송(瑞松).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요셉이다.KBS 아나운서 국혜정이 그의 딸이다.
2. 생애
1939년 1월 31일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면(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서 아버지 국승학(鞠承學, 1917. 6. 18 ~ ?)과 어머니 김해 김씨[7] 사이에서 6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광주서중학교, 목포덕인고등학교, 광주대학교 경상복지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2005년 2월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에서 정치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09년 8월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에서 정치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이후 20대에 정계에 입문하였고 1970년대 개인 사업을 하여 광주삼화공업 회장을 지내는 한편, 5.18 민주화운동 유족들을 돌보았다.
1989년 평화민주당 전라남도지부 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 신민주연합당 후보로 전라남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전라남도의회 의장에 선출되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의회 비례대표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전라남도의회 비례대표 의원직을 사퇴하였다. 그리고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박태영 대신 새정치국민회의 공천을 받아 전라남도 담양군-장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새정치국민회의에서 원내부총무, 김대중 총재 특별보좌역,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국회정무위원회 간사 및 국회법안심사위원회 위원장, 국회건설교통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1999년 한나라당 김영선 의원을 상대로 '싸가지없는 X'이라는 폭언을 하여 물의를 빚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의 전라남도 장성군-담양군-곡성군 선거구 공천에서 김효석에 밀려 탈락하였다. 이후 민주당 전라남도당위원장, 민주당 재정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려 했지만 불공정한 여론조사를 이유로 경선 신청을 철회하고 경선후보도 사퇴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한미 FTA 재협상 및 정권교체 실현 공약을 걸며 민주통합당 후보로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선거구에 출마하려 했지만 공천에서 현역 의원 이낙연에게 밀려 탈락하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김옥두 전 의원 등과 함께, 김영록 더불어민주당 전라남도지사 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고문을 맡았다.
2021년 재보궐선거 때 타 전직 국회의원 115명과 함께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3.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1 | 1991년 지방선거 (전라남도의회 의원) | 전남 담양 | [[신민주연합당| | - | 당선 (1위) | 초선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남 비례대표 | | - | 당선 (2번) | 재선[8]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전남 담양·장성 | [[새정치국민회의| | 48,823 (83.26%) | 당선 (1위) | 초선 |
4.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목포·신안 을 | 여수 | 순천 갑 | ||
김홍일 | 한화갑 | 김충조 | 김경재 | ||
순천 을 | 나주 | 여천시·군 | 광양 | ||
조순승 | 정호선 | 김성곤 | 김명규 | ||
담양·장성 | 곡성·구례 | 고흥 | 보성·화순 | ||
국창근 | 양성철 | 박상천 | 박찬주 | ||
장흥·영암 | 강진·완도 | 해남·진도 | 무안 | ||
김옥두 | 김영진 | 김봉호 | 배종무 | ||
함평·영광 | |||||
김인곤 | |||||
◀ 제14대 제16대 ▶ |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현욱 | 국창근 | 권정달 | 길승흠 | 김경재 |
김근태 | 김길환 | 김명규 | 김명섭 | 김민석 | |
김병태 | 김봉호 | 김상우 | 김성곤 | 김영배 | |
김영진 | 김영환 | 김옥두 | 김운환 | 김원길 | |
김인곤 | 김인영 | 김종배 | 김진배 | 김충일 | |
김충조 | 김태랑 | 김태식 | 김홍일 | 남궁진 | |
노무현 | 박광태 | 박범진 | 박상규 | 박상천 | |
박정수 | 박종우 | 박찬주 | 방용석 | 배종무 | |
서정화 | 서한샘 | 설훈 | 손세일 | 송현섭 | |
송훈석 | 신기남 | 신낙균 | 안동선 | 양성철 | |
원유철 | 유선호 | 유용태 | 유재건 | 윤철상 | |
이강희 | 이규정 | 이길재 | 이동원 | 이미경 | |
이상수 | 이석현 | 이성재 | 이성호 | 이용삼 | |
이윤수 | 이재명 | 이해찬 | 이협 | 이훈평 | |
임복진 | 임채정 | 장성원 | 장영달 | 장영철 | |
장을병 | 장재식 | 정균환 | 정동영 | 정동채 | |
정세균 | 정영훈 | 정호선 | 정희경 | 조성준 | |
조세형 | 조순승 | 조순형 | 조찬형 | 조한천 | |
조홍규 | 채영석 | 천정배 | 최선영 | 최재승 | |
최희준 | 추미애 | 한영애 | 한화갑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px><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1991년 ~ 1995년 광역의회의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전반기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
김찬회 | 우병택 | 김홍식 | 이기상 | 정순길 | |
대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
김두형 | 유석보 | 최경식 | 한현구 | 이대희 |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김철규 | 국창근 | 손경호 | 추한식 | 장정언 | |
후반기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
백창현 | 우병택 | 김상연 | 심상길 | 정경주 | |
대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
김석종 | 한근이 | 최경식 | 조성훈 | 이대희 |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이창열 | 국창근 | 손경호 | 추한식 | 장정언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 |
[1] 담양군·곡성군·장성군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2] 음력 1938년 12월 12일.[3] #[4] 담양-참판공파 31세 근(根) 항렬.[5] 석사 학위 논문 : 분권형 대통령제와 국정운영에 관한 연구.[6] 박사 학위 논문 :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7] 김창규(金昌圭)의 딸이다.[8] 1996년 의원직 사퇴. 참고로 당시 선거에서 민주당은 전라남도 비례의석 4석을 모두 가져갔기에 해당 의원직을 승계한 사람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