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19:47:49

자밀 워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a002c>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서울 SK 나이츠
2024-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ddd
<colbgcolor=#ea002c><colcolor=#fff> 감독 전희철
코치
수석 코치
김기만 ·
코치
김재환 · 힉맨 ·
D리그 코치
문형준 ·
체력코치
한대식 ·
유소년 총괄 코치
허남영
스태프
재활 트레이너
유승범 ·
의무 트레이너
이용선 ·
통역
한성수 ·
매니저
류영환 ·
전력 분석원
변기훈 · 김지웅
유소년 팀장
권용웅 ·
유소년 코치
김동욱 ·
운전
이인철
가드 0 김태훈 · 2 이민서 · 3 최원혁 · 5 김선형 · 6 전성환 · 9 델 리아노 · 22 오재현 · 28 김지후 · 37 문가온
포워드 4 강재민 · 7 박민우 · 8 안영준 · 14 최부경 [[주장|
C
]] 파일:부상 아이콘.svg · 23 김형빈 · 31 힉스 · 93 장문호
센터 11 선상혁 · 15 양준 · 20 김건우 · 34 워니 · 41 오세근
군 입대
2023년 입대
임현택 ·
2024년 입대
김수환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자밀 워니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2022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KBL 2020~2025
라운드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rowcolor=#fff> 1R 2R 3R 4R 5R 6R
2020-2021 시즌
김낙현
전자랜드
송교창
KCC
허훈
kt
숀 롱
현대모비스
허훈
kt
제러드 설린저
KGC
2021-2022 시즌
최준용
SK
양홍석
kt
변준형
KGC
김선형
SK
최준용
SK
김낙현
한국가스공사
2022-2023 시즌
전성현
캐롯
변준형
KGC
전성현
캐롯
이대성
한국가스공사
김선형
SK
2023-2024 시즌
디드릭 로슨
DB
아셈 마레이
LG
패리스 배스
kt
앤드류 니콜슨
한국가스공사
이정현
소노
2024-2025 시즌
자밀 워니
SK
칼 타마요
LG
자밀 워니
SK
안영준
SK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KBL
역대 외국선수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rowcolor=#fff>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2000 시즌 2000-01 시즌
제이슨 윌리포드
나래 / 센터
조니 맥도웰
현대 / 포워드
조니 맥도웰
현대 / 포워드
조니 맥도웰
현대 / 포워드
아티머스 맥클래리
삼성 / 포워드
<rowcolor=#ffffff>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마르커스 힉스
동양 / 포워드
마르커스 힉스
동양 / 포워드
찰스 민렌드
KCC / 포워드
크리스 랭
SK / 센터
크리스 윌리엄스
모비스 / 포워드
<rowcolor=#ffffff>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피트 마이클
오리온스 / 포워드
테런스 섀넌
전자랜드 / 포워드
테렌스 레더
삼성 / 센터
제스퍼 존슨
kt / 포워드
허버트 힐
전자랜드 / 센터
<rowcolor=#ffffff> 2014-15 시즌 * 2015-16 시즌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리카르도 라틀리프
모비스 / 센터
안드레 에밋
KCC / 가드
리카르도 라틀리프
삼성 / 센터
디온테 버튼
DB / 포워드
라건아
현대모비스 / 센터
<rowcolor=#ffffff> 2019-20 시즌 2020-21 시즌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자밀 워니
SK / 센터
숀 롱
현대모비스 / 센터
자밀 워니
SK / 센터
자밀 워니
SK / 센터
디드릭 로슨
DB / 포워드
* 2010-11 시즌을 마지막으로 폐지했다가 4년 만에 다시 시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KBL 올스타전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rowcolor=#fff>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2000 시즌 2000-01 시즌
제럴드 워커
SBS / 가드
강동희
기아 / 가드
워렌 로즈그린
나산 / 포워드, 신세기 / 포워드
아티머스 맥클래리
삼성 / 포워드
<rowcolor=#fff>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안드레 페리
삼보 / 포워드, 센터
마르커스 힉스
동양 / 포워드
문경은
전자랜드 / 포워드
찰스 민렌드
KCC / 포워드
서장훈
삼성 / 센터
<rowcolor=#fff>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조상현
LG / 포워드
김주성
동부 / 포워드
이동준
오리온스 / 포워드
이승준
삼성 / 포워드, 센터
김효범
SK / 가드
<rowcolor=#fff>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 2014-15 시즌 2015-16 시즌
문태영
LG / 포워드
후안 파틸로
KGC / 포워드
김선형
SK / 가드
김선형
SK / 가드
김선형
SK / 가드
<rowcolor=#fff>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오세근
KGC / 센터
디온테 버튼
DB / 포워드
마커스 랜드리
kt / 포워드
김종규
DB / 센터
-[a]
<rowcolor=#fff>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허웅
DB / 가드
하윤기
kt / 센터
자밀 워니
SK / 센터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미개최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KBL 2015~2020
베스트 5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rowcolor=#fff> 가드 가드 포워드 포워드 센터
2015-2016 시즌
양동근
모비스
안드레 에밋
KCC
함지훈
모비스
이정현 / 트로이 길렌워터
KGC / LG
하승진
KCC
2016-2017 시즌
이정현
KGC
박찬희
전자랜드
이승현
오리온
애런 헤인즈
오리온
오세근
KGC
2017-2018 시즌
두경민
DB
이정현
KCC
디온테 버튼
DB
애런 헤인즈
SK
오세근
KGC
2018-2019 시즌
이정현
KCC
박찬희
전자랜드
양홍석
kt
함지훈
현대모비스
라건아
현대모비스
<rowcolor=#fff> 포지션 구분 없이 5명 시상으로 변경
2019-2020 시즌
허훈
kt / 가드
김종규
DB / 센터
송교창
KCC / 포워드
자밀 워니
SK / 센터
캐디 라렌
LG / 센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KBL 2020~2025
베스트 5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rowcolor=#fff> 수상자 (포지션 구분 없이 수상)
2020-2021 시즌
허훈
kt / 가드
송교창
KCC / 포워드
숀 롱
현대모비스 / 센터
이대성
오리온 / 가드
양홍석
kt / 포워드
2021-2022 시즌
최준용
SK / 포워드
자밀 워니
SK / 센터
이대성
오리온 / 가드
허웅
DB / 가드
전성현
KGC / 포워드
2022-2023 시즌
김선형
SK / 가드
자밀 워니
SK / 센터
변준형
KGC / 가드
오마리 스펠맨
KGC / 포워드
전성현
캐롯 / 포워드
2023-2024 시즌
이정현
소노 / 가드
이선 알바노
DB / 가드
강상재
DB / 포워드
패리스 배스
kt / 포워드
디드릭 로슨
DB / 포워드
2024-2025 시즌
자밀 워니
SK / 센터
김선형
SK / 가드
안영준
SK / 포워드
칼 타마요
LG / 포워드
아셈 마레이
LG / 센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KBL
역대 득점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rowcolor=#fff> 1997 시즌 1997-98 시즌 1998-99 시즌 1999-2000 시즌 2000-01 시즌
칼레이 해리스
나래 / 32.3득점
래리 데이비스
SBS / 30.6득점
버나드 블런트
LG / 29.9득점
에릭 이버츠
골드뱅크 / 27.7득점
데니스 에드워즈
SBS / 33.4득점
<rowcolor=#fff> 2001-02 시즌 2002-03 시즌 2003-04 시즌 2004-05 시즌 2005-06 시즌
에릭 이버츠
코리아텐더 / 28.3득점
리온 트리밍햄
SK / 27.3득점
찰스 민렌드
KCC / 27.1득점
네이트 존슨
오리온스 / 28.7득점
단테 존스
KT&G / 29.2득점
<rowcolor=#fff> 2006-07 시즌 2007-08 시즌 2008-09 시즌 2009-10 시즌 2010-11 시즌
피트 마이클
오리온스 / 35.1득점
테런스 섀넌
전자랜드 / 27.2득점
테렌스 레더
삼성 / 27.5득점
문태영
LG / 21.9득점
애런 헤인즈
삼성 / 23.1득점
<rowcolor=#fff> 2011-12 시즌 2012-13 시즌 2013-14 시즌 2014-15 시즌 2015-16 시즌
애런 헤인즈
LG / 27.6득점
제스퍼 존슨
kt / 19.7득점
타일러 윌커슨
KCC / 21.3득점
데이본 제퍼슨
LG / 22득점
트로이 길렌워터
LG / 26.2득점
<rowcolor=#fff> 2016-17 시즌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2020-21 시즌
애런 헤인즈
오리온 / 23.9득점
데이비드 사이먼
KGC / 25.7득점
제임스 메이스
LG / 26.8득점
캐디 라렌
LG / 21.4득점
숀 롱
현대모비스 / 21.26득점
<rowcolor=#fff>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자밀 워니
SK / 22.1득점
자밀 워니
SK / 24.2득점
패리스 배스
kt / 25.4득점
<rowcolor=#fff> 2026-27 시즌 2027-28 시즌 2028-29 시즌 2029-30 시즌 2030-31 시즌
}}}}}}}}}}}} ||

자밀 워니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댈러스 매버릭스 등번호 32번
스카티 홉슨
(2018)
자밀 워니
(2018)
트레이 버크
(2020)
서울 SK 나이츠 등번호 11번
이현석
(2015~2019)
워니
(2019~2021)
허일영
(2021~2024)
서울 SK 나이츠 등번호 34번
김효범
(2010~2012)
워니
(2021~2025)
현역
}}} ||
}}} ||
<colbgcolor=#ea002c><colcolor=#ffffff> 서울 SK 나이츠 No. 34
SEOUL SK KNIGHTS
<nopad> 파일:워니2024-25.png
자밀 워니
Jameel Warney
본명 자밀 마커스 워니
Jameel Marcus Warney
출생 1994년 1월 31일 ([age(1994-01-31)]세)[1]
미국 뉴저지 주 뉴브런즈윅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신장 199cm|체중 116kg
포지션 센터
학력 로젤 가톨릭 고등학교 (졸업)
스토니브룩 대학교 (학사)
KBL 입단 2019년 외국인 자유 계약 (서울 SK)
소속
[ KBL 이전 경력 펼치기 · 접기 ]
텍사스 레전드 (2016 ~ 2018 / NBA G리그)
댈러스 매버릭스 (2018 / NBA)
안후이 드래곤즈 (2018 / CBA)
텍사스 레전드 (2018 ~ 2019 / NBA G리그)
웨스트체스터 닉스 (2019 / NBA G리그)
서울 SK 나이츠 (2019~2025)[2]
응원가 구단 자작곡[3]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시즌별 성적6. 관련 문서

1. 개요

미국 국적의 서울 SK 나이츠 소속 농구 선수.

2015년 KBL 외국 선수 드래프트에 참여해 한 차례 낙방한 경험이 있으며 이후 G리그와 중국 리그에서 활약하다가 2019년에 KBL에 입성했다.

2. 클럽 경력

파일:워니2024-25.png
나이츠 용병의 아이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밀 워니/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밀 워니/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밀 워니/클럽 경력#|]][[자밀 워니/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NBA와 같은 어나더레벨은 아닐지라도 그 NBA를 제외한 국제 무대에서의 경쟁력이 충분한 선수이며, 무엇보다도 KBL에 특화된 특급 용병이라고 평가할 만하다.[4][5] 기본적으로 뛰어난 전방위 퍼리미터 공격이 가능한 빅맨으로, 신장은 크지 않지만 윙스팬이 길고 힘도 매우 좋아서 골밑 무게감은 자신보다 큰 선수를 상대로도 뒤지지 않는다. 덩크를 자주 시도하거나 화려한 플레이를 펼치지는 않지만 묵묵하게 뛰는 선수이다.[6]

전매특허는 거리를 가리지 않는 양손 훅슛과 플로터로, 페인트 존 안에서 슛을 자유자재로 넣는건 당연하거니와, 엘보우 지역이나 미드레인지 지역에서 오픈코트 상황에서 패스를 받아 러닝 플로터를 던지는 경우도 많다. 뛰어난 포스트업 스킬과 피벗 플레이를 동반한 훅슛 때분에 상대 수비수가 컨테스트에 상당히 어려움을 겪는 편이며, 1대1 페이스업 능력도 준수하고 마무리 능력도 상당히 깔끔해 공격에서의 활약이 매우 출중하다. 더불어 리바운드 능력도 준수하다.특히 속공 상황에서 직접 볼을 운반하면서 달리기도 하는 만큼,속공이라는 SK 나이츠의 팀 컬러를 그대로 대변해주는 선수이다.

G리그에서는 30% 정도의 평균 3점 성공률을 기록하며 오픈상황에서는 3점을 던질 수 있는 선수라고 평가받았지만[7], KBL 첫 시즌에는 3점을 거의 시도하지 않았다. 2020-21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시도하기 시작했으며, 전희철 감독의 주문으로 의도적으로 픽앤팝을 가져가거나 샷클락이 얼마 안 남은 상황에서 죽은 볼을 처리 할 때 주로 3점을 쏘고 있다. 근데 의외로 이게 쏠쏠할 때도 있다. 현재는 오픈 상황에서 3점을 시도하는 빈도를 높였고 성공률도 준수하다. 2024-25시즌에는 3개 연속으로 성공할 정도로 아예 3점슛이 하나의 메인옵션으로 자리 잡았다.

다만 포지션 대비 비교적 작은 신장을 똥파워와 기술로 극복하는 유형이라 힘이 아주 강한 빅맨, 혹은 신장과 윙스팬이 매우 큰 빅맨을 상대로는 간혈적으로 고전하기도 한다. 그 밖에 외곽에서 스크린 시 일찍 빠져나가면서 스크린이 견고하지 못하고 픽앤슬립처럼 전환이 되는 부분도 아쉬운 부분이다. KBL 첫 시즌에는 속공 상황에서 무리한 드리블 중 스틸을 당하는 부분 등이 문제가 된 적이 있다. 속공 상황에서의 문제는, 시즌 중 문경은 감독의 지시로 트레일러 역할만 맡으면서 해결되었다. 전자의 경우는 꾸준히 지적받는 문제점이지만, 되려 본인의 강점을 살려서 가드와 2:2 플레이를 통한 빠른 플로터 공격으로 치환하여 효율적인 득점을 만들어내고 있다.

미들레인지 점퍼 능력도 뛰어난 편은 아니다. 다만 라건아처럼 KBL 입단 후 외곽슛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킨 케이스가 꽤 많기 때문에, 워니도 해당 부분에서 발전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는 있다. 실제로 2022-23시즌에는 예년보다 미들레인지 시도 갯수가 많이 늘어난 편이고, 2023-24 시즌에는 3점슛도 무기로 쓸수 있을 정도로 슛거리가 상당히 늘어났다. 자유투 성공률도 시즌 평균 6~70% 사이를 기록해 빅맨치고는 준수하나, 경기마다 기복이 있는 편이다.

외곽 수비도 좋은 평을 못 받는다. 리바운드 능력을 비롯해 골밑 장악력이 좋기 때문에 골밑 수비에서는 흠 잡을 데 없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3점이 가능한 오마리 스펠맨, 앤드류 니콜슨과 같은 스트레치 빅맨을 상대로는 외곽으로 끌려나와 다소 고전한다.[8]

4. 여담

5. 시즌별 성적

역대 성적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17-18 DAL 3 7/12
(58.33%)
0/0 3/5
(60.00%)
17 9 0 0 0
NBA 통산
(1시즌)
3 7/12
(58.33%)
0/0 3/5
(60.00%)
17 9 0 0 0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19-20 SK 43 389/720
(54.02%)
0/8
(0.00%)
100/142
(70.42%)
878 449 133 47 29
2020-21 54 337/681
(49.49%)
50/152
(32.89%)
134/191
(70.16%)
958 463 107 61 25
2021-22 45 413/773
(53.43%)
14/54
(25.93%)
126/169
(74.56%)
994 564 140 51 28
2022-23 54 544/1056
(51.52%)
22/89
(24.72%)
154/232
(66.40%)
1,308 604 170 63 51
2023-24 52 485/943
(51.43%)
50/160
(31.25%)
116/201
(57.72%)
1,236 597 234 53 55
2024-25
KBL 통산
(5시즌)
248 2168/4173
(51.95%)
136/463
(29.37%)
630/935
(67.38%)
5,374 2,677 784 275 188

6. 관련 문서



[1]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소속 외국인 선수 디온테 버튼과 생년월일이 같다.[2] 2024~25시즌을 끝으로 선수 은퇴를 발표했다.[3] 자밀 자밀! 워니 워니! 잠!실!원!희! ×2[4] 이러한 평가는 전임자인 애런 헤인즈와도 상당히 유사한 평가. 다만 둘의 스타일은 정반대다.[5] 워니와 헤인즈는 둘 다 2m를 살짝 밑도는 신장은 같지만, 헤인즈가 가벼운 몸과 높은 BQ로 외곽에서의 플레이 빈도가 높았다면, 워니는 강한 힘과 뛰어난 마무리 스킬로 포스트 내에서의 공격력이 극대화되는 케이스이다.[6] 애당초 KBL의 특성상 본인이 동료들의 어시스트에 맞춰서 작대기 덩크를 시도할 뿐이지, 골밑에서 수비를 달고 찍는 투핸드슬램, 페이스업 후 인유어페이스, 앨리웁 등 온갖 덩크를 인게임에서 구사할 수 있는 뛰어난 운동능력을 가진 용병이다. 워낙 다양한 공격루트를 가진 선수이다보니 압도적인 탄력이 그다지 돋보이지 않는 전형적인 케이스이다.[7] 이규섭 해설의 말에 의하면 3점슛의 경우 NBA에 입성하기 위해 한동안 집중 연마한 적이 있었다고.[8] 특히 이 점으로 인해 한때 안양 KGC의 오마리 스펠맨에게 3점 슛을 얻어맞는 등 철저히 밀리며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 결과 2021-22시즌 홈에서 다른 8개구단한테는 한번씩 이긴 반면 KGC한테만 3번 모두 졌다. 거기에 팀적으로도 워니가 외곽으로 끌려나오면 골밑이 비어버리기 때문에 팀에서는 최준용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스위치 디펜스를 시도하는 것으로 보완한 바 있었고 현재는 현재 최부경이 이 역할을 담당하는 중.[9] 미국은 팬아메리칸 게임이나 아메리컵 등에는 주로 G리그 선수들로 팀을 꾸린다.[10] 당장 유튜브의 NBA 관련 영상만 봐도 "하지만 자밀 워니를 만나면 어떡할 꺼에요?"같은 댓글이 계속 달리고 있다.[11] 로만이나 워니나 긴 머리에 수염도 더부룩하게 났다는 점에서 비슷하기는 하다. 단, 차이점이 있다면 워니는 흑인인 반면 로만은 사모안계의 특징인 황인이라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