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2 17:47:35

이준석/별명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이준석/별명"><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이준석|이준석]]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7210> 파일:이준석투명3.svg이준석
관련 문서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FF7210,#fff> 생애 <colbgcolor=#fff,#1c1d1f>생애 (국민의힘 대표, 개혁신당)
국민의힘 운영 나는 국대다 · 제1회 국민의힘 토론배틀 : 나는 국민의힘 대변인이다 · 나는 국대다 시즌2: 국민의힘 정책공모전 · 국민의힘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 · 제2회 국민의힘 토론배틀 : 2022 나는 국대다
논란 및
사건 사고
논란 및 사건 사고 (국민의힘 대표 시기)
SW 마에스트로 관련 루머 · 윤석열-이준석 갈등 · 성접대 허위 의혹 제기 사건 (강용석 복당 회유 뒷거래 공작 논란, 윗선 개입 의혹) · VPN 루머 사건 ·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찬반 갈등 (이준석-정진석 SNS 설전) ·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징계 사건 (이준석 추가 징계 사건) · 이준석 여성 투표 의향 폄하 논란 · 안철수를 향한 비속어 사용
관련 단체 개혁신당 · 개혁연구원 · 정당 바로 세우기 ·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 한국독립야구연맹 · HOW's · 여의도재건축조합
예능 활동 방송 · 더 지니어스 · 소사이어티 게임
기타 사상 및 견해 · 다른 정치인과의 관계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별명 · 여담 · 이준석 마이너 갤러리 · 이준석계 · 천아용인 · 대깨준 · 개혁보수 · 준스톤 이어원 · 준스톡 }}}}}}}}}


1. 개요2. 긍정적 별명
2.1. 보수의 황태자
3. 중립적 별명
3.1. 준스톤3.2. 박근혜 키즈3.3. 0선 중진3.4. 개준스기3.5. 펭귄
4. 부정적 별명
4.1. 마삼중4.2. 여의도 금쪽이4.3. 김어준석

1. 개요

정치인 이준석의 별명을 정리한 문서이다.

2. 긍정적 별명

2.1. 보수의 황태자

파일:20150917_1442498928_30097200_1.jpg

JTBC의 썰전에서 붙여준 별명이다. 박근혜 키즈라는 보수계에서는 강력한 정치 입문 과정에서 기원했다.

3. 중립적 별명

3.1. 준스톤

이준석의 '석'은 본디 (주석 석)으로, 본래 의미대로라면 준틴으로 불려야 하지만,[1] 이를 음이 같은 (돌 석)으로 치환하여 '석'을 영단어 'stone(스톤)'으로 치환하여 생긴 별명으로 2021년 기준 가장 널리 쓰이는 별명이다. 준스톤 바람이 불고 있다고 언급되기도 했으며,# 이준석 본인도 이 별명을 아는지 국민의힘 대변인 선발 토론 제목 끝에 'with 준스톤'이라고 붙여 쓰는 모습을 보였다. 단, 이 별명 자체는 바른미래당 시절 비판자들이 돌대가리라는 뜻을 담아 지은 멸칭으로 쓰기 시작했던 것이다.

여기에서 파생되어, 윤석열 후보도 '윤스톤'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둘을 합쳐 '투스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준석과 마찬가지로 윤석열도 주석 석을 쓴다.[2]

이준석 잠적 사건 이후 2021년 12월 3일 울산에서 열린 만찬에서 윤석열이 "준스톤"을 선창하고 이준석이 "윤스톤"을 외치기도 했다.#

아예 이준석의 다큐멘터리 영화는 준스톤 이어원이라고 작명했다.

3.2. 박근혜 키즈

이준석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의 만남으로 인해 정계에 입문하게 되어 박근혜 키즈라고 불린다. 이준석을 지지하지 않는 쪽에서는 그 박근혜가 발탁한 자라고 비난의 용도로 쓰이지만 2021년 들어 이준석의 일부 지지자들은 박근혜가 남기고 간 조커라는 뜻으로 긍정적인 별명으로도 쓰고 있다. 이 외에 손수조가 박근혜 키즈로 불리기도 했다.

3.3. 0선 중진

3번이나 총선에 나와서 3번 전부 낙선하여 생긴 별명. 국민의힘 당대표가 되기 전까지는 주로 조롱의 의미로 많이 쓰였지만, 이준석이 당 대표가 되고 나서부터는 주로 지지자들의 애정어린 놀림으로 많이 순화된 별명이다. 이준석 본인도 "다른 다선 의원들처럼 20년 동안 국회의원하면서, 동네 영주 노릇하면서 밍숭맹숭 살고 싶진 않다"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

3.4. 개준스기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중립적 별명' 문단에 '개준스기'를 추가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토론 - '중립적 별명' 문단에 '개준스기'를 추가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원래는 이준석에 대해 비토 여론이 강한 50대 이상의 극우 유튜브 이용자들과 친문 네티즌들이 이준석의 이름 앞에 개를 붙이고(개준석) 자기보다 어린 연배의 사람에 붙이는 -이를 붙이고(개준석이) 이것이 사투리 어조가 섞여 '개준스기'가 되어 자주 부르던 멸칭이었다. 새로운보수당 마이너 갤러리나 펨코 이준석 지지층들이 어감이 좋다는 이유로 수입하면서 지금은 애칭으로 불리는 별명이 되었다. 현재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준스톤보다 더 많은 빈도로 쓰이는 중.

3.5. 펭귄

대선출마 선언 연설에서 "기존 패러다임을 뒤집고 도약의 새 시대를 열어가는 퍼스트 펭귄의 역할을 다 하겠다"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된다. #
때문에 준스톡의 대표 이미지도 펭귄몸통에 이준석의 얼굴을 붙인 그림으로 되어있다.

4. 부정적 별명

4.1. 마삼중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당인 황희두가 처음 언급한 별명으로 '마이너스 진(-3선 중진)의 줄임말이다. 자신의 선거에서 3연패한 이준석 대표를 조롱하는 멸칭이다. 주로 이준석 대표의 행동을 비판하거나 조롱할 때 사용된다. 이준석에게 호의적이지 않은 커뮤니티에서 자주 사용한다.

4.2. 여의도 금쪽이

20대 대선을 앞두고 당무를 거부하고 가출한 데서 비롯한 별명이다. 전여옥 전 의원이 이준석의 여의도재건축조합 유튜브 개설 소식을 접하고 ""대선 때 깽판을 놓고 가출을 두번씩이나 하고 대선날도 과연 '2찍'인지 의심케했던 '여의도 금쪽이'"라고 하면서 해당 별명이 붙었다. # # 여기서 '금쪽이'라는 표현은 오은영 박사가 출연하는 채널A 육아 예능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에서 생겨났다.

4.3. 김어준석

김어준+이준석. 2024년 1월 이준석이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을 향해 던킨도너츠 출근샷으로 이미지메이킹을 시도했다는 음모론을 제기하면서 생긴 별명이다.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은 "이제 이준석이 아니라 '김어준석'이라 불러야겠다"며 "어쩌다 이 위원장의 수준이 김어준과 비슷해졌는지 모르겠다"며 비판했다. #
[1] 주석이 영어로 'tin'이다.[2] 돌 석 자를 인명으로 쓰는 경우는 별로 없다.